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스페셜
"
오른쪽
"(으)로 총 75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금 금성에선'…태양·수성 탐사선 근접비행 이미지 공개
연합뉴스
l
2021.08.13
존재감을 나타냈다. 금성 뒤로 황소자리의 밝은 별 두 개가 반짝이다가 사라지는데,
오른쪽
이 '오미크론 타우리'(Omicron Tauri)이고 왼쪽은 사중성계인 '크시 타우리'(Xi Tauri)다. 솔라 오비터가 지나가고 33시간 뒤인 10일 밤에는 ESA와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공동 제작한 베피콜롬보가 ... ...
[올림픽의 과학]인간은 단거리보다 마라톤에 최적
동아사이언스
l
2021.08.07
선수(왼쪽)와 귀화한 오주한(
오른쪽
) 선수가 8월 8일 열리는 도쿄올림픽 남자 마라톤을 대비해 훈련 중이다. 심종섭 선수 인스타그램 캡쳐 육상에서 가장 빠른 동물인 치타는 1초에 무려 30m의 속도로 달린다. 세계 최고의 스프린터보다 3배나 빠른 속도다. 그러나 실망할 필요는 없다. 적어도 ... ...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1)발사체·위성 종합솔루션 기업 꿈꾸는 KAI
동아사이언스
l
2021.08.04
대기 중인 상태였다. 경남 사천 KAI 종포공장에 놓인 누리호 FM3용 산화제탱크(
오른쪽
)와 연료탱크가 제작을 마친 채 도장을 기다리는 모습이다. 사천=조승한 동아사이언스 기자 shinjsh@donga.com 누리호에 들어가는 이들 탱크는 첨단 제조기술이 사용된다. 누리호는 극저온의 액체 헬륨 산화제와 ... ...
日 악셀스페이스, 위성 이미지 활용 뉴스서비스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21.08.03
4월 9일 대규모 산사태가 발생하기 전 시즈오카현 아타미시를 위성으로 촬영한 것이고,
오른쪽
은 그 후 7월 12일 촬영한 시의 모습이다. 악셀스페이스 제공 일본 우주개발업체 ‘악셀스페이스’가 위성 이미지를 활용한 뉴스 서비스 제공에 나선다. 악셀스페이스는 3일 일본 뉴스통신사 ... ...
[강석기의 과학카페]'비너스의 꽃바구니'로 불리는 해면 이야기
2021.08.03
위강에서 작은 소용돌이를 일으키게 해 부유물 섭식과 수정을 도와주는 것으로 보인다(
오른쪽
에 클로즈업). 네이처 제공 유속을 달리해 시뮬레이션한 결과 비너스의 꽃바구니 골격의 그물망이 유속의 변동을 억제하고 항력을 줄였다. 비너스의 꽃바구니가 해저에서 물의 흐름에 휩쓸려 넘어지지 ... ...
동시에 소리 3개 구분하는 '인공지능 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2
여러 개의 소리를 인지하기 위해 합성곱신경망(CNN)을 이용한 알고리즘으로 처리했다(
오른쪽
). 제조시스템저널 제공 서울대 연구진이 여러 개의 소리가 섞인 파형을 인공지능(AI) 알고리즘으로 동시에 구분해내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중소기업에서 여러 대의 장비 상태를 ... ...
[표지로 읽는 과학]당뇨 환자 삶 바꾼 100년
동아사이언스
l
2021.08.01
‘사이언스’는 30일 손가락에서 피 한방울이 떨어지는 모습을 표지로 실었다.
오른쪽
하단에는 ‘제1형 당뇨병’이라고 적혀있다. 제1형 당뇨병은 몸 안에서 인슐린이 거의 분비되지 않아 발생한다. 인슐린은 췌장에서 분비하는 호르몬으로 포도당을 글리코겐으로 바꿔 체내 혈당량을 줄이는 ... ...
캐나다서 8억9000만년 전 해면동물 흔적 발견…最古 화석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1.07.29
흔적으로 보이는 역대 가장 오래된 동물 화석이 발견됐다. 왼쪽은 이번에 발견된 화석,
오른쪽
은 현대 해면의 콜라겐 골격이다. 엘리자베스 터너 제공 캐나다에서 8억 9000만년 전 해면의 화석이 발견됐다. 해면은 바다 바닥이나 다른 동물 표면에 붙어 자라는 동물로 실제 해면이 맞다면 지금까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회춘하면 코로나19도 가볍게 앓을까
2021.07.27
투여하면 노화세포가 죽으면서 젊은 생쥐처럼 정상적인 면역반응이 일어나 살아남는다(
오른쪽
). 사이언스 제공 ○ 이틀만 투여해도 사망률 40% 낮아져 이제 세놀리틱의 효과를 볼 차례다. 2015년 세놀리틱 물질이 처음 발견된 이래 지금까지 많은 후보 물질이 나왔다. 이 가운데 효과가 꽤 ... ...
"한국 AI연구, 일본·독일 제치고 양적 성장했지만 질적 성장 여전히 부족"
동아사이언스
l
2021.07.26
경우도 많다”고 말했다. 이홍락(왼쪽) LG AI연구원 최고AI사이언티스트(CSAI), 백상엽(
오른쪽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대표. 유튜브 캡쳐 다만 전문가들은 이제는 한국 AI 연구의 질적 성장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이 최고AI사이언티스트는 “한국 AI 연구 인용수는 상위 24개국에 속하고 이들 중에서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