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스페셜
"
오른쪽
"(으)로 총 75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새는 고추의 매운맛 못느낀다
2021.10.26
가운데)는 매운맛 때문에 고추를 먹지 않는다. 반면 이 지역에 사는 굽은부리쓰래셔(
오른쪽
)은 캡사이신의 매운맛을 못 느끼기 때문에 고추를 먹고 씨를 퍼뜨리는 공생자다. 위키피디아 제공 지난 2013년 ‘네이처’에는 쥐의 TRPV1 구조를 밝힌 연구결과가 실렸다. TRPV1은 세포막을 가로지르는 ... ...
아바타 로봇 엑스프라이즈서 서울대·UNIST 결승 진출…결승전 내년 하반기
동아사이언스
l
2021.10.24
ANA 아바타 엑스프라이즈' 준결승 대회에서 배준범 울산과학기술원(UNIST) 기계공학과 교수(
오른쪽
) 연구팀이 참여해 아바타 로봇과 포즈를 취하고 있다. UNIST 제공 사용자의 움직임을 그대로 따라 하는 아바타 로봇을 개발하는 총상금 1000만 달러(약 117억 원) 국제 경연대회의 최종 결선팀 15팀이 ... ...
中유인우주선 선저우 13호 내일 새벽 발사…정거장 건설 박차
연합뉴스
l
2021.10.15
위해 두 번째로 발사할 유인우주선 '선저우 13호'에 탑승할 선장 자이즈강(중앙), 왕야핑(
오른쪽
), 예광푸(왼쪽)이 14일 간쑤성 주취안의 위성발사센터에서 취재진을 향해 손을 흔들고 있다. 선저우 13호는 오는 16일 이곳에서 '창정-2F 야오-13호' 로켓에 실려 우주로 발사될 예정이다. sungok@yna.co.kr 중국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GMO는 안 돼도 GEO는 된다?
2021.10.14
이 부분이 발현되지 않게 하면 효소가 늘 활성화돼 가바가 많이 만들어진다(
오른쪽
). 사나텍시드 제공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 ...
해양데이터 리터러시, 교실에서 바다를 읽다
과학동아
l
2021.10.09
리터러시 교육 웹사이트 ‘해(海)봄 교실’을 활용해 9월 인천 연근해의 조석예보표(
오른쪽
)와 한반도 인근 해역의 4계절 표층 수온 데이터(왼쪽)를 각각 그래프로 나타냈다. 국내에서는 해양데이터 전문기업 환경과학기술이 지난해 11월 해양데이터 리터러시 교육 웹사이트 ‘해(海)봄 교실’을 ... ...
화성 여행, 화창한 2030년대에 떠날까?
과학동아
l
2021.10.09
와 달리 GCR은 차폐막에 부딪히며 내부에 고에너지 입자를 더욱 많이 만들어냈다(
오른쪽
그림) 우주방사선은 크게 태양에너지 입자(SEP)와 은하 우주선(GCR)로 구분되는데, 실험 결과 두 방사선의 영향력이 우주인 모사체에 미치는 위험도가 달랐다. GCR은 소량으로도 차폐막을 구성하는 입자와 ... ...
한국 제자 많이 두고 민속촌서 막걸리도 마시는 젊은 노벨화학상 수상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1.10.06
2021 노벨화학상 수상자 중 한 명인 베냐민 리스트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교수(맨
오른쪽
) 가 제자들과 한국민속촌을 방문한 모습이다. 당시 박사후연구원이었던 양정운 성균관대 화학과 교수가 함께 하고 있다. 성균관대 제공 리스트 교수는 한국에도 방문하고 한국과 공동연구도 자주 진행하는 ... ...
노벨화학상, 의약품 연구와 친환경 화학 혁명 가져온 2명의 화학자 수상(종합)
2021.10.06
방문한 모습이다. 박사후연구원이었던 양정운 성균관대 화학과 교수가 함께 하고 있다. (
오른쪽
) 데이비드 맥밀런 교수가 2016년 대한화학회 유기분과 하계워크샵에서 발표 중인 모습이다. 성균관대·대한화학회 제공 두 사람은 지한파 과학자로 분류된다. 리스트 교수는 올해 2월 제자인 배한용 ... ...
지구방어 소행성 충돌 첫 시험 DART 우주선 내달 말 발사
연합뉴스
l
2021.10.06
수정 시험에 나설 DART 우주선과 지구근접 소행성 디디모스 및 위성 디모르포스 상상도.
오른쪽
하단에 멀리 보이는 것은 충돌과정을 기록할 이탈리아 우주국의 큐브샛 '리시아큐브'(LICIACube). 2021.10.06 [NASA/Johns Hopkins, APL/Steve Gribben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할 수 있는 소행성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탄소제로로 가는 길을 여는 사람들
2021.10.05
왼쪽). 필터가 포화되면 열을 가해 이산화탄소를 떼어내 분리한 뒤 재활용한다(
오른쪽
). 클라임웍스 제공 지난달 완공된 설비 ‘오르카(Orca)’의 이산화탄소 포집량은 1년에 4000t에 불과하지만(그럼에도 직접공기포집 설비로는 세계 최대 규모다) 이를 계기로 기술이 발전하고 비용이 낮아진다면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