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이형
변질
변환
변전
변이
이상
스페셜
"
변형
"(으)로 총 328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비번역 DNA 비밀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1
알티우스생명의과학연구소 연구원팀은 인간 세포와 조직에서 나타나는 CREs와 전사의
변형
을 지도로 그렸다. 이외에도 마이클 슈나이더 미국 스탠포드대 생물학과 교수팀은 인간 세포의 염색질을 분석한 결과를, 에릭 멘덴홀 미국 알라바마대 생물학과 교수팀은 인간 간 세포주에서 활성화된 염색질 ... ...
[표지로 읽는 과학] 코로나 감염에 멀쩡한 박쥐, 유전자 지도로 비밀 밝혀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5
것으로 나타났다. 항바이러스 능력과 연관된 ‘APOBEC3’ 유전자는 추가 복제와
변형
이 이뤄져 있는 것도 발견됐다. 박쥐의 게놈 곳곳에서는 과거 바이러스 감염으로 바이러스 유전체가 복제되면서 남긴 유전자 조각도 발견됐다. 연구팀은 “다양한 바이러스의 흔적은 박쥐가 바이러스 내성 역사를 ... ...
“청량음료 많이 먹으면 진짜 치아 상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1
치아를 각각 담갔다가 부식된 정도를 나타내는 표면의 거칠기와 재료에 힘을 가했을 때
변형
된 정도를 나타내는 탄성계수 변화를 시간대별로 측정했다. 거칠기와 탄성계수 측정에는 ‘원자간력 현미경(AFM)’을 이용했다. 원자간력 현미경은 나노미터(nm·10억분의 1미터) 크기의 탐침으로 재료 ... ...
"기초연구 주도권 잡을 기회 놓쳤다" '방역선진국' 한국 기초연구에선 목소리 못내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07.21
비영리의학연구소 잭슨연구소는 2007년 개발된 코로나19 감염 유전자
변형
마우스의 정자와 배아를 냉동보관하고 있다. 최근 이 연구소는 이 마우스를 증식해 코로나19 실험을 위해 공급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잭슨연구소 제공 이달 20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 국내 첫 환자가 ... ...
[프리미엄리포트]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07.18
해 유럽에서도 승인됐다. 임리직은 헤르페스바이러스를 이용한 항암제로, 멜라닌 세포의
변형
으로 유발되는 피부암의 일종인 흑색종 치료에 효과가 있다. 헤르페스바이러스는 인체에 감염되면 수포를 만드는데, 헤르페스바이러스의 일부 유전자를 편집해 암세포만 감염시킬 수 있게 만들었다. ... ...
"코로나19 감염력 더 강해진다" vs "근거 없다" …'변이' 논란 오리무중
동아사이언스
l
2020.07.03
유사체에 각각 D614와 G614 유형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발현시키도록 유전자를
변형
해 인체세포 침투 능력을 비교했다. 그 결과 침투 능력이 최대 9.3배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를 근거로 G614가 감염력이 더 뛰어나지만 중증 환자는 늘리지 않는 특성을 갖는 변이 바이러스라고 주장했다. ... ...
국내 코로나 백신·치료제 영장류 실험 본격 돌입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7
개발 기간을 단축했다는 후문이다. 쥐 등 사람과 다소 차이가 있는 실험동물은 유전자
변형
등의 절차가 필요하지만, 영장류는 사람과 비슷해 이런 절차가 필요 없다. 다만 사람과 비슷한 증상을 개체별로 고르게 보이도록 하는 과정이 까다로운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코로나19 치료제 및 백신 ... ...
코로나19 회복 환자서 얻은 수천 종 '항체 칵테일' 치료 효과 쏠쏠하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7
싱가포르 국립감염병센터팀과 공동으로 코로나19 회복 환자에게 분리한 항체와 유전자
변형
쥐를 이용해 수천 종의 항체를 분리한 뒤 이 가운데 코로나19를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의 특정 영역과 결합하는 항체를 선별했다. 특히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표면 단백질의 하나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방감초' 스타틴의 재발견
2020.06.02
만만치 않아 임상시험으로 넘어가지는 않았다. 그 뒤 연구자들은 메바스타틴을 효소로
변형
시킨 분자 프라바스타틴을 만들어 1991년 제품화에 성공했지만 ‘최초의 스타틴 약물’이라는 영예는 이미 다른 팀이 차지한 뒤였다. 1978년 미국 제약회사 머크의 연구자들은 역시 균류인 누룩곰팡이의 ... ...
"포항지진 물 주입에 따른 공극압 변화가 미소지진 유발해"
동아사이언스
l
2020.05.27
있던 단층에 미소 지진들을 발생시켰다. 미소지진에 의한 응력의 이동을 통해 축적된
변형
에너지가 순차적으로 다른 지진의 발생을 촉진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지진의 상호작용에 의해 더 큰 지진을 초래했다. 연구팀은 “공극압의 변화와 초기 지진들의 위치, 그리고 이러한 지진들로부터 야기되는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