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이형
변질
변환
변전
변이
이상
스페셜
"
변형
"(으)로 총 328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바이러스, 라마에서 배운 합성나노항체로 막는다
2020.11.05
코로나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이 생기게 했다. 연구진은 합성나노항체23이 이렇게
변형
된 렌티바이러스를 성공적으로 무력화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실제로 이 합성나노항체가 인체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을 막는지 확증하기 위해서는 추가 시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봉쇄시기 ... ...
'딥페이크'같은 사진 위변조, AI가 적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3
대한 광범위한 탐지 기능을 추가하고 실험실 수준의 딥페이크 탐지 엔진과 일반 비디오
변형
탐지 엔진들도 실용화 수준으로 발전시켜 카이캐치에 탑재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이 교수가 창업한 KAIST 창업기업인 디지털이노텍과 산학협력 연구로 수행됐다. ... ...
[코로나19 연구속보] 우리 몸속 고대 바이러스 흔적이 코로나19 퇴치법 알려줄까?
2020.10.20
우리 조상이 고대에 기생충에 노출돼 우리 게놈(유전체)이
변형
됐고, 그 결과 오늘날 다양한 면역 반응들이 생기고 있다는 것이다. 추옹 교수는 “우리 게놈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바이러스들은 우리의 목숨뿐만 아니라 우리의 생명활동과 진화를 수천 ... ...
[코로나19 연구속보] 완전 종식 어려운 코로나19, 결국 풍토병 되나
2020.10.19
마찬가지로, 환경 조건이 코로나 바이러스 전염성을
변형
시킬 수 있다. ※ 참고자료 https://www.sciencedaily.com/releases/2020/10/201015101820.htm ※ 출처 : 한국과학기자협회 포스트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9736728&memberNo=36405506&navigationType ... ...
충격 받으면 멍드는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힘을 줄 때만 색이 변했지만 이번에 개발된 소재는 당기거나 누르고 구부리는 다양한
변형
에서도 색이 변했다. 김 선임연구원은 “스피로피란 기반 응력 감응형 스마트 고분자 소재의 기계적 민감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공정을 개발했고 분석을 통해 감도 향상에 대한 메커니즘을 ... ...
'편집이냐 교정이냐'부터 ‘디자이너 베이비’까지…말 많은 유전자 가위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조작한다는 의미도 담고 있어 윤리적으로 적당하지 않다는 주장이 이어졌고 유전자
변형
이라는 중립적인 용어가 통용되고 있다. 유전자가위도 마찬가지다. 유전자 편집이라는 용어는 생명체의 일부를 잘라내고 이어붙이는 뉘앙스로 읽혀 윤리적으로 적합하지 않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 ...
[노벨상 수상자 과거 인터뷰]‘유전자가위’ 창시자 다우드나 교수 “2∼3년 내 크리스퍼로 감염병 진단할 수 있게 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때 윤리적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식량 작물의 경우 유전공학을 이용한 기존의 유전자
변형
생물체(GMO)와 크리스퍼 작물을 동일선상에서 볼 것인지 여부가 최근 유럽과 일본에서 도마에 올랐다. 다우드나 박사는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가격을 낮춰 크리스퍼가 여러 사람의 삶을 바꾸는 ... ...
생명의 암호 교정하는 도구 만든 여성화학자 2명 올해 노벨화학상(종합)
2020.10.07
성장호르몬에 반응하는 유전자를 억제해 고양이보다 작은 미니 돼지를 만들었다. 유전자
변형
작물(GMO)을 대체할 병충해에 강한 쌀과 무르지 않은 토마토가 개발되기도 했다. 김학중 고려대 화학과 교수는 "화학적인 메커니즘을 규명한 응용성에 무게를 둬 노벨위원회가 수상자를 결정한 듯하다"며 ... ...
유전자 가위 개발한 여성 화학자 샤르팡티에·다우드나 노벨화학상(2보)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성장호르몬에 반응하는 유전자를 억제해 고양이보다 작은 미니 돼지를 만들었다. 유전자
변형
작물(GM)을 대체할 병충해에 강한 쌀과 무르지 않은 토마토가 개발되기도 했다. 올해 노벨상 발표는 5일 생리의학상 발표와 6일 물리학상 발표에 이어 12일까지 화학·문학·평화·경제 분야에 걸쳐 차례로 ... ...
안전성·최고 효율 모두 달성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0.04
내부에 미세구조 결함이 발생하는 이유로 이온 크기가 맞지 않아 발생하는 구조적
변형
을 지목했다. 지난해 11월 ‘사이언스’에 발표했던 논문에서 ‘메틸렌디암모늄’이라는 양이온 물질을 사용해 효율 높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만들었는데, 이 물질이 마치 건물에 커다란 바위나 기둥이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