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옹이
혹
관절
뼈마디
골관절
매듭
귀절
스페셜
"
마디
"(으)로 총 231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차우는 첸 부인임을 직감하지만 애써 외면한다. 회사로 걸려온 전화에 “여보세요” 한
마디
뿐 끝내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 첸 부인은 한참을 들고 있던 전화기를 마침내 내려놓는다. 영화에서 두 사람의 배우자 얼굴은 공개되지 않고 대사만 몇 번 나오지만 왠지 속물들로 느껴진다. 그러다보니 ... ...
[Tech & Design] 놀라운 인공물질들
KOITA
l
2015.02.09
너희는 열국을 보고 또 보고 놀라고 또 놀랄지어다.’라는 구절을 인용한 것. 한
마디
로 다들 놀라 자빠질 항공모함을 만들겠다는 포부였다.하버쿡의 사양은 정말로 놀랄만했다. 전장 610m에 전폭 90m, 배수량은 자그마치 220만 톤이었다. 현재 최대의 항공모함인 니미츠급의 20배가 넘는 수준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늑대복원, 정말 필요할까
2015.02.02
열쇠를 쥐고 있다는 관점을 ‘하향식연쇄효과(top-down trophic cascade)’라고 부른다. 한
마디
로 포식자가 초식동물의 개체수를 조절해야 식물의 씨가 마르지 않는다는 것. 2001년 학술지 ‘생물보존’에 실린 미국 오리건주립대 윌리엄 리플 교수팀의 옐로스톤 늑대복원 사례연구가 이 입장을 지지하는 ... ...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
2015.01.12
잠자는 개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게 지적인 만족은 얻었을지언정 영 반갑지 않지만 한
마디
인사는 해야겠다. “얘들아, 나 신경 쓰지 말고 좀 더 자라….”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끈이론이 이론물리학계를 주도하는 현실에 대한 저자의 해석도 충격적이다). 한
마디
로 ‘마을에서 벌어지는 유일한 게임(The Only Game in Town)’이기 때문이라는 것. 즉 표준모형 이후 이론물리학 분야에서는 끈이론 외에는 마땅히 연구할 게 없다는 말이다. 그리고 끈이론에 입문하기 위해서는 다년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32년생으로 불과 네 살 연상인 지도교수 길버트는 한
마디
로 천재로 영국 케임브리지대에서 전설적인 이론물리학자 압두스 살람의 지도아래 박사학위를 받고 1956년 하버드대에 자리잡았다. 그런데 곧 물리학에 만족을 못하고 당시 막 뜨는 분야인 분자생물학을 ... ...
과학계 '그랜드 슬램' 뒤에는 그가 있었다
IBS
l
2014.12.16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는 친화력도 긴 시간 함께할 수 있었던 힘이라고 했다. 한
마디
로 단장과 격 없이 지낼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라는 뜻. 서 연구원은 남 단장의 인문학적 소양이 큰 몫을 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서 연구원은 누구나 쉽게 연구용 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자신의 노하우를 ... ...
과학자의 성공, 행복하고 정상적인 삶에 있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0.29
" 그는 마지막으로 '손주를 많이 낳아서 기르고 싶다'는 소박한 바람을 남겼다. 이 한
마디
에는 성과만을 좇는 과학자들에게 '행복한 과학자'가 진정 성공한 사람이라는 깊은 울림을 남게 했다. ... ...
1인 1주치의 시대를 위한 Connected Doctor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0.29
임산부에게 갑자기 조금 불편한 증상이 나타날 때가 있다. 이런 때에는 보통 전문가의 한
마디
가 큰 도움이 되고 아예 문제가 해결되는 경우도 많다. First opinion은 바로 이런 상황에 즉시 이루어지는 간단한 초기진단을 의사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다. 24시간 때를 가리지 않고 ... ...
스튜어디스 직업병은 유방암?
2014.10.20
3%로 10년 전 58%보다 더 높아졌는데, 이 타입은 포화지방 과다 섭취와 관련이 있다는 것. 한
마디
로 육식이 지나쳐 유방암이 늘었다는 것이다. iStockphoto 제공 이 소식에 필자도 무척 놀랐지만(증가추세는 예상했지만 이렇게 가파른 줄은 몰랐다) 그 해석에 대해서는 뭔가 부족하다고 느꼈다. 물론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