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식지
산지
생육지
뉴스
"
서식환경
"(으)로 총 639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갑각류 눈에 달린 나노 사이즈 반사경
동아사이언스
l
2023.02.19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17일 갓 태어난 갑각류를 묘사한 이미지를 표지로 실었다. 갑각류는 게나 바닷가재 등을 이르는 말이다. 갓 태어난 갑각류는 투명한 몸에 눈에만 불투명한 색을 띤다. 곧 서식하는 지역의 물 색깔과 눈의 색깔을 일치시킨다. 포식자의 위협에서 벗어나기 위해 ... ...
16년 산 최장수 고슴도치 발견…시민과학의 힘
동아사이언스
l
2023.02.15
고슴도치. 게티이미지뱅크 수백 명의 시민으로 이뤄진 시민과학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과정에서 유럽에서 가장 오래 생존한 것으로 기록된 고슴도치가 발견됐다. 이 고슴도치는 16세로 이전에 가장 오래 산 고슴도치의 기록은 9년이었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수명이 5~10년인 고슴도치의 30%가 1년 ... ...
'지구사랑탐사대'가 이어준 인연...생태 연구자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2.13
지난 12월,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만난 이원재 대원(왼쪽)과 현준서 대원(오른쪽). “사파이어다!” 지난 여름 강원도 계곡에서 웬 보석의 이름이 울려 퍼졌습니다. 두 청년이 쓰러진 물푸레나무에 앉아있던 사파이어 빛깔의 루리하늘소를 발견하고 내지른 소리였지요. 루리하늘소는 강원도 일부 지 ... ...
영장류 세계에도 ‘공짜 배움’은 없다
과학동아
l
2023.02.11
자바긴팔원숭이. 이화여대 행동생태연구실 최아현 제공 “흥미롭게도, 자바긴팔원숭이 가족들은 저마다 다른 방식의 사회적 학습을 했다. 각 가족의 막내들은 치밀하게, 엄청난 집중력으로 가족 구성원들로부터 생존에 필요한 정보를 배웠다.” -2021년 2월 18일, 필드에서 작성한 일기 중 발췌- 영장 ... ...
우주식량·인공장기 만드는 3D프린터...우주 개척에 날개 단다
과학동아
l
2023.02.04
제조 방식의 혁신이라 불리는 3D 프린터가 우주 개발의 새로운 길을 열고 있다. 과학동아 바야흐로 우주 개척 시대다. 미국은 50년만에 유인 달 착륙 프로젝트를 재개했고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는 화성 탐사용 거대 로켓 ‘스타십’의 첫 궤도 시험 비행을 2023년 1분기 진행할 계획이다. 이들의 목 ... ...
잠 줄이며 짝짓기에 목숨 걸다 멸종위기 놓인 호주 동물
동아사이언스
l
2023.02.02
호주에 서식하는 멸종위기 유대류 북부 쿠올. 호주 야생동물 보존회 제공 호주 퀸즈랜드대 생명과학과 연구팀이 웜뱃·쿼카와 함께 호주에 서식하는 멸종위기 유대류인 북부 쿠올 수컷이 잠도 자지 않고 짝짓기 상대를 찾다가 건강이 악화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로열 소사이어티 오픈 사 ... ...
'농게 눈' 본딴 수륙양용 카메라 개발 송영민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3.02.01
있다. 화각은 카메라로 포착하는 장면의 시야각이다. 송영민 교수 연구팀은 갯벌
서식환경
에 최적화된 상태로 진화한 농게의 눈에 주목했다. 농게는 아주 작은 홑눈들이 모인 겹눈이 전면에 돌출돼 전후좌우 360도를 동시에 볼 수 있다. 또 물속과 물 밖에서 모두 선명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 ...
겨울축제 중단케 한 '이상기온' 원인은 결국 '인간'
동아사이언스
l
2023.01.15
북극권의 영구동토층이 녹는 현상은 기후변화 학자들이 가장 우려하는 사태 중 하나다. 땅 속 얼음에 갇혀 있던 이산화탄소와 메탄이 방출돼 기후변화를 가속화할 수 있어서다. 최근 영구동토층 기온은 올라가고 있고 녹아 늪처럼 변한 지형이 자주 발견되고 있다. 사진은 시베리아 야말 지역에 형 ... ...
바다 식물 플랑크톤, 기후변화 막는 방어막
동아사이언스
l
2022.12.22
바다 식물 플랑크톤(사진)은 수온이 높아져도 환경에 잘 적응해 유기탄소를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BS 제공 바다 식물 플랑크톤은 기후변화로 인해 바닷물이 따뜻해져도 환경에 잘 적응해 충분한 유기탄소를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 ... ...
한국은 공룡 발자국 천국...40년간 고생물학 지평 넓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12.17
공룡 발바닥 화석. 어린이 과학동아 DB 우리나라 발자국 화석의 40년 역사 전남에서 발견된 아시아 최초의 익룡 발자국(상)과 동아시아에서 가장 긴 보행렬 화석 (하). 문화재청 1982년 양승영 경북대 교수가 경남 고성군 덕명리 해안가의 진동층에서 한국 최초로 공룡 발자국을 발견했습니다. 그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