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뉴스
"
물리
"(으)로 총 5,087건 검색되었습니다.
18회 아산의학상에 칼 다이서로스·안명주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21일 밝혔다. 만 45세 미만의 의과학자에게 수여하는 젊은의학자부문에는 박용근 KAIST
물리
학과 교수와 최홍윤 서울대병원 핵의학과 교수가 선정됐다. 시상식은 3월 서울 중구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열린다. 기초의학부문 수상자 칼 다이서로스 교수에게 미화 25만 달러(약 3억6022만원), 임상의학부문 ... ...
재사용 가능한 차세대발사체 개발…한화와 갈등 지재권 제도개선안 마련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세계 최초 L4 지점 태양권 우주관측소 구축사업을 체계적으로 기획해 우주환경예보·태양
물리
연구의 국제협력 주도 기반을 마련한다. 독자 기술로 2032년 달 착륙을 위한 핵심기술과 착륙선 개발도 올해 본격 추진한다. 화성탐사 임무도 새롭게 발굴한다. 화성 궤도선, 화성 착륙선에 필요한 ... ...
시야 제한 화재·재난 공간, 드론 통해 촉각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이용해 정보를 전달하는 기술이다. 스마트폰의 진동 알림처럼 피부로 감지할 수 있는
물리
적 피드백을 제공한다. 개발된 핵심 소재인 형상기억합금은 특정 온도로 가열하면 변형된 상태에서 원래 형태로 돌아오는 특수 금속이다. 촉각을 구현하는 작동기로 사용됐다. 연구팀은 가볍고 단순한 ... ...
인간처럼 옆 동료 따라 소변 보는 침팬지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보는 시간은 예상보다 더 동기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처음 소변을 보는 침팬지와
물리
적으로 가까울수록 배뇨를 따라 할 가능성도 증가했다. 무리 내 서열도 영향을 미쳤다. 서열이 낮은 침팬지는 다른 침팬지가 소변을 볼 때 따라 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연구팀은 "배뇨 행동이 사회적 위계에 ... ...
도심항공모빌리티에 쓰일 리튬황전지 상용화 발판 마련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높은 SWCNT는 그래핀이 나선형으로 휘감긴 신소재를 말한다. 작용기는 특정한 화학적,
물리
적 성질을 갖는 원자 또는 원자들의 모임이다. 산소 작용기는 SWCNT가 전지 내부의 다른 물질에 잘 분산될 수 있게 해준다. 산소 작용기가 결합된 SWCNT로 리튬황전지를 구성해 충·방전 과정에서 팽창할 수 ... ...
"털 자라고 염증 낮아져"…회춘 돕는 마이크로RNA
동아사이언스
l
2025.01.19
미로를 빠져나가는 과제도 더 빠르게 성공했다. 연구를 이끈 지광주 중국과학원 생물
물리
학 연구소 연구원은 "miR-302b이 포함된 엑소좀 치료법이 생쥐의 수명을 연장할 뿐만 아니라 신체적, 인지적 기능을 크게 향상시킨다는 것을 종합적으로 입증하는 연구결과”라고 밝혔다. 다만 이 같은 ... ...
머스크 "실패해도 재미 보장"…스페이스X 우주선 폭발로 당국 조사
동아사이언스
l
2025.01.19
있다”고 밝혔다. 조나단 맥도웰 미국 하버드-스미소니언 천체
물리
학 센터 천체
물리
학자는 CNN에 스타십의 궤적을 분석한 결과 "우주선은 바하마 상공에서 폭발했을 가능성이 높다"라고 말했다. FAA는 스페이스X가 주도하는 사고 조사 과정의 모든 단계에 참여한 뒤 시정 조치를 포함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체·액체 오가는 사슬 모양 재료
동아사이언스
l
2025.01.19
있지 않다. 또 쉽게 깨지지 않으면서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연구팀은 이 재료가
물리
학 분야는 물론 소프트 로보틱스, 자극 반응 시스템 등 공학 분야에서도 다양하게 응용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원제 조우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공학·응용과학과 박사후연구원 연구팀도 같은날 ... ...
인도, 우주 도킹 실험 성공…미국·러시아·중국 이어 네번째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야심적인 향후 우주 임무 수행을 위한 중요한 디딤돌"이라고 평가했다. 인도 천체
물리
학자 자얀트 무르티는 "인도는 야심찬 우주 탐사 임무를 계획하고 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우주 도킹은 중요한 기술"이라면서 "우주정거장 건설 등 다양한 우주 임무를 수행하려면 우주에서 조립하는 기술이 ... ...
AI로 두 현미경 합쳐 고해상도 세포 이미지 얻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세포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반면 ’중적외선 광음향 현미경(MIR-PAM)‘은 긴 파장의
물리
적 한계로 해상도가 떨어지는 반면 염색 및 표지(라벨링) 없이 세포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연구팀은 두 현미경의 장점을 융합하기 위해 ‘설명가능한 딥러닝(XDL)’ 기법을 활용했다. XDL은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