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조상"(으)로 총 325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과동 추천 영상] '주초위왕'이라고 들어보셨나요?놀이터 l20200228
- '주초위왕'은 '조씨 성을 가진 자가 왕이 된다'라는 뜻의 단어예요. 조선시대, 개혁파였던 조광조를 몰아내기 위해 잎사귀에 꿀로 '주초위왕'이라고 적고, 벌레가 이 글씨를 따라 잎을 파먹도록 시켰다는 얘기가 전해지지요. 이야... 그러고보니 이거, 가짜 뉴스의 조상님이네요. 그런데 정말 잎사귀에 꿀로 글자를 쓰면 벌레가 글자 ...
- 조금 신기한 개구리들~~기사 l20200215
- 양서류가 공룡보다 훨신 먼저 출현했기 때문이에요!! 인간이 받은 이익: 개구리를 이용한 생채모방도 있지만 옛날 학교도 없었던 우리 조상들은 개구리 오줌에 항생성분이 있는 걸 알아네 아프면 개구리 오줌을 마셨다고 해요(청개구리가 효과가 좋았다고함) 천적: 개구리의 천적은 뱀이나 새 등이 있는데 개구리를 잡아먹는 개구리도 있고 심지어 애벌레도 있어 ...
- 종이나라박물관에서 한지뜨기(종이나라박물관 2탄)기사 l20200212
- 글씨로 장식해서 완성한 한지였죠. 두 번째 한지에는 당연히 '어린이과학동아'라고 썼지요. 끝으로 박물관 관람을 했어요. 옛 우리 조상들은 종이를 허투루 버리는 일은 없었다고 해요. 그래서 종이로 태이블을 만들고 종이끈도 만들었대요. 또, 옛날에는 겨울에 꽃을 볼 수 없어서 궁궐에 특별한 행사나 만찬이 있을 때, 종이를 꽃으로 만들어 식탁에 세웠 ...
- 고양이기사 l20200201
- 대해 알아봅시다. 혹시 고양이가 물을 아껴먹는 이유를 아시나요? 고양이의 조상이 사막에 살아서 물을 아껴 먹는다고 합니다. 고양이의 매력은 치명적인 눈 같습니다. 저도 고양이를 키우는데 눈이 치명적이에요. 강이지는 우리를 주인이라 생각하지만 고양이는 저희를 집사라고 생각해요. 고양이과 동물은 대표적인 호랑이,퓨마,재규어,사자등 여러 가지 동물이 ...
- 목화의 일생~~기사 l20191231
- 목화솜을 이용해 실을짜내는 장치를 물레라고 했습니다. 비록 원나라에서 목화씨를 훔쳐 온것은 잘못된 것이지만 목화의 전파로 우리 조상들이 얼어 죽지 않고 따뜻한 옷과 이불을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은 잘한 일 같습니다. 저는 문익점이야기를 들으면서 주변에 작은 것이라도 눈여겨 보고 정천익처럼 사람에게 친절하게 대해주면 더 큰 것을 얻을 수 있다는 ...
- 터키쉬앙고라의 대해서 알아보자!기사 l20191228
- 앙고라는 부활한 터키 앙고라의 새하얀 고양이입니다. 또한, 터키시 앙고라는 장모이지만, 편리하게 털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조상은 앙고라( 현 터키)의 앙카라 주변에서 키우던 토착고양이 입니다. 털이 긴 동물을 귀하게 여겼던 중동 터키에서는 앙고라종 토끼도 키웠습니다. 이로 인해 유럽에서는 앙고라 지방에 동물의 털을 길게 자라게 하는 뭔가가 ...
- 우리나라 최고의 명의,허준기사 l20191220
- 제가 와 있는 이곳은 우리나라의 명의가 있던 경상남도 산청 동의보감촌 한의학 박물관입니다.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동의보감을 쓴 허준과 관련된 박물관 입니다. 입장료가 있으니 확인바랍니다. ●우리나라의 ... 명을 받아 여러 학자들과 허준이 쓴 책 입니다. 세계 유네스코에도 등재되었답니다. 이렇게 멋진 책을 쓰고 의학을 연구한 우리 조상님들이 ...
- 천문대장님과 함께 한 영화, 『천문』의 조선 시대 하늘 과학 이야기기사 l20191218
- 먼저 우리의 옛 조상들은 하늘을 신성 시 하여 하늘은 완벽한 곳, 땅은 불완전한 곳으로 생각하고 천문 현상을 왕의 권위와 정당성을 확인 받는 곳으로 여겨왔습니다. 조선시대에도 하늘에 대한 연구를 많이 했습니다. 특히 이 시기 세종대왕과 장영실은 가장 많은 연구 업적을 남긴 위대한 인물입니다. 기록 ...
- [천문대장과 함께하는 영화 속 과학 이야기] 참여 후기기사 l20191211
- 세계에서 가장 과학이 발달한 나라였다는 이야기를 듣고 세종대왕과 장영실의 능력이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되었습니다. 또한 옛 조상들은 천체망원경 없이도 많은 별들을 관찰하여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천상열차분야지도를 만들었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저는 조선시대 때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이 다른 나라들 보다 많이 뒤쳐지는 줄 알았습니다. ...
- 공룡의 후예는 새! -과천과학관 공룡특별전에 가다기사 l20191125
- 크아아앙 크워억~!!! 안녕하십니까? 김준엽 기자입니다. 저는 지금 과천과학관 중앙홀 1층 공룡특별전에 와 있습니다. 10월 8일부터 시작된 공룡특별전이 오늘 막을 내린다는군요. 아쉽게 이 특별전을 오지 못한 친구들이 이 기사를 읽어주 ... 비둘기나 까치를 볼 때마다 '쟤들도 공룡의 후예구나' 라고 한 번쯤 생각해 보세요. 먹이를 찾아 쓰레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