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바닷물"(으)로 총 267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금으로 만들어진 사막, 우유니 소금 사막기사 l20170317
- 이 사막은 소금으로 되어있기 때문이에요. 이곳은 볼리비아 우유니 사막 입니다. 이곳은 바다와도 가깝지 않습니다. 바다와 가까우면 바닷물이 말라 됐을 수도 있는데, 그게 아니란 말이죠. 그렇지만 이곳은 수 만 년 전 바다였답니다. 옆에 있는 섬이 그 증거를 말해주죠. 그 섬에는 산호석이 있습니다. 소금사막이 된,그 이유는 수 십 년 전에는 그 ...
- 바닷물을 꿀꺽꿀꺽?! 물 부족을 해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0313
- 안녕! 나는 바다초등학교 4학년 김물이야. 나는 물을 가지고 노는 게 너무 좋아~! 언제 어디서든 수도꼭지만 열면 물이나오잖아! 물을 콸콸 틀어놓고 물장난을 하는 거지. 세수를 하거나 이를 닦을 때도 물장난을 하면 지루하지않고 재밌다구. 크크~. 헉! 그런데 갑자기 왜 물이 안 나오지? 머리 감으려고 샴푸 다 묻혀놨는데! 악! 눈 따가워! ...
- 국립중앙과학관 자연사관 개관하다기사 l20170222
- 나누어져 있습니다. 첫 번째 존은 한반도의 탄생을 표현한 존입니다. 지구본의 모양으로 시대별로 정리가 되어 있었습니다. 점점 바닷물이 빠지면서 우리 한반도의 지형이 보이는 것이 신기했습니다. 1972년 12월 7일 11시 53분에 발사된 아폴로 17호가 체취해 온 실제 월석이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월석을 보다니!' 실제 월석이라 ...
- 우리가 몰랐던 바닷물이 파란 이유기사 l20161002
- 빛의 산란이라고 한다. 담배 연기나 하늘의 색 이외에 틴들 현상도 빛의 산란 현상의 일종이다. 이미지로 보는 차이 투명한 바다 바닷물 색이 진한 바다 이로서 오늘의 궁금증, 해결~ 완료! 다음 번에 만나요! 이상 윤보연 기자였습니다. (출처: 알콩달콩써니♥ 님의 다음 팁과 다음 백과사전) ... ...
- 진도에서 본 모세의 기적! 바다가 갈라지다!기사 l20160520
- 3월 초에 미리 알아두고 가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이번 년도 진도의 바닷길은 4월 7일~4월 10일에 열렸습니다. 이렇게 바닷물이 열리는 것이 너무나도 신기합니다. 다음 해에는 꼭 한번 가 보아야겠습니다. 그럼 이만 기사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학생기자 박다현 -이미지 출처 : 네이버 -자료 출처 : ... ...
- 영덕여행포스팅 l20160516
- 아빠와 오빠는 작은 꽃게를 잡고놀았어요^^ 오빠는 물렸는데도 귀엽다네요~^^ 어제 6시쯤에는 고래불 해수욕장에 가서 조개도 줍고, 바닷물에 발도 담궈보았어요(진짜 차가워요 ㅠㅠ)바들바들;; 마지막에는 숙소에 돌아와서 회와 오리고기, 북어국으로 맛있는 저녁을 먹었습니당진짜 마지막에는 야식으로 떡볶이 시식! 라면사리 추가!! ... ...
- 순천만에서 붉은발말똥게(멸종위기2급)를 만나다기사 l20160506
- 연휴를 맞이해 순천만, 여수 여행을 왔습니다. 만이란 강물이 지나며 퇴적물이 쌓이고, 바닷물이 들어와 조수활동을 하면서 생긴 습지 및 갯벌을 말합니다. 오늘은 순천만 습지를 왔는데, 길을 걷던중 어떤 게를 보았습니다. 처음보는 게라 일단 1마리를 채집하여 관찰하고 사진을 찍었습니다. 특징과 색깔을 충분히 관찰한 뒤 놔주었습니다. 다시 돌아 ...
- 도심 속 바다, 아쿠아리움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에 가다기사 l20160131
- 민물에 서식하는 잉어뿔과 바닷물에 서식하는 상어가오리가 사는 물의 염도를 측정하고 비교해 보는 것으로 했는데 결과는, 민물과 바닷물의 염도 차이가 많이 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먹이주기는 가오리들과 수염상어들이 먹을 생새우와 오징어를 자르고, 먹이를 던져주는 것과 잉어에게 젖병을 물려주는 체험이였습니다. 저는 잉어를 비롯 ...
- 롯데 월드몰아쿠아리움을 다녀와서 아쿠아리움 이색체험기사 l20160130
- 초록풀 표본 그리고 바닷물의 염도도 알아보고 리트머스 종이로 물의 상태도 알아보았습니다. 염도 실험가오리와 상어 그리고 작은 고기의 먹이가 되는 새우과 오징어도 썰어보고 먹이도 직접 주었답니다. ...
- 물의 순환 물의 변화기사 l20151208
- 물을 사용해요. 세상에는 엄청나게 많은 물이 있지만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물은 한정되어 있어요. 지구 물의 97.5%는 마실 수 없는 바닷물이고, 사용할 수 있는 담수는 2.5%인데, 그 중에서 68.7%는 빙하와 만년설입니다. 지하수, 토양의 수분 등을 제외하고 사용할 수 있는 0.3%에 불과하지요. 지구 전체 물의 양으로 보면 0.007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