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마지막
맨나중
대단원
정지
죽음
한계
d라이브러리
"
종말
"(으)로 총 214건 검색되었습니다.
'빈혈 걸린 별'의 미스터리 해결 가능성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철의 3천배.태양과 질량이 비슷한 문제의 빈혈 성은 적색거성으로 진화해 얼마 안있어
종말
을 맞을 시기에 다다를 별이다. 이 단계에서는 핵융합이 충분히 진행돼 철이 많이 생성돼 있어야 한다. 그럼에도 철이 부족한 이유는 별이 진화하는 가운데, 현대의 우주론이 생각하지 못하는 어떤 ... ...
「제3의 물리학 혁명」혼돈이론의 실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period-doubling)라고 하는데 A의 값이 점점 커지면 주기배가는 계속된다. 주기배가의
종말
에는 주기가 무한대인, 즉 비주기적인 끌개에서의 운동이 된다. 이때 궤도의 X값은 매우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도 같은 운동이 반복되지 않는 불규칙적인 운동을 한다. 이것이 바로 혼돈운동이다.준주기 경로를 ... ...
하나가 천이 되는 씨앗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오염되고, 땅에도 바다에도 폐기물과 쓰레기가 쌓인다면 미래의 사람들은 꼼짝없이
종말
을 맞게 될는지도 모른다.오늘날의 환경문제는 지구에 살고 있는 모든 사람들의 문제가 되어 버렸다. 어느 누구도 남의 일이라고 무관심하게 고개를 돌려버릴 수가 없게 된 것이다. 지구는 조그마한 ... ...
우애 깊은 히아데스 형제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가장 잘 연구된 천체일 것이다. 게성운은 태양보다 좀 더 무거운 별이 그 인생의
종말
기에 초신성 폭발로 부서지면서 남긴 잔해이다. 중국의 천문학자들은 1054년 7월에 이 별이 번쩍이는 것을 관측했다. 이 별이 가장 밝게 빛났을때 그 밝기는 -4등급으로 금성 정도의 밝기에 이르렀었고, 그후 ... ...
2. 새로운 뇌관으로 떠오른 우발적인 핵전쟁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비참하게 살아남은 사람들은 싸울 힘조차 갖지 못하게 될 것이다. 핵전쟁은 바로 지구의
종말
일 수 밖에 없으므로 계획된 핵전쟁은 물론이고 우발적 핵전쟁으로 인해 인류가 공멸하거나 일부가 살아남아 '그날 이후'를 비참하게 살아가야 하는 어처구니 없는 일은 만에 하나, 억에 하나라도 있어서는 ... ...
시공(時空)의 모서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미해결의 장으로 남아 있을 것이다. 우주는 시간적으로 시작이 있는가. 그렇다면 우주의
종말
도 있어야 하지 않을까. 만일 우주의 마지막 장이 넘겨진다면 다음은 어떤 세계로 이어질까. 아니면 영원히 끝이 없지는 않을까. 우주가 크다고 하지만 모서리를 가져야하지 않을까. 아니면 무한히 ... ...
그리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비잔틴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을 1453년에 점령, 1천년의 긴 역사를 가진 제국은
종말
을 맞게 된다.그 이후 1821년 터키족의 지배에 대항해 용감하게 독립전쟁을 선포할 때까지 그리스는 오스만투르크의 변방으로 전락, 세계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만다. 1831년 국제적으로 독립을 인정받은 현대 ... ...
바람을 멈추게 한 거문고 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둥글게 보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이러한 천체들은 태양과 비슷한 무게의 별이 그
종말
을 맞았을 때 형성되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별은 적색 거성으로 부풀어 오르고 그 외부 층을 날려버려 행성 형태의 성운을 형성한다. 그리고 그 중심 핵은 희미한 백색 왜성으로 남게 된다. M 57은 작은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어스름한 저녁', 1935년 '밤' 등 일련의 단편에서 캠벨은 장미빛이 되지 못한 미래 문명의
종말
을 묘사하고 있다. 우주활극류의 공상소설건즈백이 과학소설 잡지의 편집에서 손을 뗀 후 스페이스 오페라(space opera, 우주활극)지가 범람하기 시작했다. 즉 1938~39년에 걸쳐 새롭게 스페이스 오페라와 ... ...
석기시대 목동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질량의 별이 이렇게 다를 수 있는 것은 '별의 나이'에 원인이 있다. 아크투루스가 생의
종말
을 맞고 있는 늙은 별인데 반해 태양은 아직 중년 정도의 나이를 가지고 있다. 태양과 비슷한 질량의 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크기가 부풀고 점차 적색 거성이 된다. 미래의 어느날 우리의 태양도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