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마지막
맨나중
대단원
정지
죽음
한계
d라이브러리
"
종말
"(으)로 총 214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사일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요격 미사일에 대한 생존성으로 압축된다. 명중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토마호크와 같이
종말
비행 단계에서 화면조합 방식을 이용하거나 인공위성에서 정확한 비행경로를 미사일에 지령하는 방법이 개발될 것으로 전망된다. 요격 미사일에 대한 생존성을 높이기 위해 스텔스 기술을 응용하는 노력이 ... ...
(2) 블랙홀·별들의 잔해가 어둠 속에 가득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불리는 조용한 최후를 맞는다고 생각하면 별 무리가 없다.초신성 폭발을 통해 별들이
종말
을 맞이한 경우 폭발중심에서는 중성자별이나 블랙홀이 생길 수 있다. 또는 폭발의 여파로 중심부에 생성된 중성자별이 깨지는 경우도 있다. 그러면 깨어진 중성자별의 파편은 우주공간 이곳저곳을 떠돌게 ... ...
소백산천문대 관측계기로 살펴본 초신성폭발의 의미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초신성 폭발이다.태양보다 10배 정도 무거운 별들은 3천만년 정도의 수명을 가지며
종말
의 순간에는 아주 커다란 폭발을 일으키면서 중성자별을 남긴다. 중성자별은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가장 무거운 물체다. 11세기에 관측된 초신성 폭발인 게성운 잔해에는 중성자별이 형성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 ...
바람·물·곤충과 함께 펼치는 암술·수술의 화려한 결합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크게 나눌 수 있다.■ 겉씨식물고생대의 늪지성 거대식물이 이루고 있던 삼림의
종말
과 더불어 새로운 지구환경에 유리한 종자식물인 겉씨식물이 나타나서 중생대의 지구를 덮었다. 이 식물들은 지금까지의 식물과는 다른 생식방법을 발달시켰다. 즉 암배우체는 포자체 조직내에 감싸여 있어서 ... ...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나오는 전자의 위치가 바로 시공간이 한 점에 응축된, 대폭발 이전의 상태, 또는 우주
종말
점(The Big Crunch)의 상태에 해당한다. 학술적으로는 이 시기를 '아무것도 아닌 시기'(the state of nothing)로 부르고 있다. 만약에 이 시기에 누군가가 우주 만물의 진리를 설명하는 방정식을 쓴다면 다음과 같을 ... ...
별은 죽어 무엇을 남기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약 10만분의 1g짜리부터 무한대의 질량을 갖는 것까지 모든 경우가 가능하다. 물론 별의
종말
로 인하여 태어난 검은구멍의 경우는 중성자별의 한계 질량인 2~3M⊙ 보다는 커야 한다.검은구멍의 내부 구조는 의외로 간단해야 한다. 중앙에는 특이점(singularity)이라고 불리우는 밀도가 ∞(무한대)인 점이 ... ...
각양각색인 별들의 진화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밤하늘의 별들은 영원한 것 같지만 그들 내부는 격렬한 변화를 겪고 있으며 그 결과 다양한 형태의 진화가 일어난다.1913년 헤르츠스프룽(Hertzsprung)과 러 ... 고장난 별들의 운명은 질량에 따라 여러 가지
종말
을 맞게된다. 다음 호에서는 이러한 별들의
종말
에 관하여 더욱 자세히 알아 보자 ... ...
지금부터 20년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할지라도 우리 모두의 마음 속에서 눈부시게 번창하고 있는 이 지구의 문명이 언젠가
종말
을 고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을 아주 지워 버릴 수 는 없다. 많은 과학자들은 핵전쟁이나 기후변화 등의 그럴 듯한 가설을 세우고 여러가지 지구 멸망의 시나리오를 만들어 놓았다. 하지만 우리들의 ... ...
물병자리는 나일강의 발원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93은 아마 가장 크고 가장 가까운 행성상 성운일 것이다. 이 눈부신 가스의 거품들은 별의
종말
시기에 그 껍질에서 분출되었을 것이다. NGC 7293 까지의 거리는 대략 1백광년이고 이 대상은 달 면적의 절반 정도로 하늘을 덮고 있다. 좋은 쌍안경을 가지고 별을 보기에 완벽할 만큼 어두운 밤을 ... ...
'빈혈 걸린 별'의 미스터리 해결 가능성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철의 3천배.태양과 질량이 비슷한 문제의 빈혈 성은 적색거성으로 진화해 얼마 안있어
종말
을 맞을 시기에 다다를 별이다. 이 단계에서는 핵융합이 충분히 진행돼 철이 많이 생성돼 있어야 한다. 그럼에도 철이 부족한 이유는 별이 진화하는 가운데, 현대의 우주론이 생각하지 못하는 어떤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