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RSA 암호의 미래는?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커지면서 이 회사는 알고리듬으로
전
세계에서 많은 돈을 벌었다. RSA 알고리듬은
전
세계 공개키 암호의 대표 알고리즘으로 자리잡기도 했다. 2000년 9월 21일에 그 특허가 만료돼 현재는 이 알고리듬을 기반으로 다양한 암호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재밌는 사실은 RSA 방법을 처음 고안한 곳이 ... ...
[과학뉴스 ]육식공룡 고르고사우루스 마지막 식사는 공룡 뒷다리!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adv.adi0505 고르고사우루스는 약 7500만 년
전
인 중생대 백악기 후기, 현재의 북아메리카 지역에 살았던 티라노사우루스과 육식공룡이다. 성체는 8~9m까지 자란다. 이번에 연구팀이 분석한 표본은 길이 4m에 몸무게는 약 335kg으로, 성체 무게의 13%에 불과한 어린 ... ...
Part2. 4족보행 로봇 AI에게 걸음마 배워 세상으로!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로봇의 활약무대 중 하나는
전
장이 될
전
망이다. 조 과장은 “앞으로 현대
전
에 로봇이 많이 쓰일 것”이라면서 “국내 기술력을 통해 4족보행 로봇을 만드려는 노력은 안보 차원에서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기술 유출을 우려해 산업 현장에서 중국 등 해외 4족보행 로봇을 사용하기보다 ... ...
OUTRO. 똑똑한 로봇과 함께 살아갈 고민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본격적인 공론화가 필요하다. 로봇이 어떻게 설계제작활용돼야 할지, 다양한 분야의
전
문가들과 사회 구성원들의 가치와 기준이 잘 투영된 로봇윤리헌장이 필수적인 시기다 ... ...
귤을 많이 담으려면 〇〇〇 모양으로? 귤포장에 숨은 수학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겨울하면 귤입니다. 따뜻한 방에 앉아 손가락이 노래질 때까지 귤을 까먹는 즐거움은 역시 겨울에만 누릴 수 있는 호사죠. 귤을 까먹으며 빨간 ... 주고 받으며 짜릿한 접점을 보여줍니다. 어쩌면 소시지 추측의 남은 수수께끼 또한
전
혀 예상하지 못하는 방향에서 풀릴지도 모르겠습니다 ... ...
혹등고래와 대화를 시도하다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있는 다양한 정보들이 기록 돼야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장 대표는 “현재 AI의 발
전
속도를 봤을 때 동물과의 대화 연구가 생각보다 빠르게 진행될 수도 있다”는 희망을 피력했습니다. 물론 동물의 비언어적 의미에 대한 이해 없이 소리만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하지는 않겠지만, 일단 인간이 ... ...
티타임 속 과학 이야기5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법’ 찻주
전
자로 차를 따를 때, 물소리를 최대한 작게 내려면 물줄기는 두껍게, 주
전
자는 가능한 찻잔과 가깝게 하는 게 좋다. 김호영 서울대 기계공학부 교수팀은 물을 따르는 소리를 실험적으로 분석한 연구 결과를 2023년 12월 21일 국제학술지 ‘피지컬 리뷰 플루이즈’에 발표했다. doi: 10.1103 ... ...
[빅테크 기업들의 생성 AI 독주 속 START-UP 살아남는 방법] 포자랩스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아직까지 상용화된 서비스는 거의 없다. 허 대표는 “빅테크 기업이 상용화에 나서기
전
까지 포자랩스만의 독자적인 고품질 데이터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과학사 극장] 레이첼 카슨은 과학적
전
문성이 부족했다?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인체에 위해를 가한다는 과학적 합의에도 불구하고 왜 일부 과학자들이나 정치인들이 여
전
히 DDT의 위험성에 대한 과학적 지식이 아직 불확실한 것처럼 그려내는지, 이를 통해 이들이 얻는 이득이 무엇인지에 대해 질문하는 일일 것이다. *필자소개 현재환. 부산대 교양교육원 교수. 과학사 ... ...
모든 수의 근원 ‘소수’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특정 선 위에만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하지만 여기까지. 각 직선을 보면
전
혀 규칙성이 보이지 않는다. 규칙성을 찾을 수 있을 듯 말 듯 한다. 이런 실낱같은 희망이 연구를 계속하게 만든다. 지금도 많은 수학자가 이런 소수의 마력에 빠져 연구하고 있다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