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업사이클드푸드 왜 필요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콩 비지에는 계란 한 개만큼의 단백질과 바나나 두 개만큼의 식이섬유가 있다”고
전
했어요. 국립식량과학원 밭작물개발과 김민영 연구원은 참깨박에 간 세포를 보호하는 ‘리그난’이 풍부한 것을 발견하기도 했습니다. 리그난은 참깨에 들어있는 물질이에요. 참깨에서 기름을 짜내면 리그난 ... ...
[데이터로 지구 지킨다] 우리나라 교사들, 두바이로 향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보려고 해요. 집에 있는
전
자제품의
전
력량과 총사용 시간을 조사해
전
기를 많이 쓰는
전
자제품을 찾고, 학교 급식에서 먹은 점심 메뉴의 탄소 배출량을 살펴보는 거죠. 에너지 소비량을 직접 눈으로 확인한다면, 소비량을 줄이기 위해 구체적인 계획을 세울 수 있을 거예요. 내가 일상에서 하는 작은 ... ...
[Chapter1] 소수를 숭배하라!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Chapter1. 소수를 숭배하라!Part1. 영재학교
전
교생이 열광하는 소수교Part2. 소수교가 소수를 즐기는 방법Part3. 당신도 소수교입 ... 정체 소수Part6. 소수만 거르는 에라토스테네스의 체Part7. 인류의 소수 사랑은 적어도 8500년
전
부터Part8. 모든 수의 근원 ...
소수 통해 수학의 중요성 깨달아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학생들이 초반에는 활동에 집중하지 않다가, 어느 순간 몰입해 쉬는 시간에도 친구들과
전
략을 공유하기 위해 화장실도 안 가고 집중하는 모습을 보며 뿌듯했다”라고 밝혔다. 앞으로의 포부를 물으니 소수교 부원들은 ‘소수를 매개로 수학에 관심을 끌게 만들 수 있다는 확신이 들었다’라면서, ... ...
인류의 소수 사랑은 적어도 8500년
전
부터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간단하고 쉽게 만들었다”라면서, “‘어떤 것이 무한하다’는 추상적인 명제를 기원
전
3세기경의 사람이 이런 발상으로 증명했다는 것 자체가 아릅답게 느껴진다”라고 설명했다. 에우클레이데스로 인해 소수가 무한하다는 것을 21세기를 사는 우리도 의심하지 않을 수 있게 증명해냈다. 증명의 ... ...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거대 소수 찾기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컴퓨터로 소수를 빠르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이 등장하면서 막연히 갖고 있던 거대 소수를 향한 관심이 폭발하기 시작했다. 최신 슈퍼컴퓨터를 갖춘 연구소에서 ... 이 거대 소수를 언젠가 찾을 거다’라고 말하면 학생들이 정말 놀라요. 학생들 때문에 조금 더 도
전
해야 할 것 같아요(웃음) ... ...
희대의 난제 리만가설을 만든 리만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안타깝게도 가정부가 리만의 연구 자료를 불태워 버리는 바람에 연구 기록이 많이
전
해지지는 않는다. 6쪽 짜리 논문에서 시작된 리만 가설 리만이 이름을 날린 건 1859년 발표한 ‘특정 수보다 작은 소수의 개수에 관하여’라는 6쪽의 짧은 논문이다. 베를린 학술원에 가입하기 위해 학술원 ... ...
편지에서 시작된 난제 골드바흐의 추측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어려운 이유는 우리가 소수가 언제 등장하는지 아직 완벽하게 이해하지 못해서다.
전
세계의 수학자는 포기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골드바흐의 추측을 공략하고 있다. 1937년 러시아 수학자 이반 비노그라도프는 ‘아주 큰’ 홀수에 대해서 약한 골드바흐의 추측이 맞는다는 것을 증명한다. ... ...
[과학뉴스 ]육식공룡 고르고사우루스 마지막 식사는 공룡 뒷다리!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adv.adi0505 고르고사우루스는 약 7500만 년
전
인 중생대 백악기 후기, 현재의 북아메리카 지역에 살았던 티라노사우루스과 육식공룡이다. 성체는 8~9m까지 자란다. 이번에 연구팀이 분석한 표본은 길이 4m에 몸무게는 약 335kg으로, 성체 무게의 13%에 불과한 어린 ... ...
[과학뉴스] 뱃속에서 덜덜덜! 포만감 올려주는 캡슐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하나만 먹어도 배부른 알약이 나온다면 어떨까? 한번쯤 상상해본 공상과학이 현실이 됐다. 최근 슈리아 스리니바산 미국 하버드대 생명공 ... 통과해 배출된다. 스리니바산 교수는 “합리적인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바입스가
전
세계 보건 환경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기대된다”고 말했다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