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공"(으)로 총 4,7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좌절된 아이디어는 어떻게 (이그)노벨상을 받았나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말했다(실제 사용할 때는 백색광이 나온다). 연구팀의 다음 임무는 스마트 변기의 인공지능(AI)에게 대변의 형태를 학습시키는 것. 오늘날 대변 연구자들은 1997년 케네스 히튼 영국 브리스톨 왕립병원 의대 내과의가 발표한 ‘브리스톨 대변 척도’에 따라 대변을 분류한다. 이 척도는 ‘변이 장내에 ... ...
- [최신 이슈] 있었는데, 없습니다 ... 희귀동위원소 산소-28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희귀동위원소는 드물게 존재할 뿐더러 수명이 매우 짧습니다. 이 때문에 만나고 싶다면, 인공적으로 생성해야 하죠. 산소-28 실험이 진행된 것도 그 때문입니다. 아직 발견되지 않은 희귀동위원소는 약 7000개 정도로 추정됩니다. 그동안 과학자들이 연구를 통해 지구상에 존재하는 118개의 원소와, 300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영화 ‘팟 제너레이션’ 인공 자궁으로 아이 낳는 미래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않아서 아이에게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완전히 알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번 영화가 인공 자궁이 가지고 있는 많은 사회적 함의를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이 콘텐츠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재원으로 운영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 ...
- [기획] 단백질 구조, 악보로 탄생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이 때문에 직접 단백질 구조를 바꾸며 새롭게 설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죠. 인공지능(AI)이 사람을 대신해 강화된 단백질 구조를 대신 만드는 연구가 갈수록 늘고 있는 이유입니다. 지난 2021년, 싱가포르국립대학교 약학과 위종 첸 교수팀은 복잡한 단백질 구조를 악보로 만든 뒤, 이 악보를 이용해 ... ...
- (광고) 씨드볼을 찾아 지구 곳곳으로~! 자연탐사 GOGO 카카오프렌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볼까요? 라이언, 튜브, 어피치, 네오, 프로도, 무지, 콘, 제이지. 8명의 카카오프렌즈는 인공지능 ‘씨드고’로부터 다급한 연락을 받습니다. 깊은 산속에 숨겨진 비밀스러운 공간 ‘씨드 뱅크’에 보관돼 있던 ‘씨드볼’을 찾아달라는 것이었죠. 씨드볼에는 지구 모든 생물의 유전 정보가 담겨 ... ...
- [과학뉴스] 가르치지 않아도 알아서 문 여는 로봇 등장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로봇을 동작하게 만드는 프레임워크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프레임워크의 핵심은 인공지능(AI)의 대표적인 학습방식인 강화학습이다. 강화학습은 로봇 공학에서 여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만능’ 로봇을 만드는 데 활용되고 있다. 연구팀은 시뮬레이션으로 훈련 데이터를 생성해 로봇의 ... ...
- [5년 후, 과학은] 하늘까지 자율비행하는 미래 열까, 객체탐지 기술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있으며, 최근 현대자동차는 이미지 데이터를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해 양자컴퓨팅 및 양자인공지능 기술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이처럼 자율주행을 위한 딥러닝 기반의 객체탐지 기술은 성능의 향상을 위해 전자통신컴퓨터공학은 물론 양자공학, 양자물리학의 연구까지 융합하는 ... ...
- [기획] 분자의 음악, 바닐라 소리는 달콤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있고, 악보는 분자 정보를 다시 컴퓨터 언어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마치 음악이 사람과 인공지능을 연결해주는 통역사 역할을 해주는 거예요. 더 나아가, 악보를 통해 기존에 없던 새로운 분자를 만들어 낼 수도 있습니다. 티모시 교수는 “대중에게 음악은 화학이나 컴퓨터 언어에 비해 ... ...
- [기획] 화학 반응, 소리 듣고 춤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원소와 분자, 단백질 등 화학의 요소가 음악이 되는 걸 확인했다면, 이번엔 소리가 화학에 참여할 차례입니다. 소리가 화학 반응을 조절하는 과정을 확인해 볼까요? 둥둥둥, 화학 반응 칼군무의 비결은 소리? 2020년, 포스텍 화학과 김기문 교수팀은 우리가 들을 수 있는 소리를 이용해 세계에서 처 ... ...
- [기획] 무슨 노래 들으세요? 뇌파 읽으면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있는 음악으로 핑크 플로이드를 골랐다는 뜻이다. 광범위한 뇌파 자료를 측정한 뒤에는 인공지능(AI) 모델을 만들어 뇌파 신호를 학습시켰다. 음성 인지와 음악 인지가 비슷하리라는 가정 하에, 음성을 인지하고 복원했던 이전 연구에서 쓰인 방법을 도입해 뇌파에서 음악을 복원했다. 그 결과,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