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통
실린더
억울
분
통분
애상
원기둥
d라이브러리
"
원통
"(으)로 총 512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이디어가 번쩍! 수학적인 특허소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칩은 부서지지 않게 과자 봉지 안에 질소를 충전해 담기도 한다. 그러나 어떤 감자 칩은
원통
모양에 켜켜이 쌓아 담는다. 감자 칩이 이렇게 구부러진 모양을 하고 있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감자 칩이 휘어진 모양은 수학에서 ‘쌍곡면’이라 부르는 곡면과 비슷하다. 평평한 원으로 된 감자 칩보다 ... ...
수학이 있어 더 행복한 날, π-day!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풀어 주셨답니다.우성 : 휴식시간에는 파이파티에 마련된 다각형 모양의 나무통과
원통
을 직접 몸으로 체험해 보는 활동을 했어요. 다각형과 원의 차이를 몸으로 느낄 수 있었답니다.미림 : 원 모양의 종이를 이용해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을 접어 둘레의 길이를 쟀어요. 다각형의 변의 개수가 ... ...
미션따라 변신하는 팔방미인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비슷한 3D센싱 카메라가 로봇 상부에 들어 있어 상대방의 몸짓을 쉽게 알아챌 수 있다.
원통
형으로 생긴 아래 부분에는 레이저 스캐너가 달려 있어 자신의 위치가 어디인지, 장애물이 무엇인지 여러 방향으로 레이저를 쏘아 확인한다. 여기에 음성 인식 툴과 사용자와의 감성 교류를 돕는 터치 센서, ... ...
눈으로 느끼는 소리의 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기록으로 남기려는 목적으로 음(音)을 기록하는 데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1897년
원통
에 감은 얇은 주석판 위에 진동판의 작은 바늘로 음파에 상응하는 홈을 새기고 이것을 동일한 장치로 재생해 음을 내는 데 성공한다. 이것이 축음기의 시초다.현대에는 난청인 사람들을 위해 많은 장치들이 ... ...
물리학자는 왜 종이를 구길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구겨지면서
원통
의 어느 높이까지 쭈그러들지 금방 확인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런데
원통
의 높이는 조금씩이긴 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낮아졌다. 3주가 지나도 멈추지 않았다. 연구에 참여한 시드니 나겔 교수는 “3주는 너무 지루해 우리가 더 이상 지켜볼 수 없는 한계였을 뿐”이라고 ... ...
세계 유명 미술관 수학으로 미리 가 본다!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파노라마 사진을 보자. 일반적 사진이 평면에 찍힌다면, 파노라마 사진은
원통
에 찍힌다.
원통
에 찍힌 선을 평면에 투영하면 아래 파노라마 사진 같이 왜곡이 일어난다. 투영된 사진의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가는 것에 비례해 왜곡이 커진다. 로드뷰의 사진은 이런 비례의 패턴을 수학적으로 계산한 ... ...
스펀지 MATH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구하려면 반드시 필요한 원주율을 구하기 위해 바퀴를 사용했습니다. 특별히 제작한
원통
모양의 계측바퀴를 굴린 다음, 바퀴의 회전수를 헤아려 원주율을 계산했어요. 이 때 지름이 1m인 바퀴를 한 바퀴 굴린 길이를 원주율이라고 정했죠. 그 때 계산했던 원주율은 약 3.1605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 ...
Part 1. 털, 동물은 입고 인간은 벗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의 모양과 밀도를 정밀 분석할 수 있었다. 멜라노좀이 둥글면 붉은 빛을 띠고 긴
원통
형이면 검은색에 가깝다.복원 결과 이 공룡은 전체적으로 검은색과 회색으로 된 몸이지만 얼굴에 붉은 무늬가 있고 볏도 붉은 빛이 도는 갈색이었다. 다리에는 흰 무늬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요즘 새 못지 않게 ... ...
지구 속 뚫고 달리는 진공튜브열차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약 700km로 달리게 하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➊ 모형열차를 발사시키는 장치. 빨간
원통
은 에어건에서 새어나간 공기를 빨아들이는 덤프탱크다.➋ 모형열차는 미사일처럼 길쭉하고 주둥이가 뾰족하다. 공기저항을 최소로 줄여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다.➌ 공기가 거의 없는 (아)진공터널. 시속 40 ... ...
산타는 소시지 포장을 좋아해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위 값보다 클 경우, 즉 반지름이 높이의 88% 이상이라면 상황은 달라진다. 듀마는
원통
형을 고집하지 말고 그냥 육각형의 박스로 포장하는 게 포장지를 덜 사용한다고 했다.산타의 고민 해결포장지를 아끼는 방법은 특히 산타에게 유용할 것이다. 여기에 포장의 부피를 줄이는 것도 필요하다.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