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d라이브러리
"
물리
"(으)로 총 6,13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뷰] “과학이라는 체로 인문학을 걸러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원더풀 사이언스’는 제가 과학칼럼니스트라면 쓰고 싶은 문체입니다. 이 책은
물리
학자 김상욱 교수가 추천해줬죠. 미국 ‘뉴욕 타임스’의 베테랑 과학전문기자인 그의 이 책은 전업 과학 커뮤니케이터라는 역할의 중요성과, 대중과 어떻게 과학으로 소통해야하는지를 정확히 보여줍니다 ... ...
[킹앤포] 카탈란 수 정복하기!
수학동아
l
2023년 08호
POSTECH 수학·
물리
동아리 마르쿠스의 권찬우 회원은 중학생 때부터 수학경시대회와 영재학교 입시를 준비하며 조합론에 관심이 많아졌대요. 당시 단골로 출제된 조합론 개념이 ‘카탈란 수’라 그 성질을 알아보는 퀴즈 문제를 냈다고 합니다. 퀴즈를 풀며 조합론의 매력에 빠져보세요! ...
"적어도 과학책은 문장 때문에 고민하지 않도록"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1은 줄였을 거란 생각이 들었죠. 그 시간을 줄여주자는 의무감이 있었습니다.” 여기에
물리
나 수학과 같은 분야는 될 수 있으면 그 분야 과학자가 직접 번역해야 한다는 생각도 더해졌다. 박 박사의 ‘버킷 리스트’에 들어있었던 프린키피아 번역의 경우 특히나 그렇다. 뉴턴이 자신의 이론 ... ...
[과동키즈] 핼리혜성을 쫓다가 인공태양에 이르렀죠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이런 핵융합 연구 중에서도 내가 담당한 분야는 1억℃에 이르는 초고온 플라즈마의
물리
적 성질을 슈퍼컴퓨터로 모사, 예측하는 것이었다. 핵융합 연구의 문을 열다 박사학위를 받고 핵융합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2000년대 초반만 해도 한국은 핵융합 실험 장치를 운영하는 데 필요한 ... ...
난제에 도전한다! 허준이 펠로우
수학동아
l
2023년 08호
하고 더 탐구하고 싶게 만드는 연구가 모여 좋은 수학이 되는 거 같아요. 저는 KAIST에서
물리
학과, 수학, 생명과학 이렇게 총 세 개를 전공했습니다. 대학원에서 한 분야를 깊이 있게 공부하기 전 여러 전공을 탐색할 기회라고 생각해 한 선택이었지요. 그중 수학을 공부할 때 가장 성취감을 느껴 ... ...
메타버스로 우주 시대 앞당긴다!
수학동아
l
2023년 08호
‘에버돔’은 가상의 화성 탐사 상품을 내놓았다. 아직은 게임 성격이 짙으나 현실의
물리
법칙에 기반을 둔 정밀한 시뮬레이션을 제공한다는 것을 강점으로 내세우니 실제 화성 탐사에 그간 쌓은 기술이 쓰이지 말란 법이 없다. 게임이든 우주 개발이든 메타버스가 그 위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7호
19세기 말까지 과학자들은 빛도 매질이 있을 거라 추정했습니다. 하지만 1887년 미국
물리
학자 앨버트 마이컬슨과 에드워드 몰리는 실험을 통해 빛의 매질로 가정했던 물질 ‘에테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밝혔어요. 빛을 포함한 전자기파는 전기장과 자기장이 끊임없이 서로를 이끌어내기 ... ...
[Reth?nking] 대수와 기하는 어떤 관계인가?
수학동아
l
2023년 07호
있었지요. 미적분은 단순히 넓이를 구하고 기울기를 구하는 작업을 넘어서 고전 역학
물리
의 초석이 되고, 세상 자체를 표현하는 언어로 발전했어요. 대수학과 기하학을 통합한 데카르트의 좌표평면으로 또다시 미적분이라는 새로운 발전이 이뤄질 수 있었고, 그것만으로도 엄청난 효용이 ... ...
팩트체크4. 일본이 방출한다는 삼중수소 양, 문제없다?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시 배출되는 삼중수소의 양 자체는 자연계나 다른 국가 방출량에 비해 적다는 것이 핵
물리
학방사선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❷해류의 흐름 시뮬레이션에서도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을 것으로 확인됐다. 오염수가 제주도까지 오는 데 4~5년 정도가 걸릴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했다 ... ...
[뉴스%인터뷰] 독사 어금니 모방한 주사기로 코로나19 백신 맞는 날 올까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넓은 면적의 장기면서도 독특하고 다양한 기능을 갖는다. 병균 등으로부터 우리 몸을
물리
적화학적으로 보호해줄 뿐 아니라 뛰어난 촉각 센서로서 역할하기도 한다. 피부라는 신비로운 키워드를 중심으로 자연모사공학의 예를 몇 가지 더 알아보자. 이번엔 바다에 사는 홍합의 ‘족사’에서 영감을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