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체
분석
분해
검토
검시
해부학
해산
d라이브러리
"
해부
"(으)로 총 664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위바위보 필승전략
수학동아
l
200910
그 결과, 사람들은 바위를 35.0%, 보를 33.3%, 가위를 31.7%로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부
학적으로 바위는 에너지를 가장 적게 소모할 뿐 아니라 손의 신경과 근육을 생각할 때 가장 취하기 쉬운 손모양이라는 설명이다. 이 때문에 A. 가위바위보에서 이기려면 보를 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비록 작은 ... ...
우리 몸속의 민들레 꽃밭
과학동아
l
200910
꽃밭대상 | 김지영·충북대 의대
해부
학교실크레파스로 그린 것 같은 노란색 민들레 꽃이 화면에 가득하다. 큰창자의 일부분인 결장의 점막을 절단해 창자샘을 광학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사진에서 꽃처럼 보이는 부분은 창자샘이며 가운데 길쭉한 동그라미는 창자샘의 내강이다. 내강을 ... ...
언어 유전자는 존재하나
과학동아
l
200910
보는 시각이 많다. 실제로 화석을 비교해 보면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는 발성기관의
해부
학적 구조에서 차이가 난다. 즉 후두에서 만들어진 소리는 혀와 인두의 미묘한 조절을 통해 자음과 모음으로 변형돼야 하는데, 네안데르탈인은 인두와 후두가 너무 가까이 있고 혀도 자유자재로 움직이기 ... ...
생명의 책, DNA
과학동아
l
200908
글자가 어떻게 여러 가지로 변용되는가에 대해 엿볼 수 있다….- 로버트 버튼의 ‘음울의
해부
’DNA, 생명의 책보르헤스(Jorge Luis Borges, 1899~1986)는 20세기 기술문명의 철학적 의미를 기이한 상상력과 신비로운 문체로 풀어낸 작가로 유명하다. 그의 소설에 자주 등장하는 미로, 거울, 책은 인터넷과 ... ...
난쟁이 인류 '호빗(호모 플로레시엔시스)'
과학동아
l
200907
플로레시엔시스에 대한 논란을 가라앉힐 논문 2편이 나란히 실렸다. 미국 스토니브룩대
해부
과학과 윌리엄 융어스 교수팀이 LB1의 발뼈를 넓적다리뼈(대퇴골)와 비교한 결과 발 길이와 넓적다리뼈 길이의 비가 0.7로 0.54인 현생인류보다 훨씬 클 뿐 아니라 원시인류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보다도 ... ...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 1차 전형 통과 비법
과학동아
l
200907
그리고 YSC 서울 분원이 공동 주최하는 ‘2006 사이언스 잼버리’ 행사에 소 눈과 오징어를
해부
하는 주제로 참가하여 발표하고 타 학교 동아리의 활동에 참가하면서 발표하는 과정을 틈틈이 보완해갔습니다.무더위와 활동 내내 피어 오르던 오징어와 소 눈의 냄새. 그 열악한 환경 속에서 열정과 ... ...
[의학] 살아 있는 심장으로 만든 ‘수술 실험용 시스템’
과학동아
l
200906
심장 수술을 실험할 때 살아 있는 돼지를 사용한다. 돼지 심장이 사람 심장과
해부
학적으로 닮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방법은 시간이 오래 걸리고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돼지가 살아 있을 동안에만 가능하다. 돼지가 고된 수술을 버티지 못하고 죽는 경우가 많아 실험을 여러 번 해야 하는 ... ...
생활 속 밀도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06
물고기의 몸속에 기체주머니가!공기의 양으로 밀도를 조절하는 동물도 있다. 붕어를
해부
해보면 통통하고 볼록한 주머니 모양의 기관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것이 부레다. 어류는 부레를 통해 물속에서 기체의 양을 조절하고 이러한 작용을 통해 물속에서의 수직적인 위치를 바꾼다. 부레는 두 개의 ... ...
[뇌과학]기억력 높이려면 푹 자라
과학동아
l
200905
깊이 자야 기억력이 향상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워싱턴대 의대
해부
학 신경과학교실과 위스콘신대 의대 정신의학과 공동 연구팀은 잠을 푹 자면 뇌가 사소한 기억을 스스로 없애 다음날 새 정보를 저장할 공간을 만든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4월 3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사람과 ... ...
뇌 과학
과학동아
l
200904
뇌가 신경세포로 밀집돼 있다고 말한다. 1906년에 노벨의학상을 수상한 스페인의
해부
학자 라몬 이 카할은 뇌를 구성하는 신경세포들에 ‘뉴런’(neuron)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카할은 뉴런들이 독립적으로 활동하지 않고 마치 전기회로처럼 복잡하게 얽혀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리고 그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