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체
분석
분해
검토
검시
해부학
해산
d라이브러리
"
해부
"(으)로 총 664건 검색되었습니다.
진정한 꿈을 찾는 기나긴 여정
과학동아
l
201103
가려는 거니?” “아뇨. 그런 건 아니에요. 엄마가 간호대를 나오셔서 집에 있는 의학책,
해부
학책을 보며 관심이 생겼어요. 동생이 아파서 수술을 하고 병원에 다니는 걸 보면서도 의사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했어요.” 아직은 조리있게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는 게 어렵다. 그러나 조금씩 속내를 ... ...
Part2. 다시 쓰는 인류의 진화
과학동아
l
201103
저 영양가의 식물성 먹거리를 더 많이, 다양하게 섭취했다. 따라서 씹는 능력에 관련된
해부
학적 특징이 발달했다. 예를 들어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이티오피쿠스는 오늘날의 고릴라와 비슷한 크기의 어금니를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이디오피쿠스의 몸은 겨우 고릴라의 4분의 1정도에 지나지 ... ...
가축 안 키우고도 고기 먹는 법
과학동아
l
201103
인공고기를 연구하는 블라디미르 미로노프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대 세포생물학 및
해부
학과 교수는 “동물의 근육줄기세포를 채취해 증식시킨 후 근육으로 분화시켜 고기를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근육줄기세포가 근육으로 분화하기 위해서는 틀이 필요하다. 이런 틀은 자극 감응성 ... ...
“올 여름 남태평양 가자” 열대해양체험단 모집
과학동아
l
201103
축주에 있는 한·남태평양해양연구센터를 방문해 스킨스쿠버로 물고기 잡아
해부
하기, 바닷속 산호 관찰하기, 잘피나 맹그로브 숲 탐험하기 등 생생한 열대바다를 체험할 수 있습니다.본 체험단에 응모하고 싶은 중고생 독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해양탐구과제를 제출한 뒤 과제를 수행합니다.1차 ... ...
과학자를 매료시킨 ‘상상의 동물학’
과학동아
l
201102
년 뒤부터 1억 년 뒤까지의 동물을 상상한다. 이 때 전범은 슈타이너 교수의 상상력이다.
해부
학적 지식과 생태학적 지식, 그리고 미래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바탕으로 창조했기 때문이다.하지만 이 책은 코쟁이류와는 달리 교훈을 충실하게 지킨다. ‘동물 분류에서 겉모습은 덜 중요하다.’ 이 책에 ... ...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MIE 수업 탐방 스케치
수학동아
l
201102
입을 다물 수가 없었습니다. 천장이 온통 수학 모빌로 장식돼 있었거든요. 과학실의
해부
모형이 절대 부럽지 않을 만큼의 수학 교구들이 선반을 가득 메우고 있어 다시 학생으로 돌아가고 싶을 정도였다니까요! 지곡초에서는 수학동아 2010년 12월호의 특집기사 ‘대칭으로 풀어본 분자나라의 ... ...
과학자를 매료시킨 '상상의 동물학'
과학동아
l
201102
년 뒤부터 1억 년 뒤까지의 동물을 상상한다. 이 때 전범은 슈타이너 교수의 상상력이다.
해부
학적 지식과 생태학적 지식, 그리고 미래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바탕으로 창조했기 때문이다.하지만 이 책은 코쟁이류와는 달리 교훈을 충실하게 지킨다. ‘동물 분류에서 겉모습은 덜 중요하다.’ 이 책에 ... ...
엄지공주도 깜짝 놀란 마이크로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023
외계인●2010 니콘 스몰월드 2등●히데오 오츠나 박사●미국 유타 의과대학 신경생물과
해부
학과●배율 20배다양한 색으로 염색된 제브라 피쉬의 머리가 마치 외계인같다. 척추동물인 제브라피쉬는 폐를 제외하고 인간이 가진 장기를 모두 갖추고 있다. 어때? 세밀하게 들여다보니 생물들이 정말 ... ...
코리아노사우루스와 함께하는 2010공룡 大탐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23
진짜 공룡의 세계로 안내할게! 공룡, 얼마나 알고 있니?공룡(dinosaur)’은 1842년에 영국의
해부
학자 리처드 오웬이 ‘무서운 도마뱀’이라는 뜻으로 붙인 이름이야. 그 후 오랫동안 사람들은 공룡을 ‘작은 뇌를 가져서 멸종되고만 거대한 파충류’라고 생각했지. 하지만 최근 20년 사이, 전세계에서 ... ...
다빈치처럼 관찰하자! 과학 일러스트 도전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7
물의 소용돌이를 관찰했고, 태아가 자궁 속에서 어떻게 자라는지 궁금해 시체를
해부
할 정도였어요.그래서 그는 비밀노트에 ‘눈은 자연이라는 완전 무결한 작품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게 해 주는 필수도구이다’라고 적었지요. 여러분들도 다빈치 처럼 관찰하는 연습을 해 보세요. ”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