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준
척도
규격
규범
본보기
견본
준거
d라이브러리
"
표준
"(으)로 총 1,41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
과학동아
l
201311
많지만 전혀 관측이 되지 않는 ‘암흑물질’의 후보 물질도 확 늘어난다. 초대칭이론은
표준
모형의 입자와 중력자가 모두 대칭적인 짝 입자를 갖고 있다고 보는데, 이 가상입자들은 대부분 관측이 어렵다. 이런 성질이 암흑물질과 비슷하기 때문에 이 중에 암흑물질이 있다고 보는 것이다. CERN 역시 ... ...
너를 위한 이야기
과학동아
l
201310
사람들은 아마 그 배가 떠났던 시절에 한철 유행한 독심술사였던 모양이야. 당시에는
표준
통역기 같은 것도 없었을 테니, 마음을 읽는 사람을 태우면 정착민과 대화를 하는 데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했던 모양이지. 이상한 일도 아닐세. 정말로 선교사를 태웠던 적도 있으니까.그 선장에게 그 ... ...
흡혈파리에 팔을 내밀다
과학동아
l
201309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캐논 5D Mark3를 사용했는데 렌즈는 16-35mm(광각렌즈), 24-70mm(
표준
렌즈), 접사촬영용 100mm MACRO와 70-200mm 망원렌즈를 기본으로 준비했다. 이 밖에 메이킹 및 핸드헬드 촬영을 위해 역시 소니의 핸디캠 CS700을 사용했다.박성웅현재 한국교육방송공사(EBS)평생교육본부 교육다큐부PD. .. ...
[생활] 명탐정 셜록 홈즈의 추리 비결은? 통계적 추정
수학동아
l
201309
제품의 점수가 μ에서 1σ 사이 값일 확률은 34.1%인 거예요. 여기서 μ는 평균이고, σ는
표준
편차를 뜻해요.그렇다면 불량률은 어떻게 낮출까요? 기업에서는 6시그마 방법을 이용하고 있어요. 6시그마란 불량품이 나올 확률이 정규분포에서 ±6σ 밖의 면적일 때(100만 개당 3.4개의 불량품)를 추구한다는 ... ...
Part 1. 출항 : 우주보다 복잡한 지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309
어느 뇌 하나가 ‘
표준
뇌’가 될 수는 없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굳이 실제 뇌를 이용해
표준
뇌지도를 만들 필요가 있을까. 신경세포의 연결 방식을 충실히 따라 만든 가상뇌로 그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다.가상뇌를 만드는 과정에서 뇌의 메커니즘을 더욱 정교하게 이해할 수도 있다. 마크람 ... ...
우리의 이름은 별보다 많다
과학동아
l
201308
것은 너무나 모욕적인 단순화 아닌가. 나는 이명의 마지막 말을 듣고 그런 생각이 들어서
표준
절차를 무시하는 방식으로 반항하기 시작했다. 데이터베이스를 뒤지던 누군가가 그 점을 지적하면 나는 그동안 쌓아 온 지식을 바탕으로 변론할 것이다.어쩌면 그 의무감이야말로 실종자들이 가장 먼저 ... ...
내 LTE만 느린 이유
과학동아
l
201308
‘업링크 주파수 결합기술’도 도입할 예정이다. 업로드용 주파수 결합기술은 아직
표준
화가 안 됐기 때문에 이번에 상용화된 LTE-A의 업로드 속도는 기존 LTE 속도 그대로다.함께 적용된 기지국협력통신(CoMP) 기술도 주목하자. 이 기술은 5세대 통신(5G)에 쓰일 것으로 꼽히던 기술이다. 휴대전화가 ... ...
INFO - 우리는 어떻게 초끈이론에 이르렀을까
과학동아
l
201307
이론인
표준
모형이 예측한 17개의 기본 입자는 모두 발견됐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표준
모형으로도 설명하지 못하는 아주 작은 세계를 들여다보면 그곳엔 ‘진동하는 끈’이 있다고 이야기한다.모든 물질이 10-35m 단위의 아주 작은 끈으로 이뤄져 있다는 초끈이론은 현재 우주의 근본을 설명하는 ... ...
촉각 마우스로 만져보고, 인터넷으로 옷 산다.
과학동아
l
201307
손으로 느낄 수 있게 하는 ‘복합 촉각 마우스’를 우리나라 기술진이 개발했다.한국
표준
과학연구원(KRISS) 질량힘센터 연구팀이 개발한 촉각 마우스는 커서를 화면에 나타난 물체 위에 올려놓으면 물체 고유의 촉감을 터치판을 통해 전달한다. 이번에 개발된 촉각 마우스는 표면 거칠기, 마찰력, ... ...
508억 년에 1초 느려지는 새 원자시계 개발
과학동아
l
201307
원자시계는 원자의 진동수가 일정하다는 성질을 이용한다. 현재 미국이 국제 시간
표준
으로 사용하는 원자시계는 절대온도 0도에 가까운 극저온 세슘 원자다. ‘1초’는 세슘 원자가 31억 9263만 1770회 진동하는 시간으로 정의한다. 그런데 세슘 원자를 특정 주파수로 진동시키기 위해 레이저를 쏠 때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