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표준"(으)로 총 1,412건 검색되었습니다.
- 양자컴퓨터 최강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408
- 유망하다고 생각되는 분야가 선택됐는데 그게 이온트랩과 초전도였습니다.”정연욱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양자측정센터 책임연구원이 말했다. 여기에 전통적인 전자 산업의 강자 반도체까지 가세해, 양자컴퓨터계는 3강 체제를 이뤘다.소꿉놀이를 하려면 손님이 지불할 돈으로 쓸 바둑알이나 ... ...
- ❹ 힉스입자 - 수학적 대칭이 깨지면 질량이 생겨난다과학동아 l201408
- 전자 등의 질량이 0이 될 수 없는 근거로 사용되고 있습니다.오늘날 그들의 연구는 표준모형의 핵심 토대를 이루고 있습니다. 하지만 당시만 해도 두 사람은 물리학에 미칠 거대한 충격 을 예견하지 못했습니다. 단지 ‘연구결과의 수학적 아름다움에 기뻐했다’는 기록만 남아있습니다.가속기 안에 ... ...
- 08 양자의 얽힘(EPR 역설)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08
- 파란색이라고 알게 되는 순간, 지구의 알약은 빨간 색이 된다는 것이 양자역학의 표준해석이다. 하지만, 우주에서 어떤 정보도 빛보다 빨리 이동할 수 없다. 알파 센타우리의 관측 결과는 빛의 속도로 진행하더라도 4년 뒤 지구에 도착한다. 그렇다면 4년이 지날 때까지 지구의 알약은 빨간색과 ... ...
- [수학뉴스] 더 공평한 월드컵 조 편성 방법은?수학동아 l201407
- 점을 반영해 상대 순위를 1위로 정했다. 그 다음 각 조에 편성된 4개국의 상대순위의 합과 표준편차를 이용해 이번 조 편성의 결과를 매우 강함, 강함, 균형, 약함, 매우 약함 5단계로 나누어 표시했다(표1). 그 결과 이번 대회에서 ‘균형’에 해당하는 조는 일본이 속한 C조 하나에 불과했다.구욘은 ... ...
- 수학으로 달리는 똑똑한 지하철수학동아 l201407
- 누리자 다른 나라에서도 관심을 보이면서, 현재 그의 기법은 세계 지하철 노선도의 표준이 됐다. 또 버스 노선이나 수도관, 하수관의 지도는 물론 전자제품의 회로기판과 공장의 생산라인 도면에도 사용되고 있다. 그래프 이론을 이용하면 기다리지 않고 지하철을 탄다! “아…, 방금 출발했네? ... ...
- 두유노우 마우스?과학동아 l201407
- 실험용 쥐로 많이 보이는 SD, ICR, BALB/c나 FVB, 검은 실험용 쥐인 Black 6 J Bom이나 C57BL/6이 표준 마우스 모델로 각 특징에 따라 널리 이용됩니다. 과학자들은 필요에 따라 직접 마우스를 개발하기도 한답니다. 2002년 마우스 게놈 서열이 네이처에 발표되면서 마우스는 더욱 가치가 올라갔습니다. 래트는 ... ...
- 보너스 + 브라주카 만들기!수학동아 l201406
- 6개의 바람개비 조각으로 만든 브라주카!브라주카, 역대 최소 조각 수이자 최초의 구 테셀레이션2014 브라질 월드컵에서 사용하게 될 공인구는 ‘브라주카’다. 월드컵 공인구 사상 최초로 축구팬들의 공모를 통해 지어진 브라주카는 ‘브라질인’을 뜻하는 포르투갈어에서 따서 지었다. 브라주카 ... ...
- Intro 수학으로 세우는 필승전략! Brasil 월드컵!수학동아 l201406
- “대~한민국! 짝짝짝 짝짝!”축구로 전세계인들이 열광하는 월드컵이 곧 시작된다! 2014 월드컵은 자타공인 축구 최강국인 브라질에서 6월 13일부터 7월 14일까지 열리게 된다. 우승 0순위로 꼽히는 브라질은 홈 이점을 살려 이번 월드컵에서 우승할 수 있을까? 그리고 지난 2002년 4강 신화에 이어 2010년 ... ...
- Part 1 알아두면 더 재밌는 월드컵 이야기수학동아 l201406
- D-15 그림으로 보는 월드컵 별별 기록!월드컵은 올림픽과 더불어 전세계인들이 열광하는 스포츠 축제로, 한 가지 종목으로 이뤄진 세계 대회로는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1930년 우루과이에서 열린 대회를 시작으로, 올해로 84년째다. 지난 80여 년에 걸쳐 월드컵 대회는 무려 19회나 열렸고, 이를 통 ... ...
- Part 2 수학으로 세운 승부 전략!수학동아 l201406
- 상대로 한 경기에서 승리를 거머쥘 비책은 없을까?열혈 축구팬이자 물리학자인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이인호 박사는 약팀이 강팀을 이길 수 있는 확률을 계산하는 흥미로운 시도를 했다. 이인호 박사는 영국의 프리미어리그에서 일어난 경기를 바탕으로 ‘약팀’이 ‘강팀’을 이기는 경우의 수를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