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로"(으)로 총 40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를 알면 수학과 영어가 보인다수학동아 l201001
- 가진 것은 17세기부터다.자연수는 1과 소수와 합성수로 나눈다. 1과 자신 이외의 어떤 수로도 나눠지지 않는 수인 소수는 영어로 prime number라고 한다. prime은 라틴어 primus(프리무스)에서 유래했는데 당시의 뜻은 ‘첫째의’였다. 1을 제외한 수 중 첫 번째로 나누어떨어지는 수가 자신이 되는 수라는 ... ...
- ③ 환경 지킴이, 수학수학동아 l200912
- 산성도를 뜻하는 pH가 5.6보다 낮은 비를 뜻한다. pH는 물속에 있는 수소이온의 농도를 수로 표시한 것이다. 1L의 용액 속에 수소이온 1.0×10-7g이 녹아있다면 pH는 7이다. 이보다 낮으면 산성, 높으면 염기성이다.그럼 왜 하필 pH 5.6이 기준일까? 오염물질이 없는 곳이라 하더라도 빗물에는 공기 중의 ... ...
- 수학을 알면 음악이 즐겁다.수학동아 l200912
- 갖는 배열에 의해 이뤄져 있다는 신념에 사로잡혀 있었다. 그리하여 그는 우주가 수로 구성돼 있다는 이색적인 주장을 하게 된다. 한마디로 아름답거나 조화로운 것들 속에는 수의 질서가 존재하고 있다는 뜻이다.피타고라스의 업적은 너무 많아서, 과연 혼자서 다 해낸 것인지 아니면 학파에서 한 ... ...
- [수학의 위대한 발견] 별난 수, 소수의 발견수학동아 l200912
- 검사하는 데도 소수를 쓰고 있습니다. 약수가 특이한 수친화수는 피타고라스가 발견한 수로 자기 자신을 뺀 약수의 합이 상대방과 똑같은 두 수를 말한다. 예를 들어, 220의 약수 중 220을 뺀 수의 합은 284이고, 284의 약수 중에서 284를 뺀 수의 합은 220이 된다. 따라서 이 두 수는 친화수가 된다. 고대 ... ...
- 사칙연산에 새겨진 영어수학동아 l200911
- 표시한 사람은 18세기 독일의 오르프이다.나눗셈기호(÷)가 나오기 전에 나눗셈은 분수로 표시했다. 그래서 나눗셈기호에서 가로 선은 분수에서 분모 분자를 가르는 선이고, 위아래의 점은 분모, 분자의 수를 점으로 표현한 것이라는 설과 위아래의 점은 그냥 장식이라고 하는 설이 있다 ... ...
- 광통신 구현한 광섬유 디카의 핵심 CCD과학동아 l200911
- 우리에게 익숙한 IT제품이 바로 디지털 카메라다. 디지털 카메라의 성능은 화소 수로 평가된다. 화소는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이기 때문에 그 수가 많을수록 화질이 좋아진다. 이번 노벨물리학상의 또 다른 주인공 자리는 이런 화소들 수백만 개가 균일하게 분포한 전하결합소자(CCD)를 개발한 이들이 ... ...
- 2014년 국제수학자대회 유치의 기적을 일구어 낸 수학자수학동아 l200910
- 수학자들이 발표한 논문 수가 2배로 늘어났습니다.”현재 우리나라의 수학 수준은 논문 수로만 따졌을 때 세계 12위다. 일 년에 600~700편의 논문이 나오는 것으로 20년 전에 비해 수십 배나 늘어났다. 그러나 질적인 면에서 수준을 판가름하기는 쉽지 않다. 수학에서는 단순한 논문의 수보다는 얼마나 ... ...
-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태평염전에 가다!과학동아 l200910
- 중에는 소금 광산에서 캐낸 암염도 있고, 한때는 바다였던 지역이 지각변동에 의해 호수로 변한 뒤 물이 증발하면서 만들어진 호수염도 있다. 그 밖에 바닷물을 끓여서 채취한 소금인 자염, 바닷가 인근 지하수를 증발시켜 얻은 정염, 바닷물에서 염화나트륨만 분리해 만든 정제염 등이 있다. 현재 ... ...
- 수학자도 거부한 수, 음수수학동아 l200910
- 유럽에도 전달됐다. 아주 오랜 세월이 흘러 16~17세기에도 유럽 수학자 대부분은 음수를 수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음수를 수라고 생각하더라도 방정식의 해로는 인정하지 않았다. 방정식의 음수 해를 허구의 해 또는 거짓 해라고 불렀다.파스칼은 0에서 4를 빼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기록했다. ... ...
- 약수와 배수, 누가 만들었을까?수학동아 l200909
- 일은 무한히 할 수 있으므로 어떤 수의 배수는 무수히 많다. 하지만 어떤 수를 똑같은 수로 가르는 경우는 한계가 있어서 어떤 수의 약수가 몇 개나 나오는지 정도는 정확히 구할 수 있다.약수와 배수의 개념은 일상생활 속에서 생겨났지만 그 개념을 발전시킨 것은 수학자다. 수학자는 자연수의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