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로"(으)로 총 40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준은 수학이 필요해 !수학동아 l201005
- 흘려보냈다. 당시 모래가 다 떨어지는 시간이 28초였는데 그 동안 풀려나간 끈의 매듭수로 배의 속도를 측정한 것이다. 28초 동안 정확하게 매듭 하나만큼의 끈이 흘려나갔다면 속도는 1노트다. 이것을 시속으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현재 쓰고 있는 노트의 속도와 매우 비슷하다는 사실을 알 수 ... ...
- 수 세기의 지혜, 진법의 발견수학동아 l201005
- 어떤 자리가 비었음을 나타낼 수 있어야 했는데, 이를 위해 사용하던 기호를 0이라는 수로 인정한 것이 인도인들의 위대한 점이다.인도의 숫자와 위치 원리의 편리성, 실용성을 가장 먼저 받아들인 사람들은 아라비아인이었다. 인도에서 만들어진 숫자는 아리비아인의 손을 거쳐 아랍 제국의 ... ...
- 난제의 비밀을 찾아서#1 그 곳엔 항상 소수가 있다수학동아 l201005
- 뒤쪽으로 갈수록 희귀해진다. 지금까지는 발견된 가장 큰 피보나치 소수는 81839번째 있는 수로 17103자리의 수다.다함께 찾는 메르센 소수인터넷에서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여럿이 함께 메르센 소수를 찾는 계획이 있다. 메르센 소수를 찾기 위해서는 매우 강력한 컴퓨터가 ... ...
- 김연아 선수와 함께하는 2010친환경 동계올림픽어린이과학동아 l201004
- 홈통(아래 사진의 화살표)을 통해 모아진 빗물은 정원과 경기장 내 화장실 변기, 빙판수로 쓰이고 있다. 벌레먹은 소나무로 만든 경기장 천장곳곳에 벌레가 먹어 버려지는 수십만 개의 소나무에서 성한 부분만을 잘게 쪼개 이어 붙여 경기장 천장을 만들었다. 이렇게 나무를 재활용한 덕분에 ... ...
- 소녀시대는 왜 9명일까?수학동아 l201004
- 배치하기 위해 큰 수를 간단히 만드는 과정이 필요하다.큰 수는 여러 개의 똑같은 수로 갈랐을 때 나오는 수인 ‘약수’로 나눠진다. 예를 들어 9는 3을 3번 더하면 얻을 수 있으므로 3은 9의 약수다. 또한 나눗셈의 검산식 형태로도 큰 수를 간단히 만들 수 있다. 13을 3으로 나누면 몫은 4, 나머지는 ... ...
- 숫자 4의 탄생과 성장수학동아 l201004
- 하지만 그 뒤 사방(口)을 서로 등지고 나눈(八) 모양에서 넷을 뜻하는 四가 됐어. 만물이 수로 이뤄진다고 주장하던 피타고라스 학파에게 숫자 4는 특별한 존재였어. 1이 아닌 두 수를 곱해서 나온 최초의 합성수* 라는 거지. 그래서 4는 조화, 질서, 완성이라는 의미를 가지게 됐어. 그 뒤 그리스의 ... ...
- 의뢰 1 군사작전을 해도 될까요?수학동아 l201004
- 있다.✚평균의 허점은 산포도로 해결! 산포도는 자료가 평균에 얼마나 흩어져 있는지를 수로 표현한 값이다. 흔히 사용하는 산포도는 편차, 분산, 표준편차다. 자료 하나하나가 평균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알기 위해서는 자룟값에서 평균값을 뺀 편차를 이용한다. 하지만 편차는 자료가 많으면 ... ...
- 왜 4를 싫어하나?수학동아 l201004
- 를 부정적인 수로 쓰는 언론 매체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지. 분명한 건 4가 원래부터 나쁜 수로 쓰이진 않았다는 거야. 이제 4가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 알아보기로 해.4를 싫어하는 현실1 열심히 공부하다가 문득 시계를 봤는데 4시 44분이라면? 왠지 기분이 좋지 않지. 게다가 44초였다면 더할 거야. ... ...
- “수시 80% 확대… 창의적인 인재 선발할 것”과학동아 l201004
- 있다. 그런 의도로 기존에 내신성적을 기준으로 선발하는 인원을 정원의 2배수에서 3배수로 늘릴 것을 검토 중이다.올해 연세대 자연계 논술의 출제방향은 무엇이며, 수험생의 어떤 점을 보는가?올해는 과학, 수학 각각 한 문제씩 출제할 것이다. 과학은 예년처럼 통합과학 문제를 출제한다. 두 과목 ... ...
- 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①수학동아 l201004
- 높다는 사실은 알 수 있다.여기서 카드를 기체 분자로 52라는 수를 수천억 개가 넘는 수로 바꿔 보자. 기체 분자 하나하나의 움직임은 알 수 없지만, 기체 분자가 모여 어떤 상태를 이룰 확률은 예측할 수 있다. 통계역학은 20세기에 들어 입자의 움직임을 확률로 계산하는 양자역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