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스콜레사이트(Scolecite) 인도에서 온 붉은 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채워진 암석이 발견된다는 말이 있을 정도다. 그래서 앞으로 얼마나 더 많은 신기한 모양의 광물들이 산출될지는 아무도 모른다.이런 환경 때문에 ‘경주자(Runner)’라고도 부르는 독특한 직업까지 생겼다. 광물중개상인 이들의 역할은, 멋진 광물이 발견됐다는 소식을 들으면 남보다 빨리 그 현장에 ... ...
- [Knowledge] CCTV에 기록된 그 날의 진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해달라는 것이다. CCTV에 찍힌 사람은 ‘비대칭 보행(unsymmetric gait)’을 하고 있었다. 양쪽의 보폭이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또 하나 특이한 건 오른쪽 발만 바깥쪽을 향하는 팔자 보행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경우 대부분 오른쪽 다리에 염증이나 질환이 있을 확률이 높다. 발목에 ... ...
- [Tech & Fun] 음주 기자 친구의 술 체질 허와 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빨리 만들어져. 아시아인과 이스라엘 사람, 그리고 마오리족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연구에서 이런 유전자를 가진 사람은 술을 마실 때 얼굴이 시뻘개지는 등 후유증이 큰 것으로 나타났어. 한마디로, 주당이 아닌 거지. 반면 ADH 효소가 부족한 사람은 알코올이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잘 분해되지 ... ...
- [수학뉴스] 방향에 속지 않는 컴퓨터의 눈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방향을 일일이 표시하는 수고를 들일 필요도 없습니다.이 알고리즘은 차의 종류가 다양한 도로에서 주변차의 움직임을 예측해야 하는 자율주행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연구에 참여한 레오니드 시갈박사는 과학기술전문사이트 ‘Phys.org’와의 인터뷰에서 “자율주행차가 주변 차와 버스의 ... ...
- [수학뉴스] 뱀의 움직임에도 수학이?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두 다리로 걷는 사람이나 네 다리로 걷는 고양이와 다르게 뱀은 다리가 없어 바닥을 스르륵 스르륵 기어 다닙니다. 그런데 뱀은 어떻게 옆으로 미끄러 ... 이에 대해 디시몬 박사는 “이번 연구는 특히 뱀이 움직일 때 주변에 전달하는 힘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했다”고 말했습니다.만화 :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나라 바다를 지킨다! 국립수산과학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찾았어요. 이곳에서는 커다란 실제 고래뼈에서 독도에 사는 생물들을 비롯한 다양한 바다 생물까지 직접 볼 수 있었어요. 또 한눈에 우리나라의 대표 수산물을 파악할 수 있는 수산물 지도도 전시돼 있었지요. 생생한 바다생물을 통해 바다를 깊이 알고 싶은 친구들은 수산과학관으로 놀러 오세요~ ... ...
- [과학뉴스] 떨어뜨린 음식, 5초 안에 먹으면 OK?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돼야 한다. 로버 연구원은 “어떤 음식이든 바닥에 떨어뜨리면 박테리아가 적은 양이라도 곧바로 묻는다”며 “그러나 박테리아의 평균 이동 속도는 시속 0.00045마일(초속 0.0201cm)로, 달팽이보다 67배 느리다”고 말했다. 즉 빨리 주울수록 박테리아가 덜 묻는다는 얘기다. 실제로 두 과학자가 습기가 ... ...
- Info. 중력파 어떻게 관측했나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중력파는 (+)방향과 (×)방향으로 물체를 진동시킨다. 중력파가 지나가면서 라이고의 양팔에 길이 변화가 생기는 모습을 형상화했다.초기 라이고초기 라이고에서 빛을 반사시키는 거울(질량 10.7kg)은 피아노줄(지름 0.31mm)에 연결돼 철판에 매달려 있었다(그림에서 거울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것은 ... ...
- [Knowledge] 우리도 부모가 되고 싶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채취해 용기에 넣고 영하 196℃의 액체질소 탱크 속에 동결시켜 보관하는 곳으로, 필요한 양만큼 녹여 인공수정에 이용할 수 있다. 정자은행을 이용하는 이유는 자신이 사용하거나, 또는 다른 사람에게 기증하기 위해서다.자신이 사용하기 위한 목적은 다시 둘로 나뉜다. 우선 인공수정이 가능한 ...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얼마나 있냐고. 그렇게 해서, 그 동물 중 하나가 다른 사람과 뇌를 합치며 자라나 이 모양이 될 가능성은 또 얼마나 있냐고. 그 가능성에 모든 걸 걸고, 이 우주를 모조리 날리고 새 우주를 만들어야 하냐고.그렇지만, 내 주장도 이번만큼은 못지 않게 힘을 얻고 있다. 내 쪽 무리는 이렇게 생각한다. ... ...
이전1851861871881891901911921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