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황북기 교수님의 따끈따끈 실험교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서서히 청남색을 띠게 되지요. 즉, 음료 안에 든 비타민 C가 많으면 많을수록, 더 많은 양의 요오드를 떨어뜨려야 색을 볼수 있어요. 실험 결과 유자 주스, 사과 주스, 녹차 순으로 비타민 C가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답니다.기자들이 마지막으로 한 실험은 콜라캔을 잔뜩 얹을 수 있는 튼튼한 다리 ... ...
- [지식] 광케이블 통신망 효율 높이기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여기에 적용하기 위해 문제를 조금 수정했습니다. 두 도시를 연결할 때 긴 쪽과 짧은 쪽 양 방향 중 하나를 택해야 한다는 조건 대신 어떤 방향으로든 전체 수요의 1/3만큼 연결하면, 2/3는 다른 방향으로 연결한다고 가정했습니다.원래 문제에서는 짧은 쪽이든 긴 쪽이든 방향을 정하고 나면 데이터는 ... ...
- [지식] 배구, 스마트하게 변신하다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데이터 분석시스템을 만들어 달라는 요구였다. 개인이 수집했다고 하기에는 어마어마한 양이었다.전략분석을 하지 않는 프로스포츠 구단은 없다. 최근에는 아마추어 구단도 선수들의 데이터를 수치화시켜 통계를 내고 분석해서 경기한다. 이렇게 수학과 통계를 이용한 데이터 분석이 스포츠에 많이 ... ...
- [재미] 도넛처럼 생긴 적혈구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때’, ‘둥글고 길쭉할 때’, ‘둥글납작할 때’, ‘둥글고 안에만 오목할 때’, ‘C자 모양으로 안으로 말렸을 때’로 나눴습니다. 그리고 각각 찌그러질 때 부피가 얼마나 변하는지 계산했습니다.계산 결과 칸타 교수는 둥글고 안에만 오목한 경우 적혈구의 부피가 1에서 0.64로 줄어들며, 에너지 ... ...
- [수학레시피] 생활에서 쉽게 찾는 비와 비율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수를 작고 간단한 수로 바꿔도 상대적인 값이 변하지 않으니 가능한 일입니다.비교하는 양을 기준량으로 나눈 값을 교과서에서는 ‘비의 값’ 또는 ‘비율’이라고 표현합니다. 그러나 엄밀하게 말하면 비의 값은 기준량을 1로 볼 때의 비율입니다.비율은 기준량에 따라 여러 가지로 표현할 수 ... ...
- Part 4. 인공지능의 미래를 가늠하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고직능 근로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다는 뜻이다. 일자리에서 지금보다 훨씬 더 극심한 양극화 현상이 진행될 것이다. 인공지능이 가져올 파장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 마련이 시급하다.인공지능을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한 기술 윤리도 정립해야 한다. 알파고와 이세돌의 대국이 진행되면서 해설가는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꼽힌다.물론 이런 아이디어에 대한 저항도 있다. 양자중력이론의 후보 중 하나인 고리양자중력을 연구하는 미국의 물리학자 리 스몰린은 “시간은 실재하며, 미래를 만들어낸다”고 주장한다. 그는 시간이 현실의 능동적인 요소이며, 물리학의 법칙 자체가 시간에 따라 바뀔 거라고 제안했다. 과연 ... ...
- 거꾸로 푸는 역문제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추리해 나가며 문제를 해결해본 경험이 있다. 그것이 바로 역문제의 철학이다. 앞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역문제를 해결하며 열리게 될 미래가 궁금하다.[중력파★중력파는 질량을 가진 물체가 가속운동하면, 물체 주위로 퍼져나가는 시공간의 잔물결이다.공간이 늘었다 줄었다, 시간이 느려졌다 ...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정보의 총량은 15TB(테라바이트)나 된다. 관건은 이것을 처리하는 기술이다. 보통 자료의 양이 많아지면 분석 비용이 증가하고, 잘못된 천체를 검출할 확률도 높아진다. 오는 4월 25~29일 대전에서 열리는 LSST 국제학회를 준비하는 신민수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은 “LSST의 방대한 데이터 광산에서 ... ...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이식해도 거부 반응이 없습니다. 비글이나 달마시안처럼 점이 있는 종의 경우는, 점의 모양은 약간씩 다르지만 총 넓이가 같았습니다. 각각 다른 공항으로 보낸 복제견에서 똑같이 다리를 끄는 행동이 나타난 사례도 있어요.”외모나 행동은 물론, 탐지 능력 역시 닮는다는 게 지금까지의 분석 ... ...
이전1831841851861871881891901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