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자의 부엌] 소금과 유산균의 콜라보, 김치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엊그제까지도 불처럼 더운 여름이었는데, 벌써 가을이 지나고 겨울로 들어가는 첫날인 입동(立冬)이 코앞입니다. 겨우내 먹을 김치를 준비하는 시기이지요.김장 날이 되면 배추 수백 포기와 무를 마당 한구석에 쌓아 놓고 다함께 배추를 절이고 무채를 썰고 양념을 버무립니다. 김장은 2013년 유네스 ... ...
- [Career] DGIST 에너지공학전공 - 수소연료전지차의 마지막 퍼즐 최고의 촉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올해 8월 현대자동차는 디젤 차종 4개 모델의 생산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그 자리는 하이브리드카와 전기자동차, 수소연료전지차 등 오염물질이 없거나 최소화된 친환경 자동차가 대체할 전망이다. 유종성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는 “앞으로 20년 뒤에는 가솔린이나 디젤을 ... ...
- 2019 한국정보올림피아드 이렇게 바뀐다!수학동아 l2018년 11호
- 한국정보올림피아드(KOI)에 관심이 많은 독자들은 주목하세요! 내년부터 이 대회가 대대적으로 개편됩니다. 한국정보올림피아드를 주관하는 한국정보과학회 엄영익 회장(성균관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으로부터 바뀌는 한국정보올림피아드와 관련된 주요 내용을 들어봤습니다. 2018년 초 한 ... ...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순 있겠지만 해결할 순 없을 겁니다.”버나드 비고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사무총장(사진)은 10월 10일(현지 시간) 프랑스 카다라쉬 ITER 본부에서 열린 ‘2018 ITER 프레스 데이’에서 한국의 에너지전환정책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그는 “한국이 석탄화력 발전소를 줄이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 자체는 ... ...
- [서울대 공대|산업공학과] ‘불확실성의 시대’ 이끄는 학문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만큼 구성원끼리 매우 친밀하다. 산업공학과는 스튜디오 에서 촬영한 학생들의 프로필 사진을 이름과 함께 학과 게시판에 붙인다. 그래서 산업공학과 교수들은 학과 학생들의 이름을 전부 외우고 있고, 학생들도 서로 잘 안다. 홍 교수는 “사회에 나가면 네트워크가 중요하다”며 “결국 서로가 ... ...
- 케네스 리벳 미국수학회 회장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의 숨은 공신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영국 수학자 앤드루 와일스 교수는 358년 동안 풀리지 않았던 수학 난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1994년에 증명해 일약 수학계의 슈퍼스타가 됐다. 하지만 와일스 교수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할 수 있었던 배경에 여러 수학자의 공헌이 있었다. 현재 미국수학회 회장을 맡고 있는 케네 ... ...
- 마리오 카트 8 디럭스 통계가 알려주는 최고의 캐릭터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치킨과 피자, 자장면과 짬뽕처럼 둘 다 맛있으면 하나만고르기 어렵죠? 캐릭터가 무려 43개인 ‘마리오 카트 8 디럭스’에서 캐릭터를 고르기란 더 어렵습니다. 카트와 타이어, 글라이더까지 골라야 하는데 어떻게 조합하느냐에 따라 속도와 가속도가 확 달라지거든요. 어떤 캐릭터를 고르는 게 ... ...
- [화보]양자역학과 예술의 만남, 나노 조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Cupid and Psyche: The Second Kiss_ 큐피드와 프시케남아프리카공화국 출신 작가 존티 허위츠의 ‘큐피드와 프시케’는 전체 길이가 약 155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다. 작가는 이 작품을 1cm 정도인 개미 이마에 올려 촬영했다(오른쪽 박스). 이 작품은 18세기 이탈리아 조각가 안토니오 카노바의 작 ... ...
- [TECH]스마트폰 카메라 전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표정을 추적하고 이모지로 활용하는 것도 NPU와 카메라 기능이 결합한 사례다. 촬영된 사진을 자동으로 분류하는 것도 가능하다. 김 교수는 “앞으로는 AI 프로세서가 스마트폰의 혁신을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기술로 배아를 14일까지 실험실에서 배양한 연구 논문 두 편이 발표됐습니다(오른쪽 사진).doi:10.1038/ncb33, doi:10.1038/nature17948 인간 배아를 14일까지, 아니 어쩌면 그보다 더 오랫동안 실험실에서 배양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 겁니다. 14일의 규칙을 재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죠. 게다가 .. ...
이전1851861871881891901911921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