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d라이브러리
"
사진
"(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화보] 평범한 풍경은 안녕! 시공을 초월한 자연
사진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
세계에서 통한 수학 게임 앱, 토도수학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42가지 게임으로 즐기면서 수학 개념을 익히는 애플리케이션(앱)이 있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미국과 아프리카에서도 아이들이 게임을 통해 수학을 자연스럽게 익히고 있다. 그런데 이를 만든 사람은 전설의 게임 개발자라고 한다. 수학 게임 앱을 만들게 된 계기는 무엇일까? 코끼리와 생쥐가 ... ...
[찰칵 퍼즐 여행] 역사와 첨단 기술의 어울림 인도 벵갈루루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11월에 체코 프라하에서 열린 2018 세계스도쿠-퍼즐선수권대회에서 우리나라 대표팀이 세계 9위에 오르는 쾌거를 거뒀습니다. 역대 대회에서 우리나라 선수가 가장 높은 순위를 거둔 것은 2017년 인도 벵갈루루에서 열린 2017 세계수도쿠선수권대회였어요. 우리나라 대표팀의 주장인 곽승재 선수가 ... ...
韓 문명의 뿌리는 과학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국립과천과학관이 개관 10주년을 맞아 11월 14일 ‘한국과학문명관’을 새롭게 열었다. 한국과학문명관은 전통과학관을 새롭게 개편했다. 기존의 전통과학관이 선조들이 남긴 과학 문화유산을 나열하는 방식이었다면, 한국과학문명관은 전통과학기술을 한국 문명을 이끈 원동력으로 해석한다.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2018년 10월 24일 오전 9시, 모든 역량을 발휘해야 할 순간이 왔다. 먼저 경막외강으로 투입할 카테터를 로봇 팔에 설치한 뒤 조이스틱을 움직여 작동 여부를 시험했다. 결과는 고무적이었다. 앞뒤 그리고 상하좌우 모든 방향으로 카테터가 원활하게 움직인 것이다. 이제 가장 중요한 임무가 남았다. ...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3세대 항암치료’로 불리는 면역치료법을 개발한 두 과학자에게 돌아갔다. 암세포 자체를 제거하려고 한 기존 치료법과 달리 이들은 암 환자의 면역세포를 이용해 새로운 개념의 치료법을 제시했다. 하지만 3세대 항암치료가 등장했다고 해서 기존의 항암치료법이 중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달콤한 사탕을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어린이집에 깜짝 방문한 섭섭박사님! 그런데 아이들이 섭섭박사님을 보고 갑자기 울음을 터뜨리기 시작했어요. 그렇다고 당황할 섭섭박사님이 아니죠! 직접 만든 예쁜 사탕을 아이들에게 나눠 주자 분위기가 금세 좋아졌어요. 섭섭박사님은 어떤 사탕을 만들었을까요? ...
[식물 속 동물 찾기] 산꿩의다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2호
6월에 산을 오르면 흔히 볼 수 있는 이 꽃은 ‘산꿩의다리’예요. 산꿩의다리의 하얀 꽃은 꽃잎은 없고 기다란 수술대와 짧은 암술대만으로 이뤄져 산 위에 터지는 폭죽처럼 피어나지요. 줄기는 가늘고 길어 키가 50cm 정도 된답니다. 이런 줄기의 모양 때문에 ‘산꿩의 다리’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 ...
[과학뉴스] 중국, 1억 도 ‘인공 태양’ 성공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물리연구소는 자체 제작한 핵융합 실험로인 ‘실험용고성능초전도토카막(EAST·아래
사진
)’을 이용해 온도가 1억 도에 이르고 발열 에너지가 10MW 이상인 초고온 플라스마 상태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11월 12일 밝혔다. 이는 우리나라의 ‘한국형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가 2017년 기록한 7000만 ... ...
한 달 먼저 뽑아 본 2018년 10대 과학 뉴스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외계인’이었다. 8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화성탐사로봇 ‘큐리오시티’가 보내온
사진
에서 수상한 물체가 포착됐다. 일반적인 돌이나 바위와 달리 지나치게 납작한 모양을 하고 있어 외계문명의 흔적이 아니냐는 논란이 일었다. 이에 대해 NASA는 “바위에서 떨어져 나온 조각”이라고 ... ...
이전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