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에서 즐기는 과학나들이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역사를 알 수 있는 곳을 선정해 박물관 탐사코스를 만들었다.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국립
서울과학관에서 시작하자. 현재 ‘동물의 신비’전이 열리고 있다. 서울대병원 의학박물관에서는 근대기 서양의학의 도입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의학의 발전과정을 볼 수 있다. ... ...
직업에서 취미를 찾은 ‘기상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2~4cm인 보통우표만 봐 왔지 A4 용지만 한 우표를 본 적도, 들은 적도 없다. 다행히 류상범
국립
기상연구소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장이 우표 지식이 없는 기자를 이해하고 친절하게 설명해줬다.“멀레디 커버에요. 우표 값이 선납된 일종의 엽서이자 우편봉투죠. 여기 우정당국이 발행한 요액인면(우표 ... ...
Intro. 과학수사 X파일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일어났던 범죄를 연상시키는 연예인 독살사건, 희대의 연쇄살인마 사건 등을 풀어나가는
국립
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 법의학자의 고군분투를 보며 시청자들은 양손에 땀을 쥐었다. 일각에서는 이런 장르의 드라마와 영화가 시청자에게 범죄 방법과 수사망을 피하는 방법을 알려줘 오히려 ‘예비 ... ...
Part 1. 과학이 낳은 명탐정 홈즈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앞 다투어 리용 법과학감정소를 벤치마킹한 법과학실험실을 설립했다. 우리나라의
국립
과학수사연구원(이하 국과수)도 그중 하나다.1951년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DNA 구조를 규명하면서 유전정보를 이용해 개인식별을 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크고 작은 증거물을 토대로 추리해야 했던 ... ...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이번처럼 자동차가 전속력으로 달려도 따라잡힐 정도로 빠르게 진입하기도 한다. 홍성진
국립
방재연구소 연구원은 연안에서 해일을 목격한 다음에 뛰어서 대피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며 “지진해일을 피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멀리 가는 게 아니라 무조건 높은 곳으로 올라가는 것”이라고 ... ...
기회의 세상 만드는 마태복음 효과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보스턴대 유진 스탠리 교수 공동연구팀은 통계물리학을 이용한 이 연구를 지난해 12월 미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 실었다. 정우성 교수가 직접 성공의 비밀을 설명한다.얼마 전 축구 국가대표 주장이었던 박지성 선수가 은퇴를 선언했다. '새로운 캡틴 박'의 지위는 박주영 선수가 물려받았다. 올해부터 ... ...
인공위성이 그린 호랑이의 포효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숲이요, 보라색 부분은 사막이다. 미국 아리조나 주에 있는 오색사막과 스티그리브스
국립
공원의 소나무숲이 맞닿아 있는 경계가 꼭 영역 싸움을 벌이는 전선 같다. 오색사막 안에는 과거 화산 지대의 흔적이 아직 남아 있다. 검은 점처럼 박힌 얼룩이 화산이었던 부분이다. ... ...
‘생명의 책’을 탐구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발표된 지 10년이 지났다. 이 프로젝트의 완성은 생명과학과 의학의 새 시대를 열었다. 셀레라 사와
국립
인간게놈연구소, 두 라이벌 그룹이 경쟁적으로 연구한 결과 사람의 유전자가 2만 5000개로 구성됐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
“비과학적인 매몰 대책이 침출수 문제 불렀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곳은 경기도다. 김태한 팔달수질개선본부장은 “묻은 지 1개월~ 1개월 반 된 침출수를
국립
수의과학원에 의뢰해 검사한 결과, 모두 음성으로 나왔다”고 밝혔다.하지만 다른 박테리아(세균)는 검사하지 않았고, 전례에 비춰 볼 때 얼마든지 검출될 가능성이 있다.환경부에서 2009년 AI 매몰지의 세균 ... ...
구강 박테리아 다양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미생물의 연합으로 이뤄진 초개체임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한편 미국
국립
보건원(NIH)은 2007년 인체거주 미생물군집의 실체를 밝히는 ‘인간미생물군집프로젝트(HMP)’를 시작했다. 우리 몸에서 살고 있는 미생물 3000종의 게놈을 밝히겠다는 원대한 계획이다. 연구자들은 지난해 5월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