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해피 파이데이 투 유”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사실을 이용해 원주율의 근삿값을 구했다. 수학동아와 함께한 학생들의 생생 체험담
국립
과천과학관의 ‘미래 상상 우주선’ 과 ‘토성’ 만들기 활동은 조별로 진행됐다. 기자는 그들 중에서 멀리서도 눈에 띄는 한 가족에게 다가갔다. 노란 우주선을 만들고 있던 엄태용(서울 잠동초 3년)군의 ... ...
애벌레의 36계 줄행랑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알려져 있으며 1989년, 1994년 치악산에서 채집 기록이 있었다. 2010년 7월 15일 치악산
국립
공원 조사 중 왕나비 애벌레 1개체를 채집했다. 애벌레로 채집되기는 본 조사가 최초 기록이다. 이 애벌레는 박주가리과 큰조롱을 먹이식물로 삼으며 7월 17일 번데기를 만든 뒤 7월 30일 89mm의 왕나비 수컷 ... ...
귀로 앞을 본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후두부에 있는 대뇌피질에서 시각을 담당하는 부분이 활성화된 것. 이 연구 결과는 ‘미
국립
과학원회보(PNAS)’ 3월 15일자에 실렸다.콜리그넌 박사는 “이번 연구는 뇌가 감각기관을 복합적으로 활용해 공간을 인지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발견한 것”이라고 밝혔다 ... ...
서울에서 즐기는 과학나들이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역사를 알 수 있는 곳을 선정해 박물관 탐사코스를 만들었다.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국립
서울과학관에서 시작하자. 현재 ‘동물의 신비’전이 열리고 있다. 서울대병원 의학박물관에서는 근대기 서양의학의 도입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의학의 발전과정을 볼 수 있다. ... ...
직업에서 취미를 찾은 ‘기상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2~4cm인 보통우표만 봐 왔지 A4 용지만 한 우표를 본 적도, 들은 적도 없다. 다행히 류상범
국립
기상연구소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장이 우표 지식이 없는 기자를 이해하고 친절하게 설명해줬다.“멀레디 커버에요. 우표 값이 선납된 일종의 엽서이자 우편봉투죠. 여기 우정당국이 발행한 요액인면(우표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2011년 3월 11일 오후 2시 46분 일본의 북동쪽 바다 밑에서 거대한 지진이 발생했다. 지진해일과 원자력발전소의 폭발 사고가 뒤따르며 피해는 눈덩이처럼 커졌다. 두려움은 잘 알지 못하는 데서 오는 법. 지진에서 방사선까지 자세히 파헤쳐 보자.지진에 이은 지진해일의 영향으로 마을 안쪽까지 배가 ... ...
Intro. 과학수사 X파일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일어났던 범죄를 연상시키는 연예인 독살사건, 희대의 연쇄살인마 사건 등을 풀어나가는
국립
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 법의학자의 고군분투를 보며 시청자들은 양손에 땀을 쥐었다. 일각에서는 이런 장르의 드라마와 영화가 시청자에게 범죄 방법과 수사망을 피하는 방법을 알려줘 오히려 ‘예비 ... ...
Part 2. 과학수사 X파일 5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가렸다. 유영철은 체포될 당시에는 자신이 범인이 아니라고 강력히 부인했다. 하지만
국립
과학수사연구원(이하 국과수)에서는 마스크로 가린 범인이 유영철임을 밝혀냈다. 3차원 얼굴스캐너 덕분이었다. [모자를 눌러쓰고 마스크로 얼굴을 가린 다음 범행을 했던 유영철도 과학수사망을 벗어나지 ... ...
내 별은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크게 높아졌다”고 이번 대회를 평가했다. 모든 당선작은 한국천문연구원(www.kasi.re.kr),
국립
중앙과학관(www.nsm.go.kr), 동아사이언스(www.dongaScience.com)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시상식은 4월 중에 대전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열린다. [대상 | 신범영 ‘IC 1396’지난해 11월 26일부터 지난 1월 2 ...
Part 3. 디지털포렌식, 산업스파이를 잡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지워도 남는 디지털 증거검사 A전자의 컴퓨터 하드디스크를 디지털포렌식으로 분석한
국립
과학수사연구원(이하 국과수) 영상분석실의 김일현 공업연구사를 증인으로 요청합니다.김 연구사가 증인석에 앉아 증인선서를 했다. 검사 A회사의 컴퓨터 하드디스크에 설계도를 복사한 기록이 남아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