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려대 봉사단 ‘쿠소’의 뜨거운 8박 9일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왕립학술원장은 캄보디아 현지에서 장관급 직책이다. 왕립학술원은 캄보디아 최고의
국립
인재 양성 기관으로 자국의 교육정책을 총괄하는 곳이다.클롯 티다 원장은 “한국 대학생들의 교육 활동에 참고할 점이 많다”며 “캄보디아 교육과정에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이번 ... ...
애벌레의 36계 줄행랑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알려져 있으며 1989년, 1994년 치악산에서 채집 기록이 있었다. 2010년 7월 15일 치악산
국립
공원 조사 중 왕나비 애벌레 1개체를 채집했다. 애벌레로 채집되기는 본 조사가 최초 기록이다. 이 애벌레는 박주가리과 큰조롱을 먹이식물로 삼으며 7월 17일 번데기를 만든 뒤 7월 30일 89mm의 왕나비 수컷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2011년 3월 11일 오후 2시 46분 일본의 북동쪽 바다 밑에서 거대한 지진이 발생했다. 지진해일과 원자력발전소의 폭발 사고가 뒤따르며 피해는 눈덩이처럼 커졌다. 두려움은 잘 알지 못하는 데서 오는 법. 지진에서 방사선까지 자세히 파헤쳐 보자.지진에 이은 지진해일의 영향으로 마을 안쪽까지 배가 ... ...
“해피 파이데이 투 유”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사실을 이용해 원주율의 근삿값을 구했다. 수학동아와 함께한 학생들의 생생 체험담
국립
과천과학관의 ‘미래 상상 우주선’ 과 ‘토성’ 만들기 활동은 조별로 진행됐다. 기자는 그들 중에서 멀리서도 눈에 띄는 한 가족에게 다가갔다. 노란 우주선을 만들고 있던 엄태용(서울 잠동초 3년)군의 ... ...
Part 2. 과학수사 X파일 5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가렸다. 유영철은 체포될 당시에는 자신이 범인이 아니라고 강력히 부인했다. 하지만
국립
과학수사연구원(이하 국과수)에서는 마스크로 가린 범인이 유영철임을 밝혀냈다. 3차원 얼굴스캐너 덕분이었다. [모자를 눌러쓰고 마스크로 얼굴을 가린 다음 범행을 했던 유영철도 과학수사망을 벗어나지 ... ...
내 별은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크게 높아졌다”고 이번 대회를 평가했다. 모든 당선작은 한국천문연구원(www.kasi.re.kr),
국립
중앙과학관(www.nsm.go.kr), 동아사이언스(www.dongaScience.com)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시상식은 4월 중에 대전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열린다. [대상 | 신범영 ‘IC 1396’지난해 11월 26일부터 지난 1월 2 ...
공룡화석 살펴보니… “고대 중국, 생각보다 추웠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깃털을 가지고 있는 이유는 추위를 견디기 위한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
국립
과학원회보(PNAS) 3월 10일자에 게재됐다.아미오 교수팀은 “이런 종류의 공룡은 초기 백악기(125~110만 년 전)에 살았다”며 “당시 이 지역의 기온은 10℃ 정도로 서늘했다”고 주장했다. 초기 백악기에는 ... ...
Part 3. 디지털포렌식, 산업스파이를 잡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지워도 남는 디지털 증거검사 A전자의 컴퓨터 하드디스크를 디지털포렌식으로 분석한
국립
과학수사연구원(이하 국과수) 영상분석실의 김일현 공업연구사를 증인으로 요청합니다.김 연구사가 증인석에 앉아 증인선서를 했다. 검사 A회사의 컴퓨터 하드디스크에 설계도를 복사한 기록이 남아 ... ...
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깜짝 놀란 것도 당연했다.때로는 우연이 새로운 초전도체 발견에 관여하기도 했다. 일본
국립
소재과학연구소의 물리학자 타카노 요시히코는 철 기반 초전도체에 대한 소식을 접하자마자 연구에 돌입했다. 그의 연구팀은 철과 텔루르를 기반으로 한 초전도체가 목표였다. 텔루르 원소를 일부 황으로 ... ...
귀로 앞을 본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후두부에 있는 대뇌피질에서 시각을 담당하는 부분이 활성화된 것. 이 연구 결과는 ‘미
국립
과학원회보(PNAS)’ 3월 15일자에 실렸다.콜리그넌 박사는 “이번 연구는 뇌가 감각기관을 복합적으로 활용해 공간을 인지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발견한 것”이라고 밝혔다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