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석
해체
분류
분별
분리
검토
분열
뉴스
"
분해
"(으)로 총 2,019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연구진, 남태평양 바다에서 신종 미생물 2종 찾아냈다
2014.09.25
한국해양과학기술원(KOIST) 박사 연구팀은 미크로네시아 산호초 해역에서 해조류를
분해
하는 미생물을 찾던 중 새로운 미생물들을 발견했다고 25일 밝혔다. 생물분류학 데이터들을 살펴본 결과 이번에 발견된 두 미생물은 지금까지 존재하는 미생물 ‘속(Genus)’ 중에서는 어느 것에도 포함되지 ... ...
슈퍼박테리아 만드는 ‘카멜레온 유전자’ 찾았다
2014.09.23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하지만 이렇게 돌연변이가 생긴 효소는 반대로 베타락탐을
분해
할 수 없게 되는데, 세균이 다시 베타락탐에 노출되자 돌연변이 유전자 염기서열이 쉽게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갔다. 김 교수는 “새롭게 발견한 이 짧은 염기서열 때문에 세균이 여러 가지 항생제 환경에 ... ...
햇빛만 있으면 수소가 펑펑
2014.09.23
티타늄 금속산화물을 이용한 광촉매보다 수소 생산량이 무려 10배 이상 높았다. 또 물을
분해
할 수 있는 효율도 6% 이상으로 개선됐다. 1970년대 부터 햇빛으로 수소를 만들기 위한 광촉매 기술이 연구돼 왔지만 그동안은 효율이 3% 정도에 그쳤다. 하지만 이제 실용화가 가능한 효율 10% 이상 광촉매에 ... ...
신소재 개발하려면 ‘이것’부터 보세요
2014.09.19
제작했다. 또 폴리머구슬과 산화구리를 붙인 소재를 촉매로 써서 햇빛으로 물을 전기
분해
하는 수소전극을 개발했다. 수소는 수증기 이외에는 어떤 물질도 배출하지 않는 청정 연료다. 수소 전극이 상용화되면 공해 없이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 김 단장은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연구로 개발한 ... ...
아세요? 암모니아 합성에 인류 에너지의 2%가 들어간다는 사실을
2014.08.18
것. 결과적으로 마찬가지 이야기이지만 메커니즘이 다르다는 말이다. 일반 전기
분해
(역시 연료전지의 역반응이다)의 경우 음극으로 이동한 전자(e-)와 수소이온(H+)이 만나 수소(H2)가 만들어지지만 이 시스템은 음극의 전자가 전해질에 떠있는 나노철산화물촉매로 확산된다. 그리고 여기에 질소와 ... ...
[표지로 읽는 과학] 부모의 생활습관 아기에게 고스란히 ‘유전’
2014.08.17
역할을 한다. 꼬리표가 붙은 단백질은 세포 속 쓰레기통인 ‘프로테아좀’으로 가
분해
되고 만다. 이 ‘저승사자 단백질 복합체’는 약 20년 전 애기장대에서 처음 발견됐고, 이후 많은 식물을 비롯해 곰팡이와 동물에서도 발견됐다. 하지만 이 단백질 복합체가 유명세를 탄 이유는 따로 ... ...
친환경 수소자동차 상용화 파란불
2014.08.13
개발한 멀티스케일 나노구조를 연료전지뿐 아니라 자동차용 배출가스 정화장치, 물
분해
등 넓은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글로벌프론티어사업단 멀티스케일 에너지 시스템 연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 ...
살아있는 세포를 유리로 코팅한다고?
2014.08.12
등 세포의 생장방식도 바뀌었다. 이렇게 피포화 한 세포는 각종 화학물질이나 단백질
분해
효소를 장시간 처리해도 보통의 자궁경부암 세포보다 생존률이 높았다. 양성호 교수는 “환경 변화에 민감한 동물세포를 인공적 방식으로 보호해 생존력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며 ... ...
헬리코박터균이 위암 어떻게 일으키나 봤더니
과학동아
l
2014.08.05
현상이 나타난다. 이 현상이 일어나도록 유도하는 단백질(Snail)과 이를
분해
하는 효소(GSK-3)가 있는데, 종양단백질이 이 효소를 억제해 Snail 단백질의 발현이 늘어나며 위암이 진행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헬리코박터균을 보유한 위염 환자의 위에는 Snail 단백질이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 ...
혈관에 ‘팔찌’ 채우니 동맥경화 ‘끝’
과학동아
l
2014.08.03
2주면
분해
되는 생
분해
성 고분자 물질을 이용해 만들기 때문에 몸 안에 삽입해도 스스로
분해
된다는 장점이 있다. 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술을 따로 받지 않아도 된다는 뜻이다. 류 교수는 “이 장치는 약물전달 외에도 혈관우회로 수술 부위에 장착해 혈관이 막히는 현상을 막는데 응용할 수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