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석
해체
분류
분별
분리
검토
분열
뉴스
"
분해
"(으)로 총 2,123건 검색되었습니다.
세라믹 입혀 염증 90% 줄인 차세대 스텐트 개발
2016.02.05
생존시키고 괴사를 막아 염증을 억제한다. 또 스텐트에 코팅된 입자는 생체 내에서
분해
되며 신체에 필요한 마그네슘 이온까지 분출한다는 장점도 확인됐다. 연구팀은 정명호 전남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4주간 돼지에게 새로운 스텐트를 삽입해 실험한 결과, 기존 스텐트를 ... ...
물에 씻겨진 칼에서도 DNA가 검출된다
과학동아
l
2016.02.03
2개(한 쌍)에 불과한 핵DNA와 달리, 세포 하나 당 200~1700개나 있다. 그래서 세포가 산산이
분해
되는 와중에도 비교적 오랫동안 멀쩡한 mtDNA가 남아있을 수 있다. 하지만 핵DNA 분석법보다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 일반적인 현장에선 잘 쓰지 않는다. 보통은 시체에서 부패가 많이 진행돼 핵DNA를 검출하기 ... ...
피부에 바르고 빛 쪼이면 끝! 이런 백신 또 없습니다~
2016.02.02
없이도 피부를 접합할 수 있는 길이 열린 셈이다. 시간이 지나면 광 도파관이 몸속에서
분해
되기 때문에 별도의 제거과정이 필요 없다는 장점도 있다. 한 교수는 “빛을 쪼이는 방식의 백신 기술의 경우 6개국에 특허를 출원했으며 다양한 질환에 적용하는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며 “피부에 잘 ... ...
수중과학수사에서는 시체가 곧 증거다
과학동아
l
2016.02.02
위에 떠오르는 시간을 측정하는 실험이다. 물에 잠긴 시체에선 혐기성세균이 유기물을
분해
해 이산화탄소, 황화수소, 메탄 같은 부패가스를 만든다. 내장 및 세포(근육) 사이의 빈 공간마다 기체가 들어차면 중력보다 부력이 커져 시체가 수면 위로 떠오른다. 저수지 실험장 수면에 떠오른 돼지 ... ...
‘천연가스’ 이용해 나노와이어 저렴하게 대량생산한다
2016.01.28
순수한 나노와이어를 성장시키는 데 성공했다. 천연가스는 고온에서 수소와 탄소로
분해
되는데 여기서 나온 수소가 물질 표면의 산소와 결합해 나노와이어를 성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 탄소는 나노와이어 표면을 코팅해 공기층과의 접촉을 막아 열적 화학전 안정성을 높인다. ... ...
원자 하나까지 반응하는 ‘궁극의 촉매’ 개발
2016.01.27
연세대 알로이시우스 순(Aloysius Soon) 교수팀과 공동으로 고가의 백금 촉매를 원자 단위로
분해
해 전기화학 반응에 적용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27일 밝혔다. 백금은 공기 중에서 쉽게 부식되지 않고 색깔이 화려해 장신구 소재로 잘 알려진 귀금속으로 화학 분야에서는 촉매로 널리 쓰인다. 다만 ... ...
[Food&Dining3.0]배탈 해결해주는 소화 잘되는 우유
동아일보
l
2016.01.20
성인일수록 유제품 섭취가 성장기 유아·청소년과 비교해 줄어드는 경우가 많아 유당
분해
효소가 더욱 감소하고 유당불내증을 겪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일반우유 대비 지방을 50% 이상 줄인 ‘매일 소화가 잘되는 우유 저지방’ 제품까지 내놔 칼로리 섭취를 신경 쓰는 사람들까지도 배려했다. ... ...
연필심보다 작고 쌀 한 톨보다 가벼운 센서, 뇌에 삽입
2016.01.19
정보는 전선을 통해 뇌 표면에 있는 무선전송기로 전달된다. - 네이처 제공 연구팀은 생
분해
성 고분자를 이용해 연필심보다 크기가 작고 쌀 한 톨보다 가벼운 센서를 개발했다. 센서에는 머리카락의 10분의 1 정도 두께인 가느다란 전선이 달려있다. 이 전선은 두개골 바깥에 부착한 ... ...
내 몸에 박힌 금속, 1년 뒤엔 저절로
분해
돼 사라져
2016.01.13
“의료용 임플란트는 체내에서 너무 빨리
분해
돼도 안 되고, 너무 늦게
분해
돼도 안 되는 만큼 속도 조절이 관건”이라며 “지난해 12월 보건복지부로부터 보험적용이 가능하도록 승인이 난 만큼 많은 사람들이 도움을 받을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 ...
푸른빛 LED, 백색광으로 바꾼 비결
2016.01.13
수준으로 성능은 유지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백색광을 만들 수 있다. 또 자연적으로
분해
될 수 있는 단백질을 재료로 사용해 친환경적이라는 장점도 있다. 코스타 교수는 “바이오HLED는 온도와 습도 등에도 영향을 받지 않아 오래 사용해도 안정적으로 작동한다”며 “LED가 가진 단점을 ... ...
이전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