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에너지"(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수학이 돌려 준 내 얼굴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수리과학과 이창옥 교수님은 “어떤 목표를 성취하는 데 필요한 시간과 자원, 힘 등 총 에너지가 최소화되는 상태를 만드는 게 수학에서의 최적화”라며, “의학에서 수학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실제로 최근 의료 분야에 수학 모델을 활용하면서 수술이 점점 정교하고 ... ...
- [Life & Tech] 찜질방 계란은 왜 갈색일까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보면 전기는 열보다 3배 이상 귀한 고급에너지입니다.“그러니까 난방 같은 저온 열에너지를 얻으려고 전기를 쓰는 건 낭비다, 이 말이야. 등유나 가스난로는 효율이 80~90%거든. 아, 물론 냄새는 좀 참아야지.”180℃ 맥반석에서 계란은 갈색이 된다소녀는 소년이 멋져 보였을까요, 아니면 그저 ... ...
- [Knowledge] 초속 299,792,458m를 약속하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많은 에너지가 만들어지는지 쉽게 계산할 수 있다. 만약 빛의 속도가 변하면 뜬금없이 에너지 값도 변하게 된다. 이런 불편함을 견딜 수 없어 아예 빛의 속도를 약속해버린 것이다.Theory상대성이론필자가 기차를 타고 가면서 땅위에 앉아 있는 포수에게 공을 던지면 얼마든지 류현진처럼 빠른 공을 ... ...
- [Knowledge] 끈 매고 뛰는 우주 런닝머신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수분이 부족하니 혈액도 부족하고, 심장은 적은 양의 혈액으로 운동에 필요한 산소와 에너지를 공급한다. 유산소 운동 능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물론 우주에서는 여건 상 그렇게 땀 흘려가며 운동할 수는 없지만 말이다(PLUS 참조).“그나저나 비타민을 안 드셨다죠? 안됩니다. 운동을 심하게 ... ...
-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속에 있던 건 초중력이론이었습니다만, 초중력은 이제 빛이 바랬습니다. 우주상수와 암흑에너지, 중력파와 인플레이션 등 아직도 우리가 이해하고 설명해야할 문제는 산더미 같습니다.”이것으로 인터뷰를 마치도록 한다. 시공간을 돌아다니는 일은 대단히 피곤한 일이다. 더구나 내가 사용한 ... ...
- [과학뉴스] 화석연료 만드는 엔진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화석연료를 태우면 물과 이산화탄소, 에너지가 나온다. 이 과정을 거꾸로 돌려 물과 이산화탄소에 에너지를 가해주면? 당연한 말이지만 탄화수소 연료가 생긴다. 최 ... 화석연료를 합성할 수 있다면 폐차장으로 갈 수많은 기계들을 구할 수 있다. 현재 에너지전환효율은 약 70%에 이른다 ... ...
- [Knowledge] 어느 날 멈춰있던 땅이 움직이기 시작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마그마로 뒤덮였다. 이것이 지구 초기에 존재했던 ‘마그마 바다’다. 소행성에는 핵에너지를 내뿜는 방사성 동위원소도 많았다. 지구는 더 뜨거워졌다. 핵폭탄 수천 개가 끊임없이 지구로 떨어지는 모습을 상상해보자!판구조운동이 일어나려면 섭입과 판당김 현상이 일어나야 한다. 섭입은 밀도가 ... ...
- INTERVIEW. “21세기는 일반상대성이론의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존재를 가능하게 하는 표준모형에도 일반상대성이론이 들어간다. 또 우주의 팽창과 암흑에너지, 블랙홀, 암흑물질 등 대부분의 천문학 이론들이 일반상대성이론이 성립한다는 전제 하에 만들어진 것이다.Q. 이론의 중요성을 일반인은 공감하기 어렵다상대성이론은 우리 생활과도 밀접한 관련이 ... ...
- Epilogue. 상대성이론 가지고 놀기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우주라는 거시세계를 설명한다. 빅뱅부터 시작해 우주 팽창과 암흑에너지, 별의 진화와 블랙홀, 웜홀, 시간여행, 중력파까지. 일반상대론의 도움 없이 설명할 수 있는 우주적 개념은 거의 없다. 문제는 이 모든 게 우리 눈에 잘 안 보인다는 것. 미국항공우주국(NASA), 유럽우주국(ESA)이 돈을 쏟아부어 ... ...
- [지식] 녹아버린 초콜릿에서 영감을 얻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4개의 방정식으로, 이 연구에서는 전자기파에서 출발한 에너지 중에서 얼마나 열에너지가 되어 음식을 데우고 또 사라지는지를 계산하는 데 쓰였다.이렇게 만든 수학 모델로 버드 교수는 음식을 가장자리에 놓을 때와 중앙에 놓을 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온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그래프로 ... ...
이전184185186187188189190191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