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십 리도 못 가서 쥐가 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높아져 자연스럽게 스쿼트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죠. 엑소슈트를 입어본 적 없는 사람 10명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엑소슈트를 입은 10명 중 9명이 물건을 들 때 스쿼트 동작에 가까운 자세를 취했어요. 또 슈트의 신축성 덕분에 움직임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평균 5.3%가량 아낄 수 있었죠.연구를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돼요. 식이섬유 섭취는 장내 미생물을 골고루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거죠.식이섬유가 사람에게 주는 영향은 종류마다 달라요. 물에 녹는 ‘수용성 식이섬유’는 콜레스테롤을 잡아 몸 밖으로 꺼내는 한편, 물에 녹지 않는 ‘불용성 식이섬유’는 수분을 흡수해 배변을 촉진한답니다. 레골리스 ... ...
- [지구사랑탐사대 현장취재] 전 세계 박쥐 연구자들에 외치다! 시티뱃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앞으로도 지구사랑탐사대의 박쥐 탐사는 계속됩니다. 박쥐 탐사를 통해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박쥐를 아끼고, 생물과 함께 행복한 세상을 만들 그날까지, 쭈욱 ... ...
- 우동수비대 우동이의 일기 기록 교정 작업! 대학생 언니, 형 출동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우동수비대(우리동네 동물원 수비대)는 수의사와 함께 동물원을 연구해 동물과 사람이 행복한 동물원을 만드는 시민과학프로젝트로 1기는 2~5월 활동했고, 2기는 7~9월 활동합니다. 교정 작업을 위한 멘토 교실, 열리다! 지난 1기 때 마승애 수의사가 혼자서 조사 기록을 검토하고 교정하는 데 ... ...
- [가상 인터뷰] 딸랑딸랑~, 가까운 듯 멀리 떨어진 방울뱀 소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거야. 우리의 독은 대부분 혈액 내의 적혈구를 파괴시키는 역할을 해. 몇 시간 내로 사람을 사망에 이르게 하는 맹독을 가진 방울뱀도 있단다. 이름은 왜 방울뱀이니? 꼬리 끝에서 나는 방울 소리 때문이야. 이름만 보면 청아하고 맑은 방울 소리가 날 것 같지만 실제론 시끄러운 자명종 소리에 더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쉽게 볼 수 있지요. 주상절리가 병풍처럼 늘어선 웅장하고 독특한 경관을 보기 위해 많은 사람이 제주도를 찾습니다. 해안을 따라 약 3.5km에 이르는 제주도 중문·대포 해안 주상절리대는 천연기념물 제443호로 지정되기도 했어요. 아메바(amoeba) 아메바는 몸이 하나의 세포로 된 단세포 동물이에요. ... ...
- 플라스틱 다이어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어과동에는 작은 실천으로 지구를 구하는 영웅이 많아요. 이 작은 영웅들은 플라스틱 줄이기에 동참하는 ‘플라스틱 일기’, 쓰레기를 줍는 ‘줍 ... 와서 첫 줍깅!안시현 기자캠핑 와서 놀다가 쓰레기를 발견하고 첫 줍깅을 했어요. 사람들이 계곡에 쓰레기를 버리고 간다니 안타까웠어요 ... ...
- [이달의 과학사] 1849년 9월 26일 ‘파블로프의 개’실험의 파블로프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파블로프는 개를 이용해서 소화 기관의 원리를 알아보는 실험을 합니다. 신체 구조가 사람과 비슷하고, 키우는 데 큰 비용이 들지 않았거든요. 그는 이 공로로 1904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습니다.조건반사 실험은 노벨상 수상 이후에 시작되었습니다. 연구 도중 파블로프는 같은 먹이를 봐도 개마다 ... ...
- [헷갈린 과학] 가격도 달라, 맛도 달라! 청포도VS샤인머스캣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대로 비싸지만, 당도가 18브릭스● 이상으로 일반 포도(약 14브릭스)보다 훨씬 달아 많은 사람들이 즐겨먹고 있지요.샤인머스캣은 청포도의 일종으로, 원산지는 일본입니다. 1988년 일본의 국립과수과학연구소에서 3가지 포도 품종을 교배해서 만들었어요. 20~23브릭스로 당도가 가장 높은 ‘스튜벤’과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나와 다른 사람의 권리 존중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직접 허락을 구하고 사용해야 하지요. 저작권을 확인하는 과정은 디지털 세상에서 다른 사람의 시간과 노력을 존중하는 디지털 시민의 첫걸음이랍니다. 필자소개 김지훈(부산 창진초 교사)안전하고 신나는 디지털 세상을 꿈꾸는 초등학교 선생님입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와 ... ...
이전184185186187188189190191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