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있을까요? 그 모양이 정다각형이고, 이웃한 정다각형끼리는 변을 무조건 맞대야 한다면 다음 3가지(그림 ➊~➌) 경우 밖에 없습니다. 이런 조건이 없다면 정삼각형 6개를 묶어 아래 그림 ➍번처럼 오각형 무늬로 테셀레이션할 수 있지요. 볼록오각형으로 면을 채워라!그러고 보니 정삼각형과 ... ...
- [Issue] 동물정신과 측면에서 본 공격성과 치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말로 변환하면 ‘두려우니 다가오지 마세요. 멀리 가세요’ 정도 될까. 문제는 그 다음부터다. 그럼에도 두려운 대상이 점점 가까이 다가오면 개는 더욱 강력한 의사 표시로 사람을 문다. 그리고 처음 사람을 물었을 때는 대부분 심각한 상처를 남기지 않지만, 무는 행동이 반복되면 상처를 입힐 ... ...
- 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몽타주 시스템이 눈코입부터 선택하게 했다면, 3D 몽타주 시스템은 전체적인 윤곽을 잡은 다음 하나씩 얼굴을 채워나가는 방식인 것이다. 일반 사진에서 입체 얼굴을 만드는 ‘3D 변환 기술’도 개발했다. 지금까지 200여 명의 얼굴을 입체화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했다. 사진 속 얼굴을 3D로 만든 뒤 ... ...
- [수학뉴스] 뉴욕에서도 인정받은 허준이 박사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지난 11월 6일 뉴욕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2017 블라바트니크 젊은 과학자상’ 지역 부문 시상식에서 미국 프린스턴고등연구소의 허준이 박사가 물리학 및 공학 ... 정리인데, 허 박사는 대수기하학의 도구로 문제를 해결해 주목을 받았습니다. 허 박사가 다음에 받을 상은 무엇일까요 ... ...
- [인터뷰] 상산젊은수학자상 수상자➊ 오세진 교수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데 시간의 80%를 쓰고, 나머지는 코딩하고 디버깅하는 데 썼거든요. 깊게 생각하고 그 다음에 일을 하는 게 중요하죠. 우리나라에 구글 같은 회사가 못 나오는 이유도 그런 데 있다고 생각해요. 우리나라에서는(깊이 생각하기보다는) 응용만 배우기를 권하거든요. 뭔가 새로운 것을 얻기 위해서 ... ...
- 이 상자의 주인은 나야! 도트 앤 박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한 개도 없고 선분이 짝수 개 있으니 레드가 그릴 차례예요. 만약 여러분이 레드라면, 다음 두 가지 전략 중 어떤 전략을 택할 건가요? 선분을 하나씩 추가하면 상자 4개를 연달아 완성할 수 있으니 대부분 첫 번째 전략을 선택하고 싶을 겁니다. 그런데 상자 4개를 완성했어도 여전히 상자가 5개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집 라돈 프로젝트, 실내 공기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중을 떠돌다 숨을 쉴 때 폐로 들어가 폐암을 일으키지요. 라돈은 세계보건기구에서 흡연 다음으로 폐암을 일으키는 1급 발암물질로 정할 만큼 위험한 물질이에요. 그래서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집을 사고 팔 때 우리집 라돈 농도를 반드시 밝히도록 하고 있지요. 하지만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라돈의 ... ...
- Part 3. 꺼진 불도 다시 보는 진화 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강릉 산불도 잔불이 강풍에 날리면서 몇 시간 만에 되살아났다.헬기로 큰 불을 잡으면 그 다음엔 땅 속의 잔불을 꺼야 해요. 산불은 나무뿐만 아니라 땅 위의 낙엽, 그리고 땅 속의 흙까지 태워요. 그래서 언뜻 불이 꺼진 것 같아 보여도 낙엽이나 흙 속에 불씨가 남아 있게 되지요. 잔불을 제거하기 ... ...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발생한 원거리 지진의 세기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P파나 표면파의 최대 진폭을 측정한 다음, 각각에 적합한 규모식을 사용해 지진 규모를 결정해야 한다. P파나 표면파를 사용한 지진 규모를 각각 ‘실체파 규모(mb)’와 ‘표면파 규모(MS)’라고 부른다. 또 다른 문제도 있다. 리히터의 방법이 ... ...
- [Future] ‘부정맥 모음곡’으로 부정맥 조기 진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용해 이 데이터에 있는 심박을 추출한 뒤 박자에 따라 음표를 그렸습니다. 그런 다음 부정맥이 나타나는 부분의 리듬을 조금씩 바꿔 이어붙이면서, 이와 동일하거나 비슷한 리듬 패턴을 가진 음악으로 만들었습니다. How did you make music from heartbeat data?The idea is quite simple. With ...
이전184185186187188189190191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