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단
연극단
끝
끄트머리
궁극
극치
극한
d라이브러리
"
한쪽
"(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2) 연타율 높고 왼손 부담 크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남한의 표준자판에 못지않게 '엉터리'라고 그는 주장한다. 따라서 남과 북의 어느
한쪽
이나 또는 두가지의 절충형이 국제적인 한글표준자판으로 굳어지면 두고 두고 후회할 것이라고 그는 강조한다.현재 그는 지난 82년 두벌식으로 확정된 표준자판을 세벌식으로 고치기 위해 국무총리실에 ... ...
왼손잡이「로키」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시작한 사람은 19세기에 활동한 프랑스의 의사 파울 브로카였다. 그는 대뇌의 양반구중
한쪽
반구가 언어습득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발표했다. 뇌 손상을 입어 실어증(失語症)에 걸린 환자를 치료하다가 그런 사실을 알아낸 것이다. 브로카는 실어증 환자의 뇌를 부검해 보았는데 좌뇌의 ... ...
전자기학 확립한 패러데이와 맥스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정리했다. ①
한쪽
코일을 흐르는 전류가 변할 때, 다른 쪽 코일에 전류가 유도된다. ②
한쪽
코일에 정상적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한 후 두개의 코일을 상대적으로 운동시켜도 다른 코일에 전류가 유도된다. ③ 자석을 코일에 대하여 움직여도 코일에 전류가 유도된다. 빛은 전자파?전기분해 현상을 ... ...
뿔이 무기인 노루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다른 수컷을 만나게 되면 수컷끼리 처절한 싸움을 벌인다. 이 싸움에서는 어느
한쪽
이 참담한 패배를 맛보게 마련이다.이 무렵에는 암컷도 애절한 울음소리로 사랑을 부른다. 승자를 맞아 교미가 이뤄져도 수정란은 4개월 이상 발육을 하지 않은 채 자궁내에 머물러 있다가 한 겨울에 이르러서야 ... ...
지형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더구나 두 이론은 서로 정반대 방향으로 내달리고 있어 쟁점이 극명하고 그만큼 어느
한쪽
의 일방적인 「항복문서」를 받아내기 어려운 상황이다. 대체로 진화론자들은 동일과정설을, 창조론자는 격변설을 지지하고 있는데 특히 최근에는 지형윤회설 운석충돌설 등을 각기 다르게 해석함으로써 큰 ... ...
비유클리드기하학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원을 그릴 수 있다. 넷째 직각은 모두 같다. 다섯째 한 직선이 두 직선과 만나서 그
한쪽
의 두 내각의 합이 두 직각보다도 작을 때는 그 두 직선을 연장하면 내각의 합이 두 직각보다도 작은 쪽에서 만난다.이중에서 마지막 '평행선의 공준'은 너무 복잡해 마치 정리처럼 보인다. '그렇다면 제 5공준은 ... ...
뭘 먹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솔잎을 먹는 송충이와 배추잎을 먹는 배추벌레의 성격이 다르다. 하물며 만물의 영장인 인간의 경우는…우리는 상대방의 얼굴 생김새를 보고 그 사람의 성격 ... 17세기 이후부터 생겼다는 설이 있다. 그 이전에는 영주 집에서 큰 케이크를 만들어 소작인에게
한쪽
씩 나누어 주었을 뿐이다 ... ...
새로운 구조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탑 위에서 하늘의 별을 따기 위해 버둥대는데
한쪽
은 미국을 상징하는 탑이고 다른
한쪽
은 일본을 상징했다. 그리고 미국을 상징하는 탑의 높이는 일본보다 약간 높았다. 그런데 미국탑위에 있는 사람들은 제각기 별을 따기 위해서 서로 누르며 엎치락뒤치락하는 모습이었다. 이에 반해 ... ...
명왕성 Pluto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제임스 크리스티(James Christy)가 사진에 나타난 명왕성의 모습이 원형이 아니라
한쪽
이 불룩하게 튀어 나온 모습을 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그는 이전에 촬영된 명왕성의 사진들을 검토한 결과 같은 모습을 한 사진 일곱 장을 찾아냈다. 이 모든 사진에서 불룩한 방향은 항상 남북의 축 방향이었다. ... ...
한여름밤의 꿈, 은하산책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또한 중간배율을 사용하면 성운의 미묘한 그물망 구조를 보다 잘 볼 수 있다.베일 성운의
한쪽
끝 부분은 NGC6960이다. 백조자리 52번별인 4등성을 중심으로 남북으로 팽창해 있는 회색의 가늘고 긴 띠모양을 갖추고 있다. 이 별은 성운과 관계없이 전면에 위치해 있지만 성운의 모습변화를 측정하는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