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단
연극단
끝
끄트머리
궁극
극치
극한
d라이브러리
"
한쪽
"(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교사 목소리 담긴 정책이 아쉽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사회선택 따로, 남녀따로 그 복잡한 수업시간표를 짤 수 있어? 만약 학생들이
한쪽
으로 몰리면 어떻게 하구?" 학생들의 편의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는 이선생과 학교 입장을 고려해 달라는 교감선생의 토론이 한시간이 넘도록 계속되지만 좀처럼 서로의 거리가 좁혀질 것 같지 않다.이런 장면은 요즘 ... ...
레이저에서 광컴퓨터로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원자나 분자전하 구름은 일그러진 모습이 된다. 이것은 마치 스프링에 매달린 전자가
한쪽
으로 치우친 것과 유사하다. 편극돼 뒤틀린 전하 구름은 완전한 선형은 아니다. 2차 비선형 매질의 대표적인 것은 수정으로, 프랑켄은 1961년 미시간 대학에서 이를 사용해 파장이 3천4백71㎚(${10}^{-9}$m)인 2차 ... ...
암호 만드는 기계, 암호 푸는 기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설명하기란 무척 어렵다. 이 방식은 트랩도(trapdoor) 함수를 이용한다. 트랩도 함수란
한쪽
으로 계산하기는 쉽지만 역으로 계산하기는 힘든 함수를 말한다. 한때 헬만은 자신이 제안한 공개키 방식으로 구성된 배낭식 암호화(Knapsack Encryption)가 난공불락이라고 자랑했다. "누구라도 이것을 깬다면 ... ...
하와이제도는 사라질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landslide)의 잔재들이 발견되고 이로써 보다 정밀한 지도가 작성됐는데, 파편들 중에는
한쪽
면이 48㎞에 이르는 거대한 것도 있었다. 관찰자들은 이렇게 큰 덩어리가 육지로부터 떨어져 나갔을 때는 그 반작용으로 적어도 7백여m에 이르는 파도가 이웃한 섬인 라나이(Lanai)를 강타했을 것이라고 ... ...
생물체도 비약을 통해 진화된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이하로까지 내리면 결정격자, 즉 새롭고 딱딱한 물질의 상을 만들어 낸다. 공간의 어느
한쪽
을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액체의 특징인 이동대칭이 파괴된다.대칭의 파괴는 부수적으로 새로운 특성을 출현시킨다.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상호작용이 없을 때 자유로운 모든 방향으로 움직이고 무질서한 ... ...
12월21일 월식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방향으로 이동할 것인가를 예상해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카메라가 고정돼 있으므로 처음
한쪽
모서리에서 시작해도 어느 시간이 지나면 달은 반대쪽 모서리로 진행해 시야를 벗어나게 되는데, 이 기간 동안이 연속촬영 시간이 된다. 달은 1시간에 약 14.6°정도씩 이동하므로 촬영가능시각은 (표2)와 ... ...
전자센서보다 우수한 광학섬유센서 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골칫거리, 즉 전자파 장해(EMI)와 번개로부터 완전히 해방돼 있다. 게다가 건물의
한쪽
이 그늘졌을 때 다른 쪽이 받는 햇살의 효과까지도 알려줄 정도로 다재다능하다.광학섬유센서는 명칭 그대로 섬유에 전달된 힘의 크기를 재는 장치다. 이때 섬유는 빛의 변화를 감지해내는 역할을 한다 ... ...
세월따라 다양한 모습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돼있다.토성띠의 평면은 황도면과 28° 경사를 이루고 있어 보이는 각도와 시기에 따라
한쪽
면이 보였다가 수평으로 서고 그 후 점차로 반대쪽면이 보였다 한다. 수평으로 보이는 시기는 약 15년을 주기로 나타나는데 띠는 그 넓이에 비해 두께가 극히 얇아 마치 띠가 없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 ... ...
무사개미와 개미귀신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공동생활을 하는 관계를 공생이라 한다. 여기에는 서로 이익을 교환하는 상리공생과
한쪽
은 이익이지만 다른 쪽은 이익도 해도 없는 편리공생이 있다. 기생도 일종의 공생이라 할 수 있다.망둥이는 딱총새우가 만든 굴 속에서 항상 함께 생활한다. 딱총새우는 반드시 더듬이의 일부로 망둥이를 ... ...
「누이좋고 매부좋은」 공생 이야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인연을 맺지 않고 작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때로는 무엇인가를 계기로
한쪽
이 다른
한쪽
을 악착스럽게 따라다니는 관계로 발전하기도 한다. 이윽고 그 상대쪽도 응전하는 수단을 진화시키면서 상호의존의 관계가 성립된다. 이것이 공존관계 형성의 대체적인 시나리오다.사회적 공생의 ... ...
이전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