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환경
황태
말린 명태
명태
동태
북어
노가리
d라이브러리
"
생태
"(으)로 총 2,56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앞에 서면 작아지는 뿔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데이비드 콜트먼과 그의 동료들은 캐나다 앨버타주의 램산에 서식하는 큰뿔양의
생태
를 조사해 ‘네이처’ 지난해 12월 11일자에 발표했다. 이곳에서는 지난 1975년부터 1996년까지 57마리의 양들이 사냥꾼의 총에 희생돼왔다. 이 숫자는 전체 큰뿔양의 10% 수준이다.연구자들은 이 기간동안 숫양의 뿔 ... ...
갈림길에 선 낙동강 하구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주차장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세계적인 철새도래지 낙동강 둔치에서 진행될
생태
개발의 결과는 의문스럽다. 지난 태풍 루사와 매미에서 겪었듯 자연의 흐름을 거스린 무모한 둔치정비는 인간과 자연에게 뼈아픈 대가를 치른다. 자연파괴는 결국 인간파괴로 이어진다.낙동강 하구의 심장은 ... ...
2 동백 고향을 떠나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입어, 나무뿌리가 토양을 붙잡지 못했을 뿐 아니라 피해목 정리작업 등으로 인해 산림
생태
계가 불안정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이 기후변화에 의한 산림재해는 물불을 가리지 않으면서도 호우와 산불 간에 상승작용까지 일으키고 있다. 산림 전체를 볼 수 있는 지혜를 갖고 더 큰 규모에서 ... ...
1 제인구달 인간과 동물의 경계 허물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세 때부터 43년 동안 탄자니아의 곰비 국립공원에서 침팬지와 함께 지내며 그들의 행동과
생태
를 연구했다. 험난한 정글 속에서 야생동물과 살았다기에 거칠고 투박한 인상의 여류 과학자를 떠올렸다.하지만 지난 11월 8일 한국영장류연구소와 한국과학문화재단 초청으로 방한한 구달 박사를 서울 ... ...
쥐라기 공원에 운석이 떨어지지 않았다면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계통이 얼마나 오랫동안 유지돼왔는가로 정의되는 반면, 지배는 다른 계통들에 미치는
생태
·진화적인 영향력으로 정의됩니다. 이런 기준으로 보면 호모 사피엔스가 성공한 종이라고 보긴 아직 이르지만, 적어도 지배의 측면에서는 인간까지의 진화가 진보적인 형태를 띠고 있다고 해야할지 ... ...
엘니뇨, 화산재가 원인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페루한류 속에 갑자기 따듯한 바닷물이 침입해 유발되는 현상이다. 그 결과 해양
생태
계 교란은 물론 태평양 연안지역에서 가뭄, 냉해, 산불 등 광범위한 기상이변을 유발한다.연구자들은 지난 1백년간의 기상 데이터를 분석, 화산폭발과 엘니뇨의 발생이 관계가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 ...
자크루즈리의 해양건축 세계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경제적 효과를 면밀히 분석하고 그 결과에 대해 올바른 가치 평가를 내려야 한다.흔히
생태
계 보호 논리에 지나치게 경도된 나머지 해양을 미개척 영역으로 그대로 놔두려는 경향이 있다. 포획은 하되 남획하지 말고 이용을 하되 동시에 보존할 줄 아는 묘를 살린다면 바다는 지금보다 더욱 인간에게 ... ...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었다. 인간이 자신만 살겠다고 ‘몸’을 해친 결과가 바로
생태
계 파괴라는 것이다. 국내의 굵직한 환경운동에서 장 교수의 이름이 등장하기 시작한 것도 이 무렵이다. 그리고 최근 녹색대학에 몸담으며 평생 자신이 쌓아온 핵심을 전수하려 하고 있다.그는 1990년 과학의 ... ...
목숨 걸고 경고음 내는 땅다람쥐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표적이 되기 쉽습니다.그렇다면 어떻게 이런 이타적 행동이 진화했을까요? 코넬대의 행동
생태
학자 셔먼 교수는 이런 경고음이 ‘친척들’을 위험에 잘 대처하도록 돕기 위해서 진화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습니다. 이 다람쥐의 경우에 수컷은 성장한 후 다른 지역으로 이주해 비친족 집단을 ... ...
공생관계도 셈은 철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그런데 왜 실제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까.미국 데이비스 소재 캘리포니아대 진화
생태
학자 토비 키어스와 동료들이 그 해답을 찾아내 ‘네이처’9월 4일자에 발표했다. 연구자들은 식물뿌리가닥을 둘로 나눠 한쪽은 정상 공기, 나머지는 질소대신 아르곤이 들어있는 공기에 뒀다. 아르곤이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