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명"(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지적 수학시점] 카트라이더, 백터로 코너 잘 돌기수학동아 l2019년 07호
- 카트별 가속력과 드리프트 탈출력 등 카트라이더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알려주는 일명 ‘TMI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리그 탭에서는 각 경기에서 프로 선수의 순위와 주행 거리, 평균 속도, 부스터 사용 횟수도 알 수 있어 게임할 때 참고하면 큰 도움이 되죠. 참고로 TMI(투 머치 인포메이션)는 ... ...
- 노약자를 위한 로봇에 힘을 싣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이하 김) : 미는 사람을 위해 개발한 ‘에어카트 휠체어’예요. 저와 이호태 연구원 등 5명의 네이버랩스 인턴들이 6개월간 제작해 이번 HRI 국제컨퍼런스에 처음 공개하는 거죠. 이 휠체어는 옆에서도 밀 수 있어서 미는 사람과 타는 사람이 서로 대화를 할 수 있는 게 특징이랍니다. ●정 : 어떻게 ... ...
- 탐험┃태양계 탐험이야기··· 달 VS 화성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가장 높은 올림푸스산과 총 길이 4800km, 최대 깊이 7km에 이르는 마리네리스 협곡이 유명하다.지구의 달처럼 화성은 포보스 (Phobos)와 데이모스(Deimos)라는 두 위성을 갖고 있다. 두 위성의 표면에는 모두 크레이터가 있으며, 먼지와 암석으로 이뤄졌다. 포보스는 화성 표면에서 약6000km 떨어진 지점에서 ... ...
- [수학공부 꿀팁] 슈퍼히어로에게 배우는 수학수학동아 l2019년 07호
- 대사가 떴다. 분명 영화관에서 봤을 때랑 다른 대사였다. 얼마 뒤 정왕초 6학년 5반 학생 2명이 배역을 맡아 대사를 읽기 시작했다. 참여도 높이는 드라마 작가급 영상 끊기소피아는 비브라늄을 찾으러 온 나키아에게 갑자기 수학 문제를 냈다. 그 다음 화면에는 문화재를 개수 별로 세서 표로 ... ...
- 탐험┃미국, 더 멀리, 더 많은 것을 보내기 위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성공했다. 현재 화성 표면에는 적도 남쪽 게일 분화구에서 큐리오시티가 돌아다니며 생명체의 지표 물질로 알려진 메탄의 존재를 확인하는 등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또 적도 인근 엘리시움 평원에는 2018년 착륙한 인사이트가 조사를 벌이고 있다. 화성 궤도에는 현재 탐사선 6기가 활동하고 ... ...
- 영감┃스크린에 투영된 우주과학동아 l2019년 07호
- ‘포스가 그대와 함께하길(May the force be with you)’ ‘내가 네 아버지다(I am your father)’ 등 명대사가 두고두고 회자되는 스타워즈는 ‘별들의 전쟁’이라는 제목에 걸맞게 다양한 외계인이 등장한다. 극중에서 가장 중요한 외계인은 단연 요다다. 작고 괴상한 외모와 달리 제다이 마스터로 공화국 ... ...
- [동아리탐방] 수학에 눈뜨자! 경희여고 MathEye수학동아 l2019년 07호
- 학습용 소프트웨어다. 경희여고 홍창섭 교사는 알지오매스 개발에 참여한 전문가 중 한 명이다. 애초 홍 교사는 이날 발표자로 초대를 받았지만, 홍 교사는 발표자로 나서는 대신 직접 지도하는 동아리 학생들의 산출물을 발표하겠다고 제안했다. 학생들이 실제로 알지오매스를 이용해 어떤 걸 할 수 ... ...
- [핫이슈] 유산균 프로젝트, 똥일기 쓰는 친구들 보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영향으로 많이 죽기 때문에 더욱이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해 주셨답니다. 요거트를 만들어 보자!강연이 끝나고, 직접 요거트를 만들어 보는 시간도 가졌어요. 요거트는 우유나 탈지우유에 유산균을 넣어 발효시킨 식품이에요. 여러분이 흔히 사먹을 수 있는 요거트도 모두 ... ...
- [프리미엄] ‘엑스맨’ 다크 피닉스처럼 뇌를 조종하려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핵심이 되는 최소지배집합을 찾고, 그 기능을 온전히 밝히는 게 가능할까.조 교수팀이 100명의 확산텐서영상 자료에서 1억 개의 신경세포를 특정한 뒤, 이들을 온전히 작동시키는 최소지배집합을 찾기까지 소요된 시간은 약 1년 4개월이다. 60개의 중앙처리장치(CPU)와 128GB(기가바이트)의 메모리를 ... ...
- [수학 THE LOVE] 수학과 물리는 한 몸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선배인 정세진 씨(생명과학과 석박사통합과정)가 “엔트로피에 대한 식을 풀 때, 증명 과정에 비약이 있는 것 아니냐”고 질문하자 방세훈 씨(환경공학과 2학년)가 “조건을 만족하면 결과가 로그로 나오면서 식이 성립된다”고 받아쳤다. 그 순간만큼은 EOE 세미나는 작은 동아리 세미나가 아니라 ... ...
이전1831841851861871881891901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