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말한다! 수학으로 통하는 미래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전자공학과 졸업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전기공학 박사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제2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사진 촬영을 제외한 모든 인터뷰 과정은 마스크를 착용한 가운데 방 역 수칙을 준수하며 진행했습니다. 조금씩 봄기운이 찾아오던 3월 초, 최 장관님을 만나기 위해 서울 ... ...
- [하비맨] 물멍, 나도 해볼까? 마리모 보면서~!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오래 있으면 말라 죽기 때문이죠. 토가시 타츠야 일본 지바대학교 바다생물계연구소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마리모가 구 모양으로 뭉쳐있는 이유를 기하학적으로 분석해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2014년 1월 20일자에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마리모가 구 모양으로 쌓여있을 때와 ... ...
- [몬스터를 잡아라!] 비교의 달인, 비와 비율 몬스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크기를 비교할 때 등장하는 비와 비율 몬스터가 몬스터 숲에 숨어있어요.저기 비 몬스터가 자신과 똑같이 생긴 초콜릿 조각을 손에 들고 자랑하고 있네요. 비율 몬스터는 입을 크게 벌리며 뾰족한 이를 드러내고 있어요. 게임을 즐기면 숲에 있는 비와 비율 몬스터를 잡을 수 있어요. 몬스터를 게 ... ...
- [지사탐 인터뷰] 외래종 거북, 친환경적으로 잡는다! 구교성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11일, 기자는 지구사랑탐험대의 대장으로 계시는 이화여자대학교 에코생명과학부 장이권 교수님의 인지생태연구실을 찾아갔어요. 이곳에 계신 구교성 연구원과 연구팀이 친환경적으로 외래종 거북을 잡을 수 있는 기발한 장비를 만들었다는 소문을 들었거든요. 과연 어떻게 생긴 장비일까요? 미션, ... ...
- [기획] 2021 소미더뭐니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농업연구관), 존 오틀리(미국 워싱턴주립대학교 교수), 먀오 더창(미국 워싱턴주립대학교 연구원), 금준호(씨위드 대표), 김수지(씨위드 연구원), 김기우(다나그린 대표), 박종봉(다나그린 책임연구원 ... ...
- [질문하면 답해줌!] 배가 고프면 왜 꼬르륵 소리가 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되는 거죠. 그렇다면 입 벌린 조개, 곧바로 먹어도 될까요? 국제한식조리학교 정혜정 교수님은 “조개가 입을 벌리면 익었다고 볼 수 있지만, 바이러스들이 완전히 없어지도록 조금만 더 두었다가 먹는 게 좋다”고 말했어요. 이어 “신선한 조개를 고를 땐 촉수를 움직이고, 건드렸을 때 입을 닫는 ... ...
- [특집] 딥러닝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고려대학교 수학과에서 딥러닝을 어떻게 더 잘 학습시킬 수 있을지 연구하는 이동헌 교수입니다. 수학에서 함수를 처음 접하면, 흔히 입력을 받은 다음 이런저런 과정을 거쳐서 출력을 만들어내는 것이라고 배워요. 사실 컴퓨터 프로그램들도 ‘함수’라는 것을 이미 수학자들이 증명했습니다. ... ...
-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을 영화처럼 만드는 무채색의 마법수학동아 l2021년 03호
- 1월호에서 생동감 넘치는 보색 대비로 제작된 게임을 알아봤어요. 이번에는 ‘흰색, 회색, 검은색’의 무채색을 이용해 흑백영화 느낌이 물씬 나는 게임을 알아봅시다. 색은 크게 유채색과 무채색으로 나뉩니다. 빨간색, 노란색 등 색상이 있는 색을 유채색이라 하고, 흰색이나 회색, 검은색처럼 ... ...
- 코로나19 등교 찬반 논쟁보다 '안전한 등교' 논의해야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여러 번 목격했습니다. 학원, 어린이집 등을 통한 감염입니다. 최원석 고려대 감염내과 교수는 “소아·청소년이 상대적으로 (코로나19에) 걸리지 않는 것은 맞지만, 아예 코로나19에 감염되지 않는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고 말했습니다.청소년은 백신 접종 시기도 늦을 가능성이 높아 집단면역 ... ...
- 현실로 다가온 위기, 변화로 맞서는 대학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감염증(코로나19)으로 새로운 가능성을 얻기도 했습니다. 허준 연세대 건설환경공학과 교수는 저서 ‘대학의 과거와 미래’에서 “2013년과 2014년 국내외 주요대학들이 MOOC에 대한 환상과 두려움을 동시에 느꼈다”며 “한 학자는 MOOC로 인해 대학의 25% 정도는 문을 닫을 거라 예측했다”고 ... ...
이전1831841851861871881891901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