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페이지 뉴스] 살기 위해 몸통 잘라 버리는 갯민숭붙이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특이한 생물이 발견됐다.미토 사야카 일본 나라여자대 생명과학부 연구원과 유사 요이치
교수
팀은 바다에 서식하는 두 종의 갯민숭붙이(Elysia cf. marginata, Elysia atroviridis)가 머리와 몸통을 절단한 뒤 머리에서 몸통을 재생하는 현상을 관찰해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3월 8일자에 발표했다. ... ...
변이 vs. 백신 재설계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횟수를 2회에서 3회로 늘리는 부스터 접종 임상시험도 함께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송
교수
는 “현시점에서는 기존 백신을 활용해 변이 바이러스와 대적할 방안을 찾고, 장기적으로는 재설계를 통해 기존 백신과 혼합하는 다가 백신을 사용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융복합파트너@DGIST] 미지의 물질 특성 양자 상태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플랑크상수를 보다 정확하게 계산해냈고, 이를 바탕으로 무게의 기준을 만들었다.김
교수
는 “양자 상태 연구로 물질의 근본을 이해하는 것은 고체물리학자들의 영원한 관심사”라며 “새로운 양자 상태를 발견해 과학지식의 저변을 확대하고 싶다”고 말했다 ... ...
[이달의 책] 당신이 선한 것은 본능이다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어떤 행성에 살고 있을까? 이 질문을 고안한 톰 포스트메스 네덜란드 흐로닝언대
교수
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행성B에 살고 있을 것이라 생각했지만, 곧 자신이 틀렸다는 사실을 깨달았다.이는 다양한 재난상황에서 공통적으로 증명됐다. 2005년 미국 뉴올리언스에 허리케인이 강타해 도시의 80%가 물에 ... ...
[수학뉴스] 수학과 물리학을 이어주는 다리 이자도어 싱어 별세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등에서 수학과
교수
로서 학생들을 가르쳤습니다. 특히 1963년 싱어는 MIT 수학과
교수
로 재직할 당시 동료 수학자 마이클 아티야와 같이 ‘아티야-싱어 지표 정리’를 증명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아티야-싱어 지표 정리는 다양체의 특성을 위상수학으로 계산할 수 있다는 정리입니다. 이는 ... ...
[기획] 개미는 뚠뚠 오늘도 보물을 찾네~!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두둥! 평화로운 개미 나라에 사는 일개미 세 자매가 보물을 발견했습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보물은 아니고 맛있는 사탕이 있는 곳을 알려주는 ... 개미를 연구할 수 있어요!” ★ 도움전중환(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 최지범(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 ... ...
[진실 혹은 거짓] 우리가 수학만 좋아한다고? 수학자는 평화를 사랑해♥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4호
끝까지 평화를 지지하지. 1916년 영국의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버트런드 러셀은
교수
로 일하던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갑자기 해고당했어. 그가 제1차 세계대전에 반대했기 때문이야. 하지만 러셀은 평화를 향한 자신의 신념을 굽히지 않았어. 1955년에는 절친한 친구인 알버트 아인슈타인과 함께 ... ...
[지사탐 인터뷰] “개화시기 탐사로 식물 다양성을 지켜요!” 소지현 연구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수업이라 교실 밖으로 나가 나무들을 관찰하고, 이름을 찾아보고, 특징을 발견해
교수
님과 같이 이야기 나눴어요. 억지로 외우지 않아도 저절로 기억하게 됐지요. 덕분에 식물과 사랑에 빠지게 됐답니다!” 개화 시기 탐사로 알아낸 것은?소지현 연구원은 지구사랑탐사대에서 식물 개화 탐사를 ... ...
[만화뉴스] 식물 세포 길러 가구를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지난 1월 20일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루이스 페르난도 벨라스케스 가르시아
교수
팀이 식물에서 추출한 세포를 나무처럼 단단한 세포로 배양했거든요.나무가 단단한 이유는 세포벽에 있는 화합물 ‘리그닌’ 덕이에요. 연구팀은 백일홍 잎에서 채취한 세포를 배양액에 넣어 증식시켰어요. ... ...
[가상인터뷰] 고양이가 캣닙을 사랑하는 이유는 모기 때문?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잎에 취한 듯 행복한 표정을 짓는단다.지난 1월 20일 일본 이와테대학교 미야자키 미사오
교수
팀은 고양이가 개다래나무를 좋아하는 이유를 알아내기 위해 개다래나무에서 추출한 물질을 여과지에 묻힌 뒤 고양이의 반응을 관찰했어. 그 결과, 고양이 18마리 중 15마리가 여과지에 얼굴을 비비고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