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간"(으)로 총 9,156건 검색되었습니다.
- [필즈상] 자국에서 필즈상 수상의 영예 안을까? 페르난도 코다 마르케스수학동아 l2018년 06호
- 경우에만 최솟값이 2π2이라는 걸 알았다”면서, “스테레오 투영법이라는 아이디어로 공간을 바꿔 미분기하학의 난제를 푼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마르케스 교수 하면 ‘의리’를 빼놓을 수 없습니다. 지도교수가 암에 걸려 박사학위를 받기 전에 세상을 떠날지도 모르는 시한부 선고를 ... ...
- [포커스 뉴스] ‘꽃의 여왕’ 장미,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정보도 담겨 있다. 최 교수는 “이번 유전자 지도는 색과 향이 짙고, 꽃이 크며, 오랜 기간 피어 있을 뿐만 아니라 병충해에도 강한 ‘완벽한 장미’를 만드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 내가 제일 잘 나가, ‘과일의 제왕’ 딸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뒤 잎에서 샘플을 채취한다. 여기서 복잡한 DNA추출 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샘플을 10분간 배양한 뒤 자체적으로 개발한 형질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해 유형을 분류한다. 지금까지 복숭아 향 유전자(FaFAD1), 딸기 세균반점병 저항 유전자(FaRXf1), 딸기 시듦병 저항 유전자(FaRPc2), 딸기 뿌리썩음병 저항 ... ...
- [Issue] 과학으로 카운트다운, 6·13 지방선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워트워드는 선거에서 승리한 후보(최종 득표수 p)가 패배한 후보(최종 득표수 q)를 개표 기간 내내 앞설 확률이 (p-q)/(p+q)라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p가 1만(10000), q가 5000으로 득표수가 압도적인 차이가 났더라도 개표방송을 하는 동안 이기고 있을 확률은 0.33 즉 33%밖에 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또 ... ...
- [프리미엄 리포트 Part 2] 나라의 동맥과 정맥 교통 인프라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깊은 동해나 중국과 겹쳐 있는 서해를 통해 연결하는 것보다 육상에 건설하는 것이 훨씬 간단하다”고 말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팀은 ‘극한지 자원이송망-기반구조물 설계 및 평가기술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SOC실증연구센터에 실험실을 짓고 있다. 지름이 30인치(76.2cm)인 거대한 ... ...
- [인터뷰] 연세대 입학처장 엄태호 “다양한 인재에게 고른 기회 준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선발한다. 그리고 논술전형과 정시전형의 전형 요소를 각각 논술 100%와 수능 100%로 간소화한다. 2020학년도 입학전형에서는 큰 변화가 있을 전망이다. 수험생의 부담을 덜기 위해 수시모집의 모든 전형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폐지한다. 또 수시모집의 전형별 지원자격을 확대한다. 학생부종합전형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과학동아리 100% 활용하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그래서 선배와 후배가 한 팀이 된 모둠으로 과학실에서 탐구활동을 하며, 최소 연간 2회 이상 모둠을 바꿔 서로 소통하고 협업하도록 돕고 있습니다.이는 사물인터넷의 상용화와 인공지능 등이 이끄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지식을 많이 아는 인재보다는 비판적 사고력에 기초한 창의적 사고능력과 ... ...
- [Tech] 모델명 ASUS ROG GLADIUS Ⅱ 마우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때 ‘폴링 레이트(Polling Rate)’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폴링 레이트는 컴퓨터와 마우스 간 데이터를 주고받는 속도를 의미합니다. 고급형 마우스는 보통 1000~2000Hz의 폴링 레이트를 지원합니다. 내 손에 꼭 맞춘 마우스게임 좀 한다고 하는 사람들에게는 커스터마이징 기능이 중요합니다. 전용 ... ...
- [Issue] 라이징 스타에서 스테디셀러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정홍식_hongsikjeong@tsinghua.edu.cn연세대 물리학과 박사학위를 받고, 삼성전자에서 21년간 메모리반도체 분야 연구 개발에 참여했다. 상무로 퇴직한 뒤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연구를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이 실험은 쥐 A의 간 재생을 돕는 물질이 혈류를 통해 쥐 B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쥐 B의 간도 함께 커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부는 유전자에 적혀 있는 공식에 따라, 일부는 주변 환경에 따라, 장기들이 그 크기를 조절하는 방식은 기능과 모양만큼이나 제각각입니다. 2. 피부세포가 ... ...
이전1831841851861871881891901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