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고등학교
중고
d라이브러리
"
등학교
"(으)로 총 3,70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데이터 과학, '소셜'을 분석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수학자이자 사회네트워크 분석가인 발디스 크렙스는 테러 역사에서 가장 유명한 인물 중 하나다. 테러를 저질러서가 아니라 테러범을 분석했기 때문이다. 현재 악명 높은 테러범이나 테러 혐의자 중 그보다 유명한 사람은 오사마 빈 라덴 정도다. 크랩스는 1985년 캘리포니아에 있는 자신의 마을 ... ...
서류와 캠프 두 마리 토끼잡기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올해부터 과학고 교과과정이 달라진다. 영재고와 마찬가지로 선택적 수강과 대학과정의 선이수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변화는 많은 과학 영재들에게 희소식이 될 전망이다. 과학고 입시전략에도 더 철저한 준비가 필요해졌다. 지난해 새롭게 실시된 자기주도학습전형과 과학창의성전형의 평가요소 ... ...
수학 논문으로 꿈을 이룬다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더 가까웠다. 간단한 기본문제를 제외하고 모든 문제를 서술형으로 풀어 썼다. 이것은 초
등학교
1학년 때부터 자연스레 몸에 익은 습관이라고 했다.대부분 학생들은 문제를 풀 때 ‘귀찮다’ 는 이유로 중간 풀이를 생략하고 답만 적는다. 하지만 성계 군은 달랐다. 자신의 논리로 문제가 풀리는 그 ... ...
Part 2. 5년간 성장한 왓슨 vs 제퍼디 퀴즈 영웅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2월 14일 왓슨이 경쟁할 상대는 제퍼디 역사상 최고의 성적을 거둔 켄 제닝스와 브래드 러터다. 둘 다 역대 최고의 퀴즈 영웅이다. 켄 제닝스는 제퍼디 최다 연속 우승 기록을, 브래드 러터는 최고 누적 상금기록을 가지고 있다. 제닝스는 2004~2005 시즌에 74경기를 연속 우승하면서 250만 달러(약 28억 원 ... ...
포항제철지곡초
등학교
MIE 수업 탐방 스케치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학생들과 함께했지요.사실 기사를 통해 학습할 수 있는 ‘대칭’에 대한 개념은 초
등학교
5학년 과정에 나옵니다. 그래서 기자들은 4학년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게 심혈을 기울여 준비를 했죠. 하지만 1학년 때부터 꾸준히 창의 수학을 공부한 학생들이라 그런지 도형에 대한 이해가 정말 빨랐어요. ... ...
수학의 즐거움 이동통신 이끌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경험을 마음껏 누린 것도 이 교수가 좋은 성과를 내는 데 큰 도움이 됐다.“한국에서 고
등학교
를 다니던 시절에는 실험을 많이 하지 못해 아쉬웠지만 캐나다에 가서 책으로만 보던 이론을 직접 실험해보며 수학에 더 큰 매력을 느꼈습니다. 대학을 졸업한 뒤 컴퓨터를 비롯한 통신 장비를 다룬 ... ...
‘베프’와 나는 유전자까지 닮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친한 친구끼리는 식성이나 옷차림, 성격 등 많은 부분이 닮은 이유는 뭘까.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유전적인 끌림’에 의해 친한 친구가 됐을 가능성이 크다.제임스 포울러 미국 캘리포니아대 교수팀은 대규모 의료 센터에 등록된 사람과 그들의 친구를 중심으로 총 5000명의 유전자 지도를 분석 ... ...
환경과 에너지에 관심 있다면?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무척 중요하다.“환경을 지키겠다는 꿈을 갖고 있다면 평소 어떤 활동을 해왔니?”“고
등학교
1학년 때 학교에서 환경지킴이로 뽑혀서 활동했어요. 반에서 2명씩 에너지 절약과 같은 체험활동을 했어요.”“지금도 계속해서 하고 있니?”“아뇨. 2학년에 올라와서 잘 못하고 있어요.”“네 꿈과 ... ...
“좋아하는 과목 공략이 금메달 비결”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입시에 유리할 뿐더러 학교생활을 따라가기가 쉬워요. 지금 열심히 노력해 놓으면 고
등학교
에 들어와서 좀더 먼 미래를 준비할 수 있으니까 조금만 더 힘내시길 바랍니다 ... ...
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 본 기사는 2월 15일 이후부터 과학동아 홈페이지(www.dongaScience.com/DS)에서 동영상 강의로 보실 수 있습니다. 미생물은 도처에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의 동반자로 보기에는 그 양이 너무 많다. 양으로 따지면 우리가 미생물의 세계에 기생하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이러한 미생물은 대부분 ... ...
이전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