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자
조사자
연구원
뉴스
"
연구자
"(으)로 총 5,942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N수학]스파게티 면이 잘 익었는지 확인하는 과학적 방법
수학동아
l
2022.07.16
스파게티면이 잘 익었는지 어떻게 확인해야할까요. 최근 미국에서 기계공학을 연구하는
연구자
들이 국수 가닥끼리 얼마나 잘 붙어있는지만 확인하면 된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샘 터픽 미국 일리노이대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지난 3월 미국 물리학회에서 스파게티 면이 잘 익었는지 ... ...
민간전문가 초격차 전략기술 설계도 그린다...예타대상 완화해 R&D 속도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15
인재양성 사업 간 연계 사다리 구축방안을 올 하반기 안에 마련하고, 2023년부터는 우수
연구자
에게 최대 10년간 안정적 지원을 하는 사업도 진행한다. 우수 박사후연구원들에게는 국외 선진기관 연수를 내년부터 매년 50명에게 지원한다. 이 밖에 과기정통부는 국가 디지털 혁신 전면화도 중점 추진 ... ...
허준이 교수 이어 필즈상에 도전하는 젊은 수학자들 누가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7.15
스위스 로잔 연방공과대 교수의 연구 분야는 정수론이다. 반면 허 교수는 조합론 분야
연구자
중 첫 수상자다. 하승열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는 “최근 20년간 필즈상 수상자를 보면 정수론과 수리물리학 분야에서 수상자가 계속해서 등장하고 있다”며 “반대로 조합론 분야에선 전무했는데 올해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사회가 이호왕 연구그룹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
2022.07.14
현실이었지만, 세계최고 수준의 연구개발비를 투자하는 국가가 되었는데도 세계적
연구자
들과의 열린 연구네트워크 구축에서 크게 뒤떨어지는 현재 한국의 과학자 사회를 돌아보면, 이호왕이 얼마나 선구자적인 면모를 갖춘 과학자였는지 다시 한번 깨닫게 된다. 이 교수는 한국에서 보기 드문 ... ...
필즈상 허준이 교수 "한국서 수포자 생기는 이유, 완벽하게 잘해야 하는 사회문화적 배경 탓"
동아사이언스
l
2022.07.13
같이 말했다. 허 교수는 앞서 이달 5일 40세 이하 수학자 가운데 뛰어난 연구 업적을 가진
연구자
에게 수여하는 필즈상을 한국계 최초로 수상했다. 허 교수는 한국 학생들이 외국에 유학을 나와 어려움을 겪는 사례들을 숱하게 봤다고 설명했다. 허 교수는 “미국 스탠퍼드대나 프린스턴대라는 최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소음의 두 얼굴
2022.07.12
1960년 이미 이런 관찰을 담은 논문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실린 적이 있다. 당시
연구자
들은 치과 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헤드폰을 낀 채 원할 때 음량을 조절하며 음악 또는 백색소음을 들을 수 있게 했다. 그 결과 65%가 치료 중 통증을 덜 느꼈다고 답했다. 놀라운 사실은 음악보다 ... ...
홍석봉 포스텍 교수, 나노다공성 분야 최고상 '브렉상' 아시아 첫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2.07.11
발전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포스텍에 따르면 이 상을 단독으로 수상한 아시아
연구자
는 홍 교수가 처음이다. 단독 수상자가 나온 것도 유력한 노벨 화학상 후보로 꼽히는 아벨리노 코르마 스페인 발렌시아대 교수가 2004년 받은 이후 이후 18년 만이다. 홍 교수는 이번 학술대회에서 ... ...
[표지로 읽는 과학] 곰팡이 네트워크의 베일을 벗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10
곰팡이 네트워크를 지도화하고 곰팡이 보존을 위해 설립된 과학 기반 이니셔티브로
연구자
와 지역 사회간 협력도 추진한다. 활동을 위한 자금 350만달러(약45억5000만원)도 모금에 성공했다. 균류재단과 SPUN은 지난 4월 함께 협동 현장 답사에 나섰다. 칠레 남부 비야리카국립공원의 화산들에 올라 ... ...
누리호 네번째 사출 큐브위성 통신두절…"40일 만에 교신한 사례 있어 계속 시도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7.08
날 오후 4시 46분 통신을 시도했으나 이 역시 실패했다. 위성신호 정보를 공유해 전 세계
연구자
들이 협력해 지상국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신호 수신을 확인해주는 ‘새트노그스(SatNOGS)’ 홈페이지에 공유된 결과 역시 동일하다. 미먼과의 통신에 성공한 지상국은 없다. 큐브위성은 적은 예산으로 ... ...
“올해는 한국 수학의 해”
2022.07.08
수학계 전문가들은 가장 시급한 문제로 국내 수학 연구 생태계 재편을 언급했다. 수학
연구자
들이 수학을 연구할 수 있는 안정적 자리가 사라지고 있다는 것이다. 가령 국내 사립대들은 취업률을 이유로 수학과를 없애고 있다. 동아일보DB 하승열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는 “정부출연연구소의 ... ...
이전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