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뉴스
"
에너지
"(으)로 총 7,143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세플라스틱이 리튬이온전지 음극 소재로 탈바꿈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03
에너지
문제는 인류가 당면한 중요한 이슈”라며 “이번 연구성과가 환경 문제와
에너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
[과학게시판] 2023년도 제1차 출연연 공동채용 실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03
양국은 ITER 운영 단계별 특성에 맞는 TBM 설계·제작 및 시험을 통해 핵융합 연료 증식·열
에너지
추출 등 핵심기능을 평가하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ITER 핵융합 환경에서 증식블랑켓의 기능 및 종합적인 효과에 대한 실증을 추진할 계획이다. 향후 핵융합 실증로의 증식블랑켓 적용 및 확장 가능성을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면역세포로 암세포만 공략하는 CAR-T 핵심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03
결정구조와 안정화된 구조의
에너지
를 계산해냈다. 이 ZIF구조의 다공성에 주목해 미래
에너지
자원으로 주목받는 고성능 수소 저장체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지난달 9일 국제학술지 '스몰'에 게재됐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김현우 생명과학과 대학원생이 2023년 ... ...
드론 시스템 배터리 소모량 71.5% 줄이는 기술, 학부생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3.02
연구팀은 CPU, 메모리, 네트워크 장치를 아우르는 전체 시스템 경로에서 실행시간 및
에너지
효과의 상관관계를 정교하게 측정해 새로운 기술로 네트워크 환경 및 컴퓨팅 자원의 상황 변화에 맞게 배터리 소모량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성공했다. 교신저자인 반효경 교수는 “학부생의 ... ...
차세대 수처리 기술 개발 이상호 국민대 교수 3월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3.03.01
시상이다. 차세대 담수화 기술로 꼽히는 막증발 공정은 기존 해수담수화 기술의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태양열이나 산업체 폐열 등을 이용해 담수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해수 담수화 뿐 아니라 산업 폐수 처리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막모듈 공정 설계 기술 부족으로 아직 상용화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방사선에도 문제없는 초저
에너지
메모리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01
특성을 가지면서도 일반적인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보다 3만배 이상 프로그래밍
에너지
가 낮은 나노 전자 기계식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개발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게재했다고 28일 밝혔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김민석 뉴바이올로지학과 교수 ... ...
자신 몸무게 300배 오줌 뿜는 곤충..."
에너지
소비 전략 수립에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3.03.01
곤충 ‘샤프슈터(Sharpshooter)’.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제공 곤충 ‘샤프슈터(Sharpshooter)’는 하루에 자기 몸무게의 300배가 넘는 양의 소변 ...
에너지
로 생존하는데 특화된 동물”이라며 “이 곤충에서 얻은 영감은 로봇 구동에 드는
에너지
효율화를 이루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내구성 3배 올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8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팀이 리튬메탈 전지의 내구성을 3배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리튬메탈 전지는 현재 전기차 배터리로 쓰이는 리튬이온 전지 ... 앞당길 수 있는 중요한 성과”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즈’ 1월호에 게재됐다. ... ...
뇌 신경 모방한 다진법 구현 반도체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2.28
통해 유의미한 자극이 있을 때만 인근 뉴런에 신호를 전달하고 다른 신호는 무시해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한다. 뉴로모픽 컴퓨팅은 이 과정을 모방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정보를 효율적이면서도 저전력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연구팀은 시냅스 역할을 할 수 있는 소재로 이산화바나듐을 ... ...
미세먼지 유발 물질 95% 잡는 '전자선 기술' 상용화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3.02.28
변환하는 기술을 활용했다. 전자 가속기를 이용하면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된 높은
에너지
의 전자들이 물질의 분자 구조를 직접 파괴하거나 다른 물질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번에 이전하는 기술은 전자선으로 미세먼지 원인물질인 가스 형태의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을 염 형태의 에어로졸 ... ...
이전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