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Ⅱ 붉은악마 열광시킨 대형 전광판 LED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입히기도 했다. 새로운 첨단 반도체 재료가 개발되자 초기 LED의 낮은 휘도와 색깔의
한계
는 극복됐다. 이렇게 등장한 종류가 바로 고휘도 LED다. 고휘도 LED는 순수한 적색, 녹색, 청색의 밝은 빛을 발하게 됐고, 조명용이나 디스플레이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됐다. 서울 상암동 월드컵경기장 LED ... ...
PART3 암세포 공격하는 나노 미사일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염색은 일종의 꼬리표 역할을 하는 셈이다.문제는 이 염색과정이 DNA칩의 집적도에
한계
를 가져다 준다는 점이다. 반응시킨 결과가 붉거나 푸른색의 점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 점들을 우선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 점의 크기가 사용하는 염색이 나타내는 빛의 파장보다 작아지면 점들을 ... ...
하드디스크는 오늘 무엇을 기억하는가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기억하는 일을 운전자 대신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해주는 것이다. 기억은 이처럼 그
한계
점을 네트워크 너머로 밀어낸다. 무한 팽창하는 하드디스크와 이를 다스릴 신경세포인 컴퓨팅 파워의 창궐은 더욱 많은 분야에 기억의 복음을 파급한다. 어느새 뇌세포처럼 퍼져 얽히고 얽혀 21세기사회 ... ...
PART2 여름 피부 지켜주는 나노 화장품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구성하는 요소들의 크기 때문에 2차원 상에서 많은 수의 반도체를 배열하는 것은
한계
가 있다. 그 다음으로 생각할 수 있는 방법은 한층에 반도체를 최대의 밀도(집적도)로 배열한 다음 그 위에 새로운 층을 형성시키고 다시 반도체를 배열하는 것이다. 단층집에서 아파트를 짓게 된 셈이다.이때의 ... ...
디지털캠코더와 함께 나도 이제 영화감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비디오를 몇번 복사하면 화질이 떨어지는 점을 쉽게 느낄 수 있다. 아날로그 방식의
한계
다. 반면 CD나 DVD 같은 디지털방식에서는 이런 문제가 없다. 데이터를 기록하는 과정을 디지털로 처리하면 열화현상을 걱정할 필요가 없으며, 아날로그 데이터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이른바 ... ...
1. 스스로 진화하는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대한 완전한 정보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기존의 프로그래밍으로 로봇을 제어하는데는
한계
가 있다. 진화 알고리즘을 사용한 인공신경망은 실제 미 항공우주국(NASA)의 행성탐험용 로봇이나 하수도 청소 로봇의 제어기를 만드는데 이용되고 있다.또한 최근 각광받고 있는 애완 로봇이나 인간형 로봇 ... ...
한일월드컵에 등장하는 특수 운동복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있다. 잉글랜드 축구협회 의학 및 운동 과학국 리처드 호킨스 부국장은 “냉동 운동복이
한계
체온인 39.5℃ 이하로 체온을 유지시켜 탈수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우주비행사들은 우주공간의 엄청난 열에도 견딜 수 있도록 냉동 시스템이 장착된 우주복을 입게 된다. 잉글랜드 대표팀이 ... ...
1. 전산유체역학이 추정한 가상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유체(단상유체)에 비해 그 흐름을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고 그렇기 때문에 계산의
한계
도 존재한다.반면 자유표면유체는 이상유체 중 한가지 유체가 공기인 것, 예를 들어 음료수나 술을 잔에 따를 때의 경우에 해당한다. 즉 유체가 공기와 접하는 면을 형성하면 이를 자유표면유체라 한다. ... ...
1. 비타민A 대량 함유한 황금쌀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대량 확보하는 일이 관건이다. 이 일은 GM 작물 개발의 첫번째 접근이다. 이 과정은 종의
한계
를 뛰어넘는다. 식물뿐 아니라 동물이나 미생물에서 식물체에 유용한 유전자를 발굴하는 것이다. 두번째 단계는 유용유전자를 작물에 대량으로 이식시키는 일이다. 마지막으로 전통 육종 방법을 이용해 ... ...
2. 금강산댐 안전성 7대 의문점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의문들정부는 위성사진 등 한정된 정보를 통해 댐의 안전성 여부를 정확히 판단하는데
한계
가 있어 반드시 붕괴로 이어진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대책을 마련했다.건설교통부에 따르면 현재 금강산댐은 75m 높이까지 물이 차 저수량은 6억-7억t으로 ... ...
이전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