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도체 나노소재기술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반도체가 착실하게 따라온‘무어의 법칙’이 계속 적용될까.하지만 깎아내기 방식에는
한계
가 있다. 현실적으로 35nm 이하로는 발전하기 어렵다. 반도체 소자의 크기가 20-30nm 정도가 되면 양자현상이 지배적으로 나타나 기존의 회로 설계법칙이 적용될 수 없기 때문이다. 또 제작비용도 엄청나게 ... ...
섹시한 냄새의 비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완전한 로터리형은 아니다 왕복운동은 정지와 운동을 반복하기 때문에 그 운동속도에는
한계
가 있다 이에 반해 회전운동은 정지하는 일이 없으므로 아주 빠르게 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왕복운동을 하는 내연기관이 회전운동을 하는 로터리 엔진으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관측자의 위치에서 천체의 ... ...
① 아인슈타인도 몰랐던 블랙홀의 진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순간이었다. 사건 지평선은 블랙홀과 바깥세계의 경계로 빛조차 빠져나오지 못하는
한계
다. 이후 관측기술이 발달하면서 아인슈타인도 잘 몰랐던 블랙홀은 베일에 가렸던 정체를 조금씩 드러내고 있다. 최근 몇년 사이에 새롭게 밝혀진 블랙홀의 진면목을 들춰보자. 어떻게 총알처럼 ... ...
2 암 발생시키는 표적을 탐지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2개 붙인 것으로 검출 감도가 더욱 좋고, 구조분석이 가능하다.기존 생화학 방법의
한계
극복프로테오믹스는 단백질을 고효율로 분석할 수 있는 질량분석기를 이용해 생명현상에서 변형된 단백질을 확인하는데 널리 쓰이고 있다. 세계적으로 프로테오믹스 연구 관련 웹사이트는 3천여개에 이르고, ... ...
금융수학 카오스 경제에서 질서를 찾는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교수는“전통적인 금융이론은 다양화되고 복잡한 경제 현상을 설명하는데 심각한
한계
를 드러내 왔다”며“기체의 불규칙적인 운동을 설명하는 브라운 법칙이나 컴퓨터 모델링, 확률과 통계 이론 등 자연과학의 방법은 카오스로 가득찬 금융현상을 훌륭히 설명해 내고있다”고 말한다.하지만 ... ...
국내 연구팀 단백질 구조예측대회서 아시아 최고 성적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그러므로 실험적인 방법으로 10만여개에 달하는 인간 단백질의 구조를 밝힌다는 것은
한계
가 있다.1994년 미국의 과학자들은 당시 2005년으로 예상했던 인간게놈 해독의 완료를 대비하기 위해 CASP 대회를 창설했다. 막대한 양의 단백질 밑그림을 얻게 됐을 때 긴 시간이 요구되는 실험적 방법이 아닌 ... ...
2. 헬기나 제트기로 자유자재의 변신술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방식의 전진속도는 3백노트 정도로 제한된다. 꼬리날개가 앞에 달리면?틸트 로터 방식의
한계
점을 극복하기 위해 하나의 제트엔진으로 수직 이착륙과 고정익 전진비행을 가능하게 만드는 새로운 비행체의 개념이 등장했다. 바로 ‘카나드 로터 윙’(CRW) 방식이다. 아직까지 유인기는 물론 ... ...
컴퓨터 이용한 대장균 진화 예측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사실을 확인했다.이바라 교수는 논문에서 “이번 결과는 대장균의 전통적 연구 방법의
한계
를 뛰어넘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기존의 대장균 연구는 특정 유전자를 제거한 후 나타난 변화를 조사해 유전자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특정 유전자의 기능은 알 수 ... ...
유럽의 화성 탐사 계획(2003년 6월 발사 예정)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 디아릴베릴륨 등 유기 베릴륨화합물이 있다 물체의 무게가 변한 것을 감지하는 변화의
한계
치에 대한 법칙 독일의 생리학자 E H 베버가 1831년에 발견했다 그 후 각종 감각의 식별역(識別閾)에 대해 광범위하게 알려졌으며, 베버의 법칙은 감각에 대한 기본법칙의 하나가 되었다 1514~1564 벨기에의 ... ...
1. 지능 높은 로봇비행기가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필요없는 이착륙 성능이 필요하다. 기존의 헬리콥터로는 속도제한, 연비, 소음 등의
한계
성을 극복하기 어렵기 때문에 스마트 무인기에서는 회전익 항공기와 고정익 항공기의 장점을 고루 갖춘 신개념 비행체를 개발할 것이다. 이런 개념은 향후 사람이 타는 항공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둘째로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