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실
실습실
연구소
시험소
시험실
시험장
실험장
d라이브러리
"
실험실
"(으)로 총 2,125건 검색되었습니다.
4 은하 관측법 달 표면에 천문대를 세워라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이를 은하단이라고 한다. 우리은하에서 가장 가까운 은하단으로 외부은하 연구에 중요한
실험실
역할을 하는 처녀자리의 은하단(Virgo Cluster)의 거리는 약 4천만 광년이다. 파장에 따른 관측이렇게 멀리 떨어져 있는 희미한 외부은하를 정밀하게 관측하기 위해서는 감도가 대단히 뛰어난 관측장비가 ... ...
퀴즈와 팀 경주로 학습의욕 높인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맞춘 학생들에게 간단한 상품을 주도록 하면 금상첨화일 것이다.다른 한가지 방법은
실험실
상황하에서 활동할 수 있는 방법인데 학급을 몇 개의 실험팀으로 나누어 특정의 과제를 팀단위로 협동하여 해결하도록 하는 팀대항 경주(Team Race)활동기회를 부여하는 것이다(예2). 즉, 같은 조건하에서 ... ...
1 우리 은하 태양도 초속 220㎞로 은하중심을 돈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문제중의 하나다. 은하가 부서지지 않는 이유 별과 별 사이의 광활한 공간은 지상의
실험실
에서 얻을 수 있는 그 어떠한 진공상태 보다도 더 희박하지만 실제로는 성간물질이라고 불리는 가스와 먼지로 가득 차 있다. 이곳은 또한 별이 태어나는 곳이기도 하다. (사진2)는 1983년에 발사되었던 ... ...
국내반도체산업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있다고도 볼 수 있는 것이다.현재 반도체장비의 국산화율은 10%선으로 국내에서는 대부분
실험실
용이나 소모성 일과성 장비를 생산하고, 핵심생산장비는 거의 전량을 수입에 의존한다. 최근 일부 기업이 외국과의 합작을 통해 국내에서 생산하기 시작한 양산용(量産用)장비조차도 외국제품을 그대로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적어 혈액응고 방지물질로는 그만이지만 그동안 대량생산하는 방법을 찾아내지 못해 '
실험실
속의 물질'로만 남아 있었다.그런데 최근 유전공학연구소의 이상기박사팀(대사공학연구실)이 히루딘을 유전공학적으로 얻어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냈다. 히루딘을 만들 수 있는 유전자를 거머리의 ... ...
좋은 소음, 나쁜소음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있다보면 영구적으로 청각을 잃고 그 이상 피해를 볼지도 모른다.불가리아의 학자들은
실험실
동물들을 이용해 지속적이고 큰 소음은 번식력을 급격히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며 또한 태어난 새끼들의 크기도 보통보다 적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사람이 낳은 신생아의 경우도 임산부가 과도한 소음에 ... ...
밥상에 그릇과 수저만 있다고 배부른가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제시하고 있는 기준대로 모두 갖출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 좁은
실험실
에서 많은 학생들이 수업하는 현실과는 거리가 멀고, 십분 활용키가 힘든 기준이 많더군요.우리 학교의 경우 기준대로 모두 갖추기 위해서는 총 1억 5천만원이 필요하며 부족분만을 구입하는데도 1억2천만원이 ... ...
스타시티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큰 출입문이 설치돼 있다. 크리스탈호는 이름 그대로 크리스털, 즉 수정을 만드는 우주
실험실
인데, 길이는 13.7m 최대 지름4.35m 무게 19.64t이다.우주에서 미르 우주정거장의 최대 길이는 36m 무게는 90~95t 정도다. 평상시 미르의 상주 우주인 수는 두세명이고 우주인들이 교대할 때는 4~6명으로 ... ...
"공고에서 과학교사가 할일이 있나?"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하며 공고생에게 부적합한 과학교과서를 새롭게 재구성하느라 어려움을 겪어야 한다.
실험실
과 실험기구를 학생들이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머리를 짜내는 일도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희망은 있다. 공고에서는 내가 노력한 만큼 과학수업이 활기를 띠며 ... ...
암전이의 메커니즘 밝혀진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단백질이 있다면 세포의 침윤능력이 억제될 수 있다는 것도 알려져 있다. 리오타 박사는
실험실
내에서 CAI라는 합성약제를 사용한 임상실험을 해, CAI가 흑색종(腫)과 결장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암이 재발했을 때는 전이가 제1의 원인이다. 조기에 진단해 전이하기 전에 ... ...
이전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