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실
실습실
연구소
시험소
시험실
시험장
실험장
d라이브러리
"
실험실
"(으)로 총 2,125건 검색되었습니다.
촉매 건조제 이온교환제로 유망한 신비의 「끓는돌」 제올라이트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있으므로 석유화학 뿐만 아니라 큰 분자들의 합성에도 응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화학
실험실
에 걸려있는 주기율표를 보면 이 세상에 존재하는 원소가 대단히 많다는 것을 실감하게 된다. 이 원소들을 활용하기까지 참으로 오랜 세월이 걸렸다는 사실은 앞으로 과학을 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 ...
과학엘리트 12인의 삶과보람 「그래서 나는
실험실
불을 끌 수 없었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다른 길을 생각해보기도 했지만 어린 시절에 우연히 결정된 길을 바꾸진 못했다.'그래서
실험실
불을 끌 수 없었다'를 읽으면서 나의 어린시절을 생각해보았다. 사람의 진로라는 것이 어떻게 결정되는가. 그리고 과학의 꿈을 키우는 청소년들이 이 시간에도 한둘이겠는가. 수많은 어린 학생들이 ... ...
기막힌 풀러렌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헤리 크로토는 거대한 탄소별들을 만드는 것처럼 보이는 탄소원자고리들의 구성방법을
실험실
에서 재생하고 싶었다. 레이저 광선으로 흑연을 쏘았을 때 크고 안정된 탄소분자들이 만들어지는 것이 발견됐는데 이들은 과거에 알려진 그 어떠한 탄소유형과도 다른 것이었다.이는 탄소60이라 ... ...
별은 어떻게 탄생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제주시에서 발로 찬 세발 자전거가 한라산을 넘어갈 확률만큼이나 작은 것이지만 α선은
실험실
에서 엄연히 관측되고 있다.얘기가 잠시 빗나갔으나 다시 대부분 수소 원자로 구성된 우주로 돌아오자. 1천만℃ 이상의 온도에 육박하면 수소 원자들은 결국 양성자 2개와 중성자 2개로 구성된 헬륨 ... ...
지의류 생태계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8년 동안 진공 속에서 살아 있었으며, 액체공기 속에서도 2주간이나 견디었다.베크렐의
실험실
의 지의류는 그들이 자연계에서 직면하는 추위보다도 좀더 가혹한 극단의 추위에서도 살아남았다. 그들이 오래 사는 것과 오염과는 별개의 문제다 ... ...
인간 뇌속에 나침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후, 커시빙크 박사는 모교인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에 돌아와 생물자기학을 연구할 자신의
실험실
을 꾸였다.그는 고래에 대해 연구하며 잠수할 때의 각도와 대양 바닥의 지구 자기장 세기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봤고 그 결과 고래는 자장감지체계를 이용해 헤엄친다는 가설을 발전시킬 수 ... ...
인류의 미래 형상화한 NASA 우주개발 캘린더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지구에 충돌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연구중이다.5월/
실험실
달은 인류의 화성탐사선을 실험해볼 수 있는 최고의
실험실
. 구조실험에서부터 작동실험에 이르기까지 모든 성능테스트가 달표면에서 이루어진다.6월/경계새로운 지식을 얻기 위한 우주관측은 ... ...
한반도의 철기시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마찬가지. 다만 한국과학기술원(KIST) 최주 박사팀이 유일하게 이 문제에 관심을 갖고 KIST
실험실
한 켠에 약식으로 제철로를 복원해 실험을 하기도 했으나 만족할만 결과는 얻지 못했다. 달천광산에서 가져온 60% 함유 철광석 50kg을 써서 철 2.8kg밖에 얻지 못했다. 최박사 팀은 앞으로 계속해 ... ...
2 흑연 다이아몬드에 이은 제3의 화합물 ${C}_{60}$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buckminster fullerene)임이 증명했다. 그후 그들이 제안한 방법을 이용, 전세계의 많은
실험실
에서 각자의 실험에 사용할 만큼의 풀러렌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벤젠의 발견과 견줄만 해새로운 발견된 ${C}_{60}$은 라이스대학의 스몰리교수 연구진에 의해 벅민스터플러렌이라 명명됐다. 이 이름은 ... ...
고엽제 후유증의 원인 다이옥신 해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다이옥신의 치사량이 얼마인가, 어떤 질병을 일으키는가는 종(種)마다 다르다.
실험실
동물 중 다이옥신에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기니피그의 경우 입으로 체중 kg당 0.6μg이라는 극소량이 투입돼도 즉시 병이 나고 일주일도 안되어 죽는 것으로 보고된다. 인체에 어느 정도 양이 치명적인가는 ... ...
이전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