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자"(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정육면체'로 평면을 채울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1년 07호
- 또는 정육각형을 만들 수 있을까? 이를 위해 기본 도형이 되는 평행사변형 조각을 만들어보자. 정다각형의 종류와 각의 크기 평행사변형으로 정육각형, 정삼각형 만들기이제 평행사변형 조각을 이용하면 정육각형과 정삼각형을 차례로 만들 수 있다.먼저, 같은 모양의 조각을 각기 다른 색으로 세 ... ...
- [수학영재캠프] 다각형의 분할과 조립수학동아 l2011년 07호
- 보여라.이제 준비가 다 되었다. 앞의 문제들을 이용해 우리가 원하던 정리를 완성해보자. 앞의 문제들에서 말하는 사실 중에 자신이 풀지 못한 것이 있더라도 다음의 문제들을 푸는 데에 이용해도 좋다.문제6(1) 임의의 다각형을 유한개의 작은 다각형으로 자른 후 그 조각들을 다시 잘 모아 원래의 ...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카메라 고수의 숫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1년 07호
- F2.8, 셔터속도를 1/30로 두고 찍었더니 흔들린 사진이 나왔다면 감도를 ISO 800으로 바꿔보자. 셔터속도를 1/60 이상으로 빠르게 할 수 있어 흔들림 없는 사진을 얻을 수 있다. 최근에 나오는 카메라는 ISO를 100, 200, 400, 800, 1600, 3200 등으로 조절할 수 있다. 조리개 조절해 예술 사진 찍기F 값은 빛의 ...
- [수학으로 영화 보기] 프로야구 왜 133경기 할까?수학동아 l2011년 07호
- 됐어도, 영화는 더욱 흥미진진한 반전을 담았을지도 모른다. 이제 리그전 방식을 알아보자.리그전 대진표는 참가 팀이 짝수인지 홀수인지에 따라 달라진다. 먼저 참가 팀이 짝수인 경우엔 빠짐없이 서로 한 번씩은 경기를 해야 하므로 어느 한 팀을 고정한 뒤, 나머지 팀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이동해 ... ...
- 여름방학 독서로 수학 잡기수학동아 l2011년 07호
- 게 어떨까? 책을 읽고 수학독서대회까지 참여한다면 일석이조. 수학독서의 매력에 빠져보자.상징으로 통하는 수학과 독서수학은 문자나 기호의 상징을 이용해 자연이나 사회현상을 해석하는 능력을 키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수학을 공부할때도 문자나 기호로 표현된 상징을 이해하는 과정을 ... ...
- 수학과 시 상상력으로 만나다!수학동아 l2011년 07호
- 작품에 대한 자신의 의도를 전해주었다. 저자가 들려주는 수학시에 쫑긋 귀를 기울여보자.무슨 일이 벌어질까?사슴의 뿔이 멈추지 않고 계속 자란다면복어의 배가 터지지 않고 계속 부푼다면고래의 분수가 하늘로 끝없이 올라간다면아빠의 콧수염이 끝없이 계속 자란다면네 엄지발가락이 끝없이 ... ...
- 모든 것이 가능한 물리학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있다. 둘 다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배우기는 한다. 하지만 한번 가슴에 손을 얹고 생각해 보자.복소수가 뭔지 제대로 설명할 수 있는가. 기자는 수능 치른 이후로 한번도 성공한 적이 없다. 그럼 삼각함수가 들어간 파동 공식을 술술 읽으며 이해할 수 있는가. 쉽지 않을 것이다. 이쯤 되면 이 책이 정말 ... ...
- 소리공학연구소에서 찾은 소리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6호
- 들으면 공부보다는 음악에 더 집중하게 될 때도 많아. 이럴 때 ‘백색소음’을 들어보자. 백색소음은 여러 가지 소리가 하나로 섞여 들리는 소리야. ‘쉬이이익~’하는 바람소리처럼 들리지. 백색소음은 신경은 쓰이지 않지만 심심함을 없애 주어 공부에 도움이 될거야소리로 전기를 만들다!소리는 ... ...
- 발명의 나라 스웨덴 4D프레임과 사랑에 빠지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들어 과학 시간에 우주선에 대해 학습한 뒤 4D프레임을 이용해 우주선을 만드는 과정을 보자. 학생들은 먼저 종이 위에 우주선의 설계도를 그린다. 이때 학생들은 우주선에 들어가는 연결봉의 개수와 각각의 길이를 정한다. 연결대의 종류와 개수도 정한다. 설계도를 통해 도형을 측정하고 3차원 ... ...
- 진실 혹은 거짓? 그림 속 도형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1년 06호
- 낮은 곳에서 높은곳으로 올라간다.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우선 미술의 관점에서 보자. 그림 속에 있는 세로 방향의 기둥을 잘 살펴보면 앞쪽에 있어야 할 기둥과 뒤쪽에 있어야 할 기둥이 서로 연결돼있다. 원근(멀고 가까움)을 무시해서 교묘하게 그린 것이다.그렇다면 수학적으로 ... ...
이전1811821831841851861871881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