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자"(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 Math] 신비의 수 142857의 비밀을 찾았다!수학동아 l2011년 08호
- 005917+147929=153846=2×076923로 역시 142857과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이번에는 임의의 수를 곱해보자. 076923에 1, 3, 4, 9, 10, 12(13을 분모로 했을 때 같은 순환마디가 나타나는 분자)를 곱하면 142857처럼 자리만 바뀐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이들을 3자리씩 끊어서 더하면 똑같이 999가 ...
- PART 3 미녀새 이신바예바보다 더 높이수학동아 l2011년 08호
- 보유자이자 미녀새라는 별명을 가진 러시아의 이신바예바 선수의 부활을 기대해 보자.100m 잘 달리면 멀리뛰기 잘한다?!‘어쩜 나에게 이렇게 잘 어울리는 종목이 들어오다니. 달리기도 달리기지만 섬세한 멀리뛰기는 딱 나를 위한 종목이야. 이번 미션의 성공자는 내가 되지 않을까. 아흐~! 기대돼 ... ...
- Part 1. 조류, 광합성 절반 맡은 물속의 유비쿼터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추출한다 하여 언론의 주목을 받고 있는 미세조류인 식물플랑크톤에 대해서 좀 더 살펴보자. 식물플랑크톤 중 대표적인 것은 규조류와 와편모조류이다. 규조류는 규소 성분의 껍데기를 가지고 있다. 이들이 죽어 바다 밑바닥으로 가라앉으면 규조토가 되는데, 도자기를 빚는 흙으로 쓰인다 ... ...
- INTRO. 비눗방울 수학이 방울방울~수학동아 l2011년 07호
- 수학자가 비눗방울에 관심을 갖는 걸까? 비눗방울에 숨겨진 수학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 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비눗방울 수학이 방울방울~PART 1 수학자는 왜 비눗방울을 좋아할까?PART 2 거품 함수와 방정식PART 3 비누막이 제시하는 최적화 ... ...
- 삼각형으로 가득한 세상, 미션을 수행하라!수학동아 l2011년 07호
- 직선 삼각형의 세 내각의 합이 180°가 된다는 사실을 간단한 색종이 실험으로 확인해 보자. 지구의 어느 한 점에서 곰이 남쪽으로 이동하고 다시 서쪽으로 이동한 다음, 북쪽으로 이동했다.그런데 도착 지점이 처음 출발한 곳이다. 어떻게 된 걸까?이 문제를 풀려면 지구를 구라고 가정하고, 곰이 ... ...
- 잠을 잊은 당신 건강한가과학동아 l2011년 07호
- 노동자들의 건강에 대해 연구도 더 많이 돼 있고 보장도 잘 된 북유럽의 사례를 참고해 보자. 우선 쉬는 날을 충분히 확보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금보다 노동자 수를 늘려 조를 더 많이 확보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공공부문에서나 겨우 4조 3교대를 하고 있지만, 북유럽은 5조 3교대가 기본이다 ... ...
- 대소변 가리기도 경쟁하는 세상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이들은 현실의 모든 문제를 하나의 패러다임으로 보려고 한다. 1960년대에 ‘잘 살아보자’는 슬로건을 내걸었던 새마을운동이나 20세기 중반 국내에 불어닥친 민주주의 바람이 대표적인 거대담론에 해당한다. 얼핏 듣기에는 꽤 그럴 듯하게 들리지만 사실 여기엔 큰 함정이 있다. 거대담론에는 큰 ... ...
- [life & tech] 집중호우 예측, 64배 섬세해진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한층 더 섬세하고 똑똑한 예보를 기대하며 새로운 모델의 이모저모를 미리 만나보자.지난해 9월 21일 추석 연휴의 시작을 알리던 즐거운 날, 서울에는 때아닌 물난리가 났다. 오전 11시부터 오후 5시까지 내린 집중호우로 서울의 중심부인 광화문 일대가 물에 잠겨버린 것이다. 하수구로 빠지지 못한 ... ...
- 꿈이 있어야 구체적인 길이 보인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접속하면 분야별 도서 목록이 나온다. 그 목록을 살펴보고 관심가는 책을 골라서 읽어보자. 평소에 과학동아를 열심히 보는 것도 과학의 다양한 분야를 접하는 좋은 방법이다. “하고 싶은 일에 대한 분야가 정해지면, 열정이 생길거야. 그 열정을 바탕으로 준비해온 과정을 정리하는 게 바로 ... ...
- 다양한 눈으로 바라본 세상과학동아 l2011년 07호
- 끝에 초점을 맞춘 다음, 눈의 방향을 고정시킨 채 연필을 서서히 오른쪽으로 움직여보자. 연필이 시선 방향으로부터 약 20° 정도 움직인 지점에 이르면 연필의 끝부분이 보이지 않는다. 바로 망막에 있는 시각적 맹점(Blind Spot)에 상이 맺혔기 때문이다. 시각적 맹점이란 망막에서 신경 다발을 눈 ... ...
이전1801811821831841851861871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