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날"(으)로 총 6,527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와 공룡 너무나 닮은 우리 사이수학동아 l2016년 03호
- 필요합니다. 이런 구조를 통해 위로 뜰 수 있는 힘이 만들어지지요. 하늘을 나는 새의 날개에도 이런 깃털이 있어요. 놀랍게도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비대칭 깃털을 가진 여러 공룡의 화석이 중국에서 발견됐습니다. 새와 공룡이 매우 가까운 관계라는 뜻이지요.통계로 완성하는 새의 족보유전적, ... ...
- [재미] 파이송 작곡 도전기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아직도 눈에 선하다. 처음 내 기타가 생겼던 날, 처음 공연했던 날, 처음 녹음실에 갔던 날 등 잊고 지낸 기억들을 다시 추억할 수 있었다.음악은 작곡한 사람이 아닌 그 음악을 듣는 사람이 주인이라는 말이 있다. 작곡자의 손을 떠난 음악은 오롯이 듣는 사람의 것이다. 나름대로 많은 고민의 ... ...
- [가상인터뷰]박쥐 VS 에볼라, 승자는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않을래?닥터 그랜마 : 쥐야, 안녕? 자기 소개를 부탁해.박쥐 : 안녕하세요? 저는 유일하게 날 수 있는 포유류, 박쥐예요. 시력이 좋진 않지만 음파를 이용해 자유자재로 장애물을 피할 수 있지요. 사람들은 이런 제 능력에서 힌트를 얻어 수중음파탐지기를 만들기도 했어요. 저는 사람들에게 해로운 ... ...
- [특별인터뷰]“지구사랑탐사대 덕분에 상 받았어요!” 열혈 탐사팀 프로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2015년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을 앞둔 어느 날, 아주 기쁜 소식이 들려왔어요. 지사탐 대원으로 활동하던 두 팀이 ‘제2회 국립생태원 생태·환경 동아리 탐구발표 대회’에서 최우수상을 받은 거예요. 그 주인공은 바로 ‘내 친구 봄이’팀과 ‘발자국’팀! 두 팀은 힘을 합쳐 ‘프로비’라는 새로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드디어 기숙사 입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폐기물을 주우러 다니는 날이 있어. 오늘이 바로 그 날이지.”“네에? 그런데 학교 온 첫날부터 이렇게 빠져도 돼요? 차라리 지금 선생님께 돌아가 전학생이라고 말하는 편이….”“지금 괜히 갔다가 두 배로 주워 오라고 할 걸? 내가 널 구해 준 거라고!”그때 뒤에서 부스럭 소리와 함께 검은 눈썹의 ... ...
- [News & Issue] 예술, 갇힌 마음의 창이 되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빼어난 예술가가 있을 것이다. 그들이 표현활동을 통해 고통을 줄이고, 사람들과 교류할 날을 고대한다.오스트리아 작가 하인리히 라이젠바우어의 작품 ‘사과(위)’와 ‘딸기’. 같은 개수씩 줄 맞춰늘어놓은 듯 보이지만 첫째 줄과 마지막 줄에 있는 사과는 다른 줄보다 하나씩 더 많은15개씩이다. ... ...
- [Knowledge] 파충류의 속사정2 하늘의 거인 케찰코아틀루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약 6600만 년 전, 백악기 대멸종 사건으로 끝나버렸다. 익룡은 멸종해버렸고, 오늘날에는 새들이 그 뒤를 이어 하늘을 지키고 있다. 이들은 과거의 익룡처럼 아주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진화했다. 하지만 새가 아무리 화려한 모습으로 진화해도 과거 익룡이 보여준 장엄함을 재현해내지는 못할 것이다 ... ...
- [News & Issue] ‘꽉 찬’ 주기율표 새로운 화학 문 여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않았다. 모리타 박사는 당시를 회상하며 “우리는 포기하지 않고 인내하면 운이 닿을 날이 다시 올 것이라 믿었다”고 말했다. 그로부터 7년 뒤인 2012년 8월, 모리타 박사팀은 마침내 113번 원소를 확증하는 실험결과를 얻어냈다(doi:10.1143/JPSJ.81.103201). 동일한 과정을 통해 나타난 105번 원소 더브늄이 ... ...
- 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않지만 지진의 세기는 꽤 차이가 난다. 핵실험 같은 인공 지진의 경우 규모가 1만큼 차이 날 때마다 위력은 10배씩 세진다. 따라서 이번 핵실험보다 규모가 0.1 큰 3차 핵실험은 약 1.4배 더 강력하다.바다와 대기에서도 핵실험의 증거를 찾을 수 있다. CTBTO는 수중 청음 관측소(hydrophone station) 여섯 개와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구속력을 동시에 맛보면서, 서로 외계 지성체의 눈치를 살피고 있었다.마음껏 우주를 날아다니는 우리에게 고향이 있다면 그건 우주에서 발생한 생물학적 육체일 수밖에 없었다.등대 주인과 나는 귀향한 자의 복잡한 감정을 맛보며, 근육이 한계에 도달할 때까지 한 자리에 서 있었다 ... ...
이전181182183184185186187188189 다음